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 현황과 군락 변화
Occurrence of Weed Flora and Changes in Weed Vegetation in Orchard Fields of Korea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6 no.1, 2017년, pp.21 - 27  

이인용 (국립농업과학원) ,  오영주 (미래환경생태연구소) ,  홍선희 (미래환경생태연구소) ,  허수정 (강원도농업기술원) ,  이채영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박기웅 (충남대학교) ,  조승현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권오도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임일빈 (바이오식물환경연구소) ,  김상국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성덕경 (경상남도농업기술원) ,  정영재 (신경대학교) ,  김창석 (국립식량과학원) ,  이정란 (국립농업과학원) ,  서현아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등을 재배하는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를 조사하여 과수원 문제잡초의 현황을 파악하고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5년에 전국을 11개 권역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는 63과 492종으로 국화과 86종, 화본과 63종, 두과 29종, 사초과 23종, 마디풀과 22종 등의 순이었다. 이들 잡초를 생활형으로 구분하면, 일년생 159종, 동계 일년생 97종, 다년생 236종이었다. 과수원별 발생잡초를 보면, 사과밭에는 50과 306종, 배밭에는 50과 304종, 포도밭에는 50과 286종, 복숭아밭에는 48과 288종이 발생되었다. 우점잡초로는 바랭이, 쑥, 쇠별꽃, 닭의장풀, 깨풀 등이었다. 외래잡초는 127종으로 전체의 25.8%이었고, 토끼풀, 망초, 흰명아주, 서양민들레, 소리쟁이 순으로 발생이 많았다. 30년간의 잡초군락 변화를 보면, 1990년에는 바랭이, 여뀌, 쇠비름 등이 우점하였으나, 2003년에는 바랭이, 깨풀, 쑥 등으로 변하였다. 2015년에는 바랭이, 쑥, 쇠별꽃 등으로 크게 변하지는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occurrence of weed flora in orchard (apple, grape, peach, pear etc.) fields and to the establishment of weed control basic data in these weeds. And this study was survey on 2015. As a result of the study on orchard weeds, there were total of 492 weeds includ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과수원잡초는 2015년에 전국을 11개 권역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각각의 권역은 각 도 농업기술원, 농과대학, 농업연구기관이 지역별로 나누어 담당하였다.
  • 이 때 각 등급별 조사기준을 보면, 5: 76~100%; 4: 51~75%; 3: 26~50%; 2: 6~25%; 1: <5% 미만; +: 드뭄(few individuals); r: 매우 드뭄(very fewer individuals)이다(Wikum and Shanholtzer, 1978). 주요 조사항목은 초종별 발생빈도, 상대빈도, 피도, 상대피도, 우점도(중요치) 등이었다.
  • 조사대상 과수는 제주를 제외한 전국적으로는 사과, 배, 복숭아, 포도는 공통으로 하고 각 지역 특색에 맞게 대상 과수가 추가되었다. 즉 전남과 경남지역은 감, 매실, 경북지역은 자두 그리고 제주도는 감귤과 참다래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를 조사하였다. 잡초조사는 동계잡초는 4~5월, 하계잡초는 7~8월에 실시하였다.

대상 데이터

  • 과수원 잡초는 Table 1, Fig. 1과 같이 총 3,169지점에서 조사하였다. 이런 조사지점수는 2015년 현재 우리나라 주요 과수의 재배면적이 사과 31,620 ha, 감 20,972 ha, 복숭아 16,704 ha, 감귤 16,692 ha, 포도 12,690 ha를 대표하는 것으로(Statistics Korea, 2015)으로 면적대비 조사지점과 유사하였다.
  • 각각의 권역은 각 도 농업기술원, 농과대학, 농업연구기관이 지역별로 나누어 담당하였다. 조사대상 과수는 제주를 제외한 전국적으로는 사과, 배, 복숭아, 포도는 공통으로 하고 각 지역 특색에 맞게 대상 과수가 추가되었다. 즉 전남과 경남지역은 감, 매실, 경북지역은 자두 그리고 제주도는 감귤과 참다래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를 조사하였다.

데이터처리

  • 출현한 잡초종에 대해서는 Raunkiaer(1934)의 생활형을 기준으로 일년생, 동계 일년생 그리고 다년생을 구분하였고 과별 분포 비율을 산정하였다. 잡초의 우점 순위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요치(IV)분석을 실시하였다(Curtis and McIntosh, 1950).

