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폭발파에 의한 폭발압력곡선 경험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mpirical Equations for Pressure Curve by Air Blast 원문보기

화약·발파 = Explosives & blasting, v.35 no.1, 2017년, pp.1 - 17  

권상기 (인하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초록

공기를 통해 이동하는 폭발파에 의한 압력 및 압력에 의해 지표 및 지하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폭발의 충격이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컴퓨터 시뮬레이션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거리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결정하여야 한다. 기존의 연구를 통해 압력의 변화와 관련되는 인자들을 추정하기 위한 여러 경험식들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대압력, 양압지속기간, 임펄스, 최소음압, 음압지속기간, 폭발파 도착시간과 감쇠상수를 예측하는 경험식들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Kingery 경험식과 다른 경험식에 의한 압력 변화를 비교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sure associated with air blast, which travels through air, and its effect on surface and underground structures is highly important.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pressure change with time and distance for a computer simulation of the explosion impact on a structur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폭발파란 무엇인가? 폭발에 의한 피해는 인적, 물적 손해를 야기할 수 있다. 폭발물의 폭발로 인해 공기 중에서 발생하는 충격파를 폭발파(airblast)라고 한다(Guzas and Earls, 2010). 폭발파에 의한 여러 가지 현상을 이해하는 것은 군사적, 상업적 목적을 포함한 여러 분야에서 요구된다.
CONWEP 프로그램의 역할은 무엇인가? 미 육군에서는1959-1964년 사이 TNT를 이용하여 폭발파에 의한 폭발압력과 환산거리(scaled distance)관계를 연구한 Kingery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폭발조건에서의 폭발하중 계산을 위한 CONWEP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CONWEP 프로그램은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화약폭발에너지를 등가의 TNT에너지로 환산하는 TNT당량모델(TNT equivalency model)을 이용하여 대상구조체의 폭발최대압력, 충격량, 지속시간을 산출한다(Departments of the US Army,1986). 현재 CONWEP은 폭발구조해석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폭발하중 구현 코드이다.
폭발파에 대한 많은 연구는 어떠한 방식으로 진행 되었는가? 해외의 경우, 폭발파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폭발물 테러에 의한 영향 평가, 화학적 폭발 현상의 이해, 군사 시설물의 방폭 설계, 광산 폭발에 의한 영향 평가 등을 위해 이론과 실험, 수치해석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었다(Guzas and Earls,2010; Chowdhury and Wilt, 2015; Karlos and Solomos,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권상기, 박정찬, 2015, 가스폭발에 따른 폭발에너지를 평가하기 위한 TNT 등가량 환산방법에 대한 고찰, 화약.발파 Vol. 33, No. 3, pp. 1-13. 

  2. 김영민, 2011, 가스폭발하중에 의한 터널구조물의 동적거동 해석,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 13, No. 5, pp. 413-430. 

  3. 심창수, 윤누리, 2010, 희생부재를 이용한 근거리 폭파압력 저감효과,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 14, No. 1, pp. 11-23. 

  4. 허영철, 정태영, 오성근, 2010, 공기중 폭발하중에 대한 창호시스템의 방폭설계 절차에 관한 고찰,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Vol. 20, No. 12, pp. 229-1235. 

  5. Bajic, Z., J. Bogdanov and R. Jeremic, 2009, Blast effects evaluation using TNT equivalent, Scientific technical review, Vol. LIX, No. 3-4, pp. 50-53. 

  6. Baker, W. E., 1973, Explosions in air, University of Texas Press, Austin. 

  7. Baker, W. E., P. Cox, P. S. Westine, J. J. Kulesz and R. A. Strehlow, 1983, Explosion hazards and evaluation, Elsevier, New York. 

  8. Brode, H. L., 1955, Numerical solution of spherical blast waves, Journal of applied physics,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New York. 

  9. Brode, H. L., 1977, Quick estimates of peak overpressure from two simultaneous blast waves, Tech. Rep. DNA4503T, Defense Nuclear Agency, Aberdeen Proving Ground, MD. 

  10. Chock, M. K. 1999, Review of methods for calculating pressure profiles of explosive air blast and its simple application, Master Thesis,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11. Chowdhury, A. H. and T. E. Wilt, 2015, Characterizing explosive effects on underground structures, NRC report, NUREG/CR-7201. 

  12. Department of the US Army,1986, Fundamentals of protective design for conventional weapons, Technical Manual TM 5-855-1. 

