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귀포 백년초의 기능성 원료 제조 특성
Characteristics of Opuntia monacantha Haw. for the Functional Raw Material Production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8 no.2, 2017년, pp.252 - 256  

권진홍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태영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제국 (제주 백년초 박물관) ,  김재용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백년초(Opuntia) 손바닥 선인장은 우리나라 남쪽 지방인 거제도, 제주도, 남해안 등지에서 자생하며 매년 4~5월경에 꽃이 피고 11~12월경에 자주색 열매가 익는다. 백년초는 예로부터 민간요법에 흔히 사용되었으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해독, 진통, 항산화 작용 등에 큰 효과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귀포 백년초의 항산화성 기능, 항당뇨, 항균활성 효능을 입증하여 기능성 원료로서의 가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백년초 내 항산화성을 갖는 물질인 택시폴린을 추출하여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고 항당뇨성 기능 실험에서 시판되고 있는 당뇨치료제와 비교하였을 때 높은 수준의 항당뇨 기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균 효과 측정 결과 대장균과 살모넬라균 등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보여 서귀포 백년초의 기능성 원료로서의 우수한 가치를 입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puntia cactus grows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Geoje Island, Jeju Island, and South Coast. The flowers bloom around April to May of each year, and purple berries ripen around November to December. It has been widely used in home medicine since ancient times and it has great effects on blood c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제주 백년초 박물관에서 재배 중인 서귀포 백년초의 항산화성 물질, 항당뇨성, 항균 성능을 분석하여 기능성 원료로서의 가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백년초 내의 천연 항산화 물질 Taxifolin을 확인하여 항산화 성능을 분석하였고 항당뇨성 효과와 항균제로서의 효능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 )는 제주도 서귀포시 소재 ‘백년초 박물관’에서 재배하고 있는 것으로, 시중에서 흔히 유통되고 있는 멕시코산 백년초가 아닌 우리나라 토종 서귀포 백년초를 이용해 실험하였다. 본 실험은 서귀포 백년초가 갖는 우수한 효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항산화물질인 Taxifolin을 추출하였고 항당뇨성 기능, 항균 기능을 밝혀 기능성 원료로서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흔히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백년초는 멕시코를 원산지로 하는 다육선인장을 백년초 이름을 도용하여 판매하는 것으로 전통적인 백년초가 아니라 할 수 있다[10,11]. 본 연구에서는 서귀포 백년초의 항산화성 기능, 항당뇨, 항균 활성 효능을 입증하고자 하였고 기능성 원료로서의 가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제주 백년초 박물관에서 재배 중인 서귀포 백년초의 항산화성 물질, 항당뇨성, 항균 성능을 분석하여 기능성 원료로서의 가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백년초 내의 천연 항산화 물질 Taxifolin을 확인하여 항산화 성능을 분석하였고 항당뇨성 효과와 항균제로서의 효능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년초의 익히 알려진 효능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남쪽 지방인 거제도,제주도, 남해안 등지에서 재배되는 손바닥 선인장은 부채 선인장 중에서도 키가 작고 생명력이 강하며 재배하기가 용이[3,4]하다. 백년초에는 노화억제와 항암효과 및 항 돌연변이 효과가 있는 페놀성 물질(Phenolic)과 플라보노이드(Flavonoid)가 5% 정도 함유되어 있고 자양강장제 기능을 하는 여러 무기질과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으며[5], 중약대사전에는 기관지 천식, 폐질환, 위염, 변비, 장염, 신장염, 고혈압, 당뇨, 심장병, 신경통, 관절염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백년초 추출물에서 Radical 소거능을 비롯한 강력한 항산화 활성과 더불어 항균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Taxifolin과 같은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6], 또한 생리활성효과가 월등하고 면역 활성 물질을 다량 함유한 약초식물이며, 농약과 비료, 제초제의 사용 없이 생산되어 웰빙에 적합한 식물이다[7].
백년초는 무엇인가? 백년초(Opuntia)는 부채 선인장과에 속하며 형태에 따라 구분하면 부채꼴 선인장류로 Opuntia 속으로 구분된다. 사람 손바닥을 닮았다는 뜻으로 손바닥 선인장이라 불리는데 매년 4~5월경에 꽃이 피고 11~12월경에 자주색 열매가 익는다.
백년초의 최근 동향은 어떠한가? 백년초는 이외에도 탄수화물, 아미노산, 비타민, 칼슘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칼슘이 식물성 식품으로는 상당히 많이 함유되어 있다[8]. 최근에는 기능성 물질로 재조명되고 있어 치약, 비누, 화장품 등 여러 상용화 제품들이 개발되어 나오고 있다[9]. 이처럼 유용한 성분과 점질물을 다량 함유하는 백년초는 최근 기능성 식품으로 주목받으며 생산과 상품화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지만 그 소비량은 기대에 못 미치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N. M. Kim and J. S. Lee, Effects of fermentation periods on the qualitie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the mushroom fermentation broth, Korean J. Mycol., 31(1), 28-33 (2003). 

  2. S. H. Heo and Y. J. Kim, Deliberation on health claim and advertising of health supplement, Food Sci. Ind., 37(1), 55-60 (2004). 

  3. E. Joubert, Processing of the fruit of five prickly pear cultivars grown in South Africa, Food Sci. Technol. Int., 28(4), 377-387 (1993). 

  4. J. O. Kuti and C. M. Galloway, Sugar composition and invertase activity in prickly pear fruit, J. Food Sci., 59(2), 387-388 (1994). 

  5. J. E. Son, B. H. Lee, T. G. Nam, S. B. Im, D. K. Chung, J. M. Lee, O. K. Chun, and D. O. Kim, Flavonols from the ripe fruit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rotect neuronal PC-12 cells against oxidative stress, J. Food Biochem., 38(5), 518-526 (2014). 

  6. K. S. Lee and K. Y. Lee, Biological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 from a Cactus Cheon Nyun Cho (Opuntia humifusa)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8), 1132-1136 (2010). 

  7. K. S. Seo, H. A. So, E. J. Jo, Y. M. Jang, J. H. Chung, S. I. Oh, S. E. Na, Y. J. Kim, B. K. Han, and N. S. Ryu, A study on the vegetable mayonnaise dressing using a cheonnyuncho stem, Division of food and drug analysis, 1-30, Jeollabuk-do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Research, Korea (2011). 

  8. J. H. Choi, In the Opuntia humifusa Separated Mucopolysaccharide Immune Activity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Suwon, Korea (2010). 

  9. S. Y. Kim,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r Using the Root, Master's Thesis, Seoul Venture University, Seoul, Korea (2014). 

  10. J. K. Kim, Jekukcho, Korea Seed and Variety Service, 2016-348 (2016). 

  11. J. K. Kim, Health functional foods made mainly from Opuntia monacantha haw, Korean Registered Trademark, 40-1184386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