이론/모형

  • 잡초조사는 동계잡초는 4~5월, 하계잡초는 7~8월에 실시하였다. 발생잡초는 각 시기별로 Braun-Blanquet(1964)에 의한 7개 등급(r, +, 1, 2, 3, 4, 5)을 기준으로 피도(被度)를 조사하였다. 이 때 각 등급별 조사기준을 보면, 5: 76~100%; 4: 51~75%; 3: 26~50%; 2: 6~25%; 1: <5% 미만; +: 드뭄(few individuals); r: 매우 드뭄(very fewer individuals)이다(Wikum and Shanholtzer, 1978).
  • 잡초조사 결과는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Korea National Arboretum, KNA, www.nature.go.kr)에 의거하여 목록을 작성하였고, 외래잡초는 한국귀화식물 원색도감(Park, 2009)에 의해 표기하였다. 출현한 잡초종에 대해서는 Raunkiaer(1934)의 생활형을 기준으로 일년생, 동계 일년생 그리고 다년생을 구분하였고 과별 분포 비율을 산정하였다.
  • kr)에 의거하여 목록을 작성하였고, 외래잡초는 한국귀화식물 원색도감(Park, 2009)에 의해 표기하였다. 출현한 잡초종에 대해서는 Raunkiaer(1934)의 생활형을 기준으로 일년생, 동계 일년생 그리고 다년생을 구분하였고 과별 분포 비율을 산정하였다. 잡초의 우점 순위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요치(IV)분석을 실시하였다(Curtis and McIntosh, 195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를 생활형으로 구분하면?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는 63과 492종으로 국화과 86종, 화본과 63종, 두과 29종, 사초과 23종, 마디풀과 22종 등의 순이었다. 이들 잡초를 생활형으로 구분하면, 일년생 159종, 동계 일년생 97종, 다년생 236종이었다. 과수원별 발생잡초를 보면, 사과밭에는 50과 306종, 배밭에는 50과 304종, 포도밭에는 50과 286종, 복숭아밭에는 48과 288종이 발생되었다.
과수원에 발생하는 우점잡초에는 무엇이 있는가? 과수원별 발생잡초를 보면, 사과밭에는 50과 306종, 배밭에는 50과 304종, 포도밭에는 50과 286종, 복숭아밭에는 48과 288종이 발생되었다. 우점잡초로는 바랭이, 쑥, 쇠별꽃, 닭의장풀, 깨풀 등이었다. 외래잡초는 127종으로 전체의 25.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가 발생에 있어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이유는? , 2000). 이러한 차이를 나타내는 가장 큰 이유로는 과수원에서의 영농형태가 논, 밭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Chun et al. (2000)에 의하면, 과수원의 잡초관리는 잡초방제 및 관리 면에서 논이나 밭에 비하여 훨씬 적은 회수의 잡초관리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Zweite, umgearbeitete und vermehrte Auflage. Springer-Verlag: Wien. p. 865. 

  2. Chun, J.C., Lee, S.J., Lim, S.J. and Kim, S.E. 2000. Change in weed population in pear orchard by sequential applications of non-selective herbicides. Kor. J. Weed Sci. 20(1):39-45. (In Korean) 

  3. Curtis, J.T. and McIntosch, R.P. 1950. The interrrelations of certain analytic and synthetic phytosociological characters. Ecol. 31:434-455. 

  4. Guh, J.O., Cho, Y.W. and Lee, Y.M. 1986. Weed emergence in orchard and comparison of weeding performance of some orchard-herbicides (single and mixture products). Kor. J. Weed Sci. 6(1):85-96. (In Korean) 

  5. Hwang, K.S., Eom, M.Y., Park, S.H., Won, O.J., Suh, S.J., et al. 2014. Occurrence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weed species on upland Chinese cabbage fields in Chungnam province. Kor. J. Agri. Sci. 41(4):303-308 

  6.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KCPA). 2015. Guide book of agrochemicals on 2015.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Seoul. Korea. p. 1503 (In Korean) 

  7. Kim, K.U., Pyon, J.Y., Guh, J.O. and Shin, D.H. 1982. Major weeds occurring in orchard and their effective control by oxyflorfen. Kor. J. Weed Sci. 2(1):57-62. 

  8.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www.nature.go.kr). 2014.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n, Korea. 

  9. Lee, I.Y., Oh, Y.J., Hong, S.H., Choi, J.K., Heo, S.J. et al. 2015. Weed flora diversity and composition on upland field of Korea. Weed Turf. Sci. 4(3):159-175. (In Korean) 

  10. Park, J.E., Lee, I.Y., Oh, S.M., Park, T.S., Kim, C.S., et al. 2005.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and weed community on orchard field in the Korea. Kor. J. Weed Sci. 25(4):267-274. (In Korean) 

  11. Park, J.E., Lee, I.Y., Park, T.S., Lim, S.T., Moon, B.C., et al. 2003.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in upland field in Kora. Kor. J. Weed Sci. 23(3):277-284. (In Korean) 

  12.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Inc., Seoul, Korea. (In Korean) 

  13. Raunkiaer, C. 1934. Plant life forms. Clarendon press, Oxford, UK. 

  14. Statistics Korea. 2015. 2015 Statistical Yearbook. Daejeon, Korea. (In Korean) 

  15. Wikum, D.A. and Shanholtzer, G.F. 1978. Application of the Braun-Blanquet cover-abundance scale for vegetation analysis in land development studies. Environ. Manage. 2(4):323-329. 

  16. Woo, I.S. and Pyon, J.Y. 1988. Characterization of weed occurrence in apple orchards. Kor. J. Weed Sci. 8(2):164-168.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