$\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예비교사들은 학생의 대답에 어떻게 피드백 하는가? - Lesson Play의 분석 -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Lesson Plays: How Do Preservice Teachers Give Feedbacks to Students in an Imaginary Classroom Discourse? 원문보기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9 no.1, 2017년, pp.19 - 41  

이지현 (인천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a) 예비교사들이 생각하는 학생의 대답에 대한 피드백 패턴 및 교실 담화양상을 확인하고, b) 예비교사들의 피드백 패턴과 교실 담화를 개혁 지향적인 수업 동영상과 비교 분석하여, 교실 담화에 대한 교수전문성의 신장 방안에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동일한 교수 상황에 대해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가상적 교실 담화인 lesson play와 개혁 지향적 수업에 나타난 교사 피드백 패턴을 분석하여, 네 가지 피드백 패턴으로 구분하고 그에 따른 교실 담화의 특징을 논의하였다.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생각했던 교사 피드백은 주로 학생의 대답을 평가하고 의미를 전달하는 단성적 기능(univocal function)을 수행하는 것이었으나, 개혁 지향적 수업은 학생 전체에게 제기된 답에 대한 정당화-반박의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학생들의 의미 생성을 촉진하는 대화적 기능(dialogical function)의 피드백을 포함하고 있었다. lesson play의 단성적 담화와 수업 동영상의 대화적 담화의 비교 분석은, 교사의 피드백 발화가 교실 담화의 주 기능과 학생들의 인지적 참여 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 이자 '변수'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의 결과는 교사들이 높은 질의 교실 담화를 구현하기 위하여, (예비) 교사들이 구체적인 담화 맥락에서 선택할 수 있는 피드백의 다양한 가능성을 인지하고, 피드백 발화에서 '의미 전달'과 '의미 생성' 기능을 어떻게 조화시킬 수 있는지 성찰하는 경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a) identify how preservice teachers conceive feedbacks and subsequent classroom discourses, and b) compare them with those in reform-oriented mathematics classroom video for mathematics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bout classroom discourse. This article a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esson play의 피드백과 담화 양상에 대한 연구자의 해석이 강의에서 수집한 다른 자료원(lesson play에 대하여 강의 참여자들 사이에 오갔던 질의 - 응답, lesson play와 수업 동영상의 차이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자기 보고 report, lesson play·수업 동영상에 대한 강의 중 토론)에서 관찰된 것과도 부합하는지를 검토하였다.
  • 예비교사들에게 뜨거웠던 토론주제 중 하나는 과 같이 학생들이 의미를 생성하는 대화적 담화의 필요성에 대한 것이었으며, 여기서는 토론 중 이 문제에 대하여가장 상반된 시각을 표현한 두 예비교사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특히 예비교사들의 경우, 대화적 담화와 같은 개혁 지향적 교실 담화 패턴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학창 시절 경험했던 전통적인 교실 담화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반성하고, 전통적 교실 담화와 새로운 담화의 차이를 성찰하는 경험이 필요하다(Bray, 2011). 이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이 주어진 과제에 대한 학생들의 대답이 칠판에 공개되는 장면까지 수업 동영상을 시청한 후, 이후에 일어날 교실 담화에 대하여 작성한 가상의 교실 담화인 lesson play와 실제 수업 동영상을 다음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한편, 강의 교재인 Carpenter외 (2004)의 <어떻게 이해하지?>를 읽은 후 연구자가 과제로 제시한 주제 질문에 대하여 수업 동영상과 자신이 작성한 lesson play를 비교 분석하고, 강의에서 이에 대하여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절에서 는 연구문제 3과 관련하여, 주제 질문(부록 [2] 참조)에 대한 6주차 강의 중 토론 내용을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예비교사의 lesson play와 수업 동영상에 나타난 피드백 패턴과 그에 따른 교실 담화 양상은 무엇인가?
  • 2. 예비교사의 lesson play와 수업 동영상 담화에서 발견할 수 있는 단성적 담화 경향과 대화적 담화 경향은 무엇이며, 이로부터 야기되는 차이는 무엇인가?
  • 3. 예비교사들은 대화적 담화에서 무엇을 주목하였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성적 담화란? Lotman의 논의를 바탕으로 많은 연구자들이 단성적 담화와 대화적 담화를 구분하고 있다3). 단성적 담화는 의미를 전달하는 단성적 기능을 주목적으로 하는 담화로, 화자의 발신 메시지를 청자가 정확히 수신하는 의사소통이다. 반면, 대화적 담화는 화자와 청자 사이에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수동적 연결고리 이상의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는 사고 도구로 작용하는 담화이다.
대화적 담화란? 단성적 담화는 의미를 전달하는 단성적 기능을 주목적으로 하는 담화로, 화자의 발신 메시지를 청자가 정확히 수신하는 의사소통이다. 반면, 대화적 담화는 화자와 청자 사이에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수동적 연결고리 이상의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는 사고 도구로 작용하는 담화이다. 단성적 기능(혹은 담화)에서는 발신된 의미와 수신된 의미의 차이를 의사소통의 결함으로 간주하지만, 대화적 기능(혹은 담화)에서 발신된 의미와 수신된 의미의 차이는 의미 생성 기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Lotman, 1988: p.
IRE 패턴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그런데 Nassaji와 Wells(2000: pp. 400-401)는 교사가 후속발화에서 학생의 답을 평가하는 것을 넘어 학생의 사고를 탐색하고 확장하며 정교화 하는 피드백을 제공한다면, IRE의 교육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학생의 대답에 대한 평가와 학생의 사고를 생성하는 피드백이라는 교사의 후속 발화가 가질 수 있는 두 가지 기능은, Lotman (1988)이 지적한 텍스트의 두 가지 기능과 연결하여 논의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2. 김상화, &방정숙. (2010). 담화 중심 수학적 의사 소통 수업의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3), 523-545. 