  13. Draganic, H. and V. Sigmund, 2012, Blast loading on structures, Tehnicki vjesnik Vol. 19, No. 3, pp. 643-652. 

  14. Ethridge, N. M, 1965, A procedure for reading and smoothing pressure-time data for H. E. and nuclear explosives, Ballistic research laboratory memorandum report No. 1691, Aberdeen providing grounds, Md. 

  15. Friedlander, F. G., 1946, The diffraction of sound pulses. I. Diffraction by a semi-infinite plane.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A, Mathematical and Physical Sciences, Vol. 186, No. 1006, pp. 322-344. 

  16. Guzas, E. L. and C. J. Earls, 2010, Air blast load generation for simulating structural response,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vol. 10, no. 5, pp. 429-455. 

  17. Held, M.,1983, Blast waves in free air. Prop. Exp. Pyro., Vol. 8, No. 1, pp.1-8. 

  18. Henrych, J., 1979, The dynamics of explosion and its use. Elsevier, Amsterdam. 

  19. Izadifard, R. A. and M. Roroutan, 2010, Blastwave parameters assessment at different altitude using numerical simulation, Turkish J. Eng. Env. Sci., Vol. 34, pp. 25-41. 

  20. Karlos,V. and G. Solomos, 2013, Calculation of blast loads for application to structural components, JRC technical reports, JRC87200. 

  21. Kauthammer, T. and A. E. Altenberg, 2000, A negative phase effects on glass panels. Int. J. Imp. Eng., Vol. 24, No., pp. 1-17. 

  22. Kingery, C. N. and G. Bulmash, 1984, Airblast Parameters from TNT Spherical Air Bursts and Hemispherical Surface Bursts, ARBRL-TR-02555. 

  23. Kingery, C. N. and B. F. Pannill, 1964, Peak Overpressure vs Scaled Distance For TNT Surface Bursts (Hemispherical Charges), BRL Memorandum Report 1518. 

  24. Kinney, G. F. and K. J. Graham, 1985, Explosive Shocks in Air, Springer-Verlag, New York, 2nd. ed. 

  25. Lam, N., P.Mendis and T. Ngo, 2004, Response spectrum solutions for blast loading. Elec. J. Str. Eng., Vol. 4, pp. 28-44. 

  26. Larcher, M., 2007, Simulation of the effects of an air blast wave, JRC technical notes. 

  27. Mills, C.A., 1987, The design of concrete structure to resist explosions and weapon effects, Proceedings of the 1st Int. Conference on concrete for hazard protections, Edinburgh, UK, pp. 61-73. 

  28. Newmark, N. M. and R. J. Hansen, 1961, Design of blast resistant structures, Shock and Vibration Handbook, Vol. 3, Eds. Harris and Crede. McGraw-Hill, New York, USA. 

  29. Rigby, S. E., A. Tyas, T. Bennett, S. D. Clarke and S. D. Fay, 2014, The negative phase of the blast load, International journal of protective structures, Vol. 5, No. 1. pp. 1-20. 

  30. Sadovskiy, M. A., 2004, Mechanical effects of air shockwaves from explosions according to experiments. In Sadovskiy M. A. Selected works: Geophysics and physics of explosion. Nauka Press, Moscow, 2004. 

  31. Shames, I. H. 1982. Mechanics of Fluids. McGraw-Hill, Singapore. 

  32. Shin, W., W. Wilkinson, D. Cormie and A. Whittaker, 2015, Updated scaled-distance charts for design: improving incident and reflected air-blast parameters in the near field, CONFAB 2015,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tructural Safety under Fire and Blast, At Glasgow, United Kingdom. 

  33. Slotnick, J. 2004, Explosive Forces of Improvised Explosive Devices. 

  34. Smith, P. D. and J. G. Hetherington,1994, Blast and Ballistic Loading of Structures. Laxton's, 1994. 

  35. Swisdak, M. M., 1994, Simplified Kingery airblast calculation, OMB No. 0704-0188. 

  36. Teich, M. and N. Gebbeken, 2010, The Influence of the under pressure phase on the dynamic response of structures subjected to blast loads, Int. J. Prot. Str., Vol. 1, No. 2, pp. 219-34. 

  37. Wei, J. and L. R. Dharani, 2005, Fracture mechanics of laminated glass subjected to blast loading, Theoretical and Applied Fracture Mechanics, Vol. 44, pp. 157-16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