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수용 기준전극 개발을 위한 겔 타입 내부전해질 제조 및 잔류염소 측정장치에의 적용
Fabrication of Gel-type Electrolyte for the Development of Reference Electrode for Sea Water and Application to Measuring Equipment for Total Residual Oxidants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8 no.2, 2017년, pp.153 - 157  

김유진 ((주)테크로스 중앙연구소) ,  이해돈 ((주)테크로스 중앙연구소) ,  김대원 ((주)테크로스 중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Hydroxyethyl-cellulose (HEC) 함량별로 겔 타입 내부전해질을 제작하여 이온전도도와 내구성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온전도도 측정결과 HEC 함량이 증가할수록 이온전도도가 감소하여 12% 함량의 겔 타입 내부전해질은 기준전극에 적용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였다. HEC 함량별 내구성 실험결과, HEC의 함량이 감소할수록 carrier density가 증가하여 다공성 막을 통해 유출되는 전해질(KCl)의 양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와 같이 장시간 사용하기 위해 겔 타입 내부전해질을 HEC 10%로 선정하였다. HEC 10%의 겔 타입 내부전해질을 이용하여 기준전극과 TRO (total residual oxidants) 센서를 제작하여 TRO 분리능 실험을 수행하였다. TRO 센서에 50 mV의 전위를 30 s 동안 동일하게 인가하여 전류변화를 비교한 결과 0.2~30 PSU 조건에서 0~15 mg/L의 TRO 농도가 분리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HEC를 이용한 겔 타입 내부전해질을 TRO 센서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담수뿐만 아니라 해수 조건에서 TRO를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l type internal electrolytes were synthesized by varying hydroxyethyl-cellulose (HEC) amounts and their durability and conductivity were measured. The ionic conductivity decreased as the content of HEC increased thus the internal electrolyte containing more than 12% of HEC could not be used as a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수용성 고분자 중 HEC를 이용하여 겔 타입 내부전 해질을 제조하고, 내구성 실험을 수행하여 최적의 HEC 함량을 선정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기준전극 및 TRO 센서를 제작하고, TRO 측정장치에 적용하여 해수 조건에서 TRO가 농도에 따라 분리가 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수용성 고분자 중 HEC를 이용하여 겔 타입 내부전 해질을 제조하고, 내구성 실험을 수행하여 최적의 HEC 함량을 선정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기준전극 및 TRO 센서를 제작하고, TRO 측정장치에 적용하여 해수 조건에서 TRO가 농도에 따라 분리가 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학적 처리방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선박평형수 처리기술 중 chlorine, ozone, ultraviolet radiation (UV), electrolysis와 같은 화학적 처리방법은 잔류산화제(total residual oxidants, TRO)를 이용하여 유해 생물 및 병원균을 살균하는 방식이다[4,5]. 이 방법은 물리적 또는 생물학적 처리방법에 비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화학적 처리장치에서 발생된 TRO가 배출되었을 때 인체 및 해양 동물 등의 환경에 영향을 주어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박평형수 처리기술에서의 TRO 농도 측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6-8].
전기화학적 분석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전기화학적 분석법은 작동법이 단순하고, 시약을 사용하지 않아 유지관리 비용이 적으며 비교적 초기 안정화 및 감응 시간이 빠르다는 장점으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에의 적용이 더 적합하다[13-15]. 이 분석법은 전기화학 셀의 전극/용액 계면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전압의 크기가 물질마다 다르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TRO의 정성 및 정량 분석을 할 수 있다[16].
수중에 존재하는 TRO를 측정하는 방식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수중에 존재하는 TRO를 측정하는 방식에는 iodometric method, 전기화학적 분석법, colorimetric method 등이 있다[9,10]. 그중 DPD (N, N-diethyl-p-phenylene diamine)를 이용한 colorimetric method가 현재 선박평형수 처리기술에서 가장 상용화되어 있는 방식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D. E. Verna and B. P. Harris, Review of ballast water management policy and associated implications for Alaska, Mar. Policy, 70, 13-21 (2016). 

  2. D. R. Scriven, C. Dibacco, A. Locke, and T. W. Therriault, Ballast water management in Canada: A historical perspective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Mar. Policy, 59, 121-133 (2015). 

  3. L. Maglic, D. Zec, and V. Francic, Ballast water sediment elemental analysis, Mar. Pollut. Bull., 103, 93-100 (2016). 

  4. J. Culin and B. Mustac, Environmental risks associated with ballast water management systems that create disinfection by-products (DBPs), Ocean Coast Manag., 105, 100-105 (2015). 