  3. 방정숙, 정희진. (2006). 학습자 중심 교수법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이해와 실행형태: 수학적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6(1), 297-321. 

  4. 윤민지. (2012). 중학교 2학년의 사각형 지도에 대한 실행연구. 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임태민, 백석윤. (2009). 초등수학 수업에서의 피드백 유형 및 학생의 반응. 한국초등교육, 20(1), 37-54. 

  6. Alro, H., & Skovsmose, O. (1996). On the right track.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16(1), 2-22. 

  7. Ball, D. L. (1991). What's all this talk about "discourse"? Arithmetic Teacher, 39(3), 44-48. 

  8. Borasi, R. (1994). Capitalizing on errors as "springboards for inquiry": A teaching experiment.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5(2), 166-208. 

  9. Blanton, M. L., Berenson, S. B., & Norwood, K. S. (2001). Using classroom discourse to understand a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developing practic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7(2), 227-242. 

  10. Bray, W. S. (2011). A collective case study of the influence of teachers' beliefs and knowledge on error-handling practices during class discussion of mathematic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2(1), 2-38. 

  11. Bruner, J. S. (1996). The culture of educ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2. Carpenter, T. P., Hiebert, J., Fennema, E., Fuson, K. C., Wearne, D., & Murray, H. (2004). 어떻게 이해하지?.(김수환, 박영희, 이경화, 한대희 역). 서울: 경문사.(영어 원작은 1997년 출판) 

  13. Cazden, C. B. (2001). Classroom discourse: The language of teaching and learning. 

  14. Chin, C. (2007). Teacher Questioning in Science Classrooms: Approaches that Stimulate Productive Think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6), 815-843. 

  15. Drageset, O. G. (2013). Redirecting, progressing, and focusing actions-a framework for describing how teachers use students' comments to work with mathematic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5(2), 281-304. doi:10.1007/s10649-013-9515-1 

  16. Franke, M. L., Kazemi, E., & Battey, D. (2007). Mathematics teaching and classroom practice. In F. K. Lester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Vol. 1). Reston, VA: NCTM. 

  17. Gallimore, R., & Tharp, R. (1992). Teaching mind in society: Teaching, schooling, and literate discourse. In L. C. Moll(Ed.), Vygotsky and education: Instructional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of sociohistorical psychology (pp. 175-205). 

  18. Gibbons, P. (2006). Bridging Discourses in the ESL Classroom: Students, Teachers and Researchers. London: Continuum. 

  19. Imm, K., & Stylianou, D. A. (2012). Talking mathematically: An analysis of discourse communities. The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31(1), 130-148. 