  5. B. Werschkun, S. Banerji, O. C. Basurko, M. David, F. Fuhr, S. Gollasch, T. Grummt, M. Harrich, A. N. Jha, S. Kacan, A. Kehrer, J. Linders, E. Mesbahi, D. Pughiuc, S. D. Richardson, B. S. Schulz, A. Shah, N. Theoblad, U. V. Gunten, S. Wieck, and T. Hofer, Emerging risks from ballast water treatment: The run-up to the International Ballast Water Management Convention, Chemosphere, 112, 256-266 (2014). 

  6. N. Zhang, Y. Wang, J. Xue, L. Yuan, Q. Wang, L. Liu, H. Wu, and K. Hu, Risk assessment of human health from exposure to the discharged ballast water after full-scale electrolysis treatment, Regul. Toxicol. Pharmacol., 77, 192-199 (2016). 

  7. S. Delacroix, C. Vogelsang, A. Tobiesen, and H. Liltved, Disinfection by-products and ecotoxicity of ballast water after oxidative treatment - Results and experiences from seven years of full-scale testing of ballast water management systems, Mar. Pollut. Bull., 73, 24-36 (2013). 

  8. K. W. Park, S. T. Kim, H. D. Lee, Y. S. Park, D. W. Kim, K. S. Lee, J. H. Ku, and Y. J. Kim,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US Patent 14/779,153 (2014). 

  9. A. G. Zimmer-Faust, R. F. Ambrose, and M. N. Tamburri, Evaluation of approaches to quantify total residual oxidants in ballast water management system employing chlorine for disinfection, Water Sci. Technol., 70, 1585-1593 (2014). 

  10. M. Jovic, F. Cortes-Salazar, A. Lesch, V. Amstutz, H. Bi, and H. H. Girault, Electrochemical detection of free chlorine at inkjet printed silver electrodes, J. Electroanal. Chem., 756, 171-178 (2015). 

  11. B. Saad, W. T. Wai, Md. S. Jab, W. S. W. Ngah, M. I. Saleh, and J. M. Salter, Development of flow injection spectrophotometric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free available chlorine and total available chlorine: comparative study, Anal. Chim. Acta, 537, 197-206 (2005). 

  12. L. Moberg and B. Karlberg, An improved N,N'-diethyl-p-phenylenediamine (DPD)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free chlorine based on multiple wavelength detection, Anal. Chim. Acta, 407, 127-133 (2000). 

  13. X. H. Dai, J. Zhang, X. J. Pang, J. P. Zhou, G. Z. Liu, and S. Y. Zhang, Ferrocene-enhanced polyvinyl chloride-coated electrode for the potentiometric detection of total residual chlorine in simulated ballast water, J. Electroanal. Chem., 760, 158-164 (2016). 

  14. F. Kodera, M. Umeda, and A. Yamada, Determination of free chlorine based on anodic voltammetry using platinum, gold, and glassy carbon electrodes, Anal. Chim. Acta, 537, 293-298 (2005). 

  15. D. K. Lee, T. Y. Kang, H. J. Woo, S. W. Kim, and J. K. Kim, Residual chlorine sensor on electrochemistry and measurement equipment use thereof, Korean Patent 10-2002-0043267 (2002). 

  16. H. Hwang, Methods of Electrochemical Analysis, 1-17, Free Academy, Gyeonggi-do, Korea (2011). 

  17. F. Javier Del Campo, O. Ordeig, and F. Javier Munoz, Improved free chlorine amperometric sensor chip for drinking water application, Anal. Chim. Acta, 554, 98-104 (2005). 

  18. M. Murata, T. A. Ivandini, M. Shibata, S. Nomura, A. Fujishima, and Y. Einaga, Electrochemical detection of free chlorine at highly boron-doped diamond electrodes, J. Electroanal. Chem., 612, 29-36 (2008). 

  19. W. Vonau, W. OelBner, U. Guth, and J. Henze, An all-solid-state reference electrode, Sens. Actuators B, 144, 368-373 (2010). 

  20. G. Inzelt, A. Lewenstam, and F. Scholz, Handbook of Reference Electrode, 92-96, Springer, NY, USA (2013). 

  21. B. J. An, J. T. Lee, and C. E. Lee, Novel Cosmetic Materials, 230-231, Kwang Moon Gak, Gyeonggi-do, Korea (2009). 

  22. S. J. Oh, H. J. Shim, D. W. Kim, M. H. Lee, C. J. Lee, and Y. K. Kang, In-situ cross-linked gel polymer electrolyte using perfluorinated acrylate as cross-linker, J. Korean Electrochem. Soc., 13, 145-152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