  20. Ingram, J., Pitt, A., & Baldry, F. (2015). Handling errors as they arise in whole-class interactions.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7(3), 183-197. doi:10.1080/14794802.2015.1098562 

  21. Knuth, E., & Peressini, D. (2001). Unpacking the nature of discourse in mathematics classrooms.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6(5), 320-325. 

  22. Lemke, J. L. (1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23. Lortie, D. C.(1996). 교직사회 : 교직과 교사의 삶. (진동섭 역). 서울 : 良書院. (원저는 1975년 출판) 

  24. Lotman, Y. M. (1988). Text within a text. Soviet psychology, 26(3), 32-51. 

  25. Lotman, Y. (2000). Universe of the mind: A semiotic theory of culture (A. Shukman, Trans.): IB Tauris & Co Ltd. 

  26. Nassaji, H., & Wells, G. (2000). What's the use of ‘triadic dialogue'?: An investigation of teacher student interaction. Applied linguistics, 21(3), 376-406. 

  27. Otten, S., Engledowl, C., & Spain, V. (2015). Univocal and dialogic discourse in secondary mathematics classrooms: the case of attending to precision. ZDM, 47(7), 1285-1298. doi:10.1007/s11858-015-0725-0 

  28. Pierson, J. L.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patterns of classroom discourse and mathematics learning. Ph.D thesis.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9. Reddy, M. (1979). The conduit metaphor: A case of frame conflict in our language about language. In M. Reddy & A. Ortony (Eds.), Metaphor and thought (pp. 284-324). 

  30. Rymes, B. (2011). 말이 열리는 교실: 교실 수업 개선을 위한 담화 분석.(김종현 역).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31. Santagata, R. (2005). Practices and beliefs in mistake-handling activities: A video study of Italian and US mathematics lesson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5), 491-508. doi:10.1016/j.tate.2005.03.004 

  32. Scott, P. (1998). Teacher Talk and Meaning Making in Science Classrooms: a Vygotskian Analysis and Review.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32(1), 45-80. doi:10.1080/03057269808560127 

  33. Scott, P. H., Mortimer, E. F., & Aguiar, O. G. (2006). The tension between authoritative and dialogic discourse: A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meaning making interactions in high school science lessons. Science Education, 90(4), 605-631. 

  34. Smith III, J. P., diSessa, A. A., & Roschelle, J. (1994). Misconceptions reconceived: A constructivist analysis of knowledge in transition.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3(2), 115-163. 

  35. Spangler, D. A., & Hallman-Thrasher, A. (2014). Using Task Dialogues to Enhance Preservice Teachers' Abilities to Orchestrate Discourse. Mathematics Teacher Educator, 3(1), 58-75. 

  36. Truxaw, M. P. (2004). Mediating Mathematical Meaning Through Discourse: An investigation of discursive practices of middle grades mathematics teachers. Ph. D. Thesis, University of Connecticut. 

  37. Truxaw, M. P., & DeFranco, T. C. (2008). Mapping mathematical classroom discourse and its implication for model of teach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9(5), 489-525. 

  38. Tulis, M. (2013). Error management behavior in classrooms: Teachers' responses to student mistake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33, 56-68. doi:10.1016/j.tate.2013.02.003 

  39. Wells, G. (1999). Dialogic inquiry: Towards a socio-cultural practice and theory of educ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Wertsch, J. V., & Toma, C. (1995). Discourse and learning in the classroom: A sociocultural approach. In L. P. Steffe, & Gale, J. E. (Ed.), Constructivism in educa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41. Wertsch, J. V. (1998). Mind as an ac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2. Wood, T. (1998). Alternative patterns of communication in mathematics classes: Funneling or focusing. In H. Steinbring, M. G. B. Bussi, & A. Sierpinska (Eds.), Language and communication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pp. 167-178).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43. Wood, T., Williams, G., & McNeal, B. (2006). Children's mathematical thinking in different classroom culture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7(3), 222-253. 

  44. Zazkis, R., Liljedahl, P., & Sinclair, N.(2009). Lesson Plays: Planning teaching vs. teaching planning.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29(1), pp. 40-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