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 지역 보건소 일차의료의 질 평가
Evaluating the Primary Care Quality of a Public Health Center in a Rural Area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2 no.1, 2017년, pp.24 - 35  

변영관 (속초시 보건소) ,  최용준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사회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일차의료 평가 도구(KPCAT)를 이용하여 한 농촌 지역 보건소의 일차의료의 질을 평가하는 것이다. 또 이 연구에서는 KPCAT 적용 및 결과 해석과 관계된 몇 가지 방법론적 이슈를 검토하였다. 농촌 보건소 진료 의사에게 4회 이상 진료받은 환자 79명이 KPCAT 설문에 응답하였다. 응답자의 특성을 빈도와 백분율, 중앙값과 사분위 범위, 평균과 표준 편차로 제시하였다. 일차의료의 질은 KPCAT 총점과 영역별 점수의 중앙값과 사분위 범위로 제시하였고 최댓값과 최솟값, 기대 점수와 함께 방사형 도표로 제시하였다. KPCAT 문항별 점수와 중앙값과 사분위 범위, 기대 점수 이상 응답자 비율, 잘 모름 응답자 비율을 제시하였다. 연구 대상 농촌 지역 보건소 일차의료 질의 중앙값과 사분위 범위는 각각 45점, 16점이었다. KPCAT 영역별 점수 중앙값이 기대 점수에 이른 영역은 최초 접촉 하나였다. KPCAT 문항별 점수가 기대 점수 이상인 응답자 비율이 50% 미만인 문항은 포괄성 4문항 중 2개, 조정 기능 3문항 전부, 전인적 의료 5문항 중 2개, 가족 및 지역 사회 지향성 4문항 전부였다. 잘 모름 응답의 처리 방침 개선, 잘 모름 응답률이 높은 문항의 타당성 검토, 응답 척도의 내용과 점수의 일치 등이 방법론적 개선 과제였다. 농촌 지역 보건소 일차의료의 질은 개선할 여지가 많았다. 특히 조정 기능과 가족 및 지역 사회 지향성 영역의 개선 필요성이 두드러졌다. KPCAT의 방법론적 개선을 통하여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일차의료 평가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rimary care quality of a public health center in a rural area using the Korean Primary Care Assessment Tool (KPCAT). It also examined some methodological issues in applying the KPCAT and interpreting its results. Methods: Seventy-nine patients who had 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일차의료 평가 도구(KPCAT)를 이용하여 한 농촌 지역 보건소의 일차의 료의 질을 평가하는 것이다. 또 이 연구에서는 KPCAT 적용 및 결과 해석과 관계된 몇 가지 방법론적 이슈를 검토하였다.
  • 이 연구는 KPCAT를 이용하여 농촌 지역 보건소의 일차의료의 질을 평가한 자료를 분석한 단면 연구다.
  • 이 연구에서는 농촌 지역 보건소의 일차의료의 질을 평가하면서 KPCAT 적용에 관한 몇 가지 방법론적 이슈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 연구에서는 한 농촌 지역 보건소 일차의료의 질을 KPCAT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평가 대상 보건소의 KPCAT 총점 중앙값(사분위 범위), 평균±표준 편차는 각각 45점(16점), 47±12점이었다.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일차의료 평가 도구(KPCAT)를 이용하여 한 농촌 지역 보건소의 일차의 료의 질을 평가하는 것이다.
  • 이상의 맥락에서 이 연구는 KPCAT를 이용한 선행 연구의 연장선에서 한 농촌 지역 보건소를 대상으로 KPCAT를 적용하여 일차의료의 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질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KPCAT의 방법론적 이슈를 고찰하였다.
  • 본 조사는 2011년 9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매일 진료 접수 환자 명단을 확인하여 미리 선정한 연구 대상자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확인 절차가 끝나면 연구자가 환자나 보호자에게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이들이 설문 참여에 서면으로 동의하면 면접 설문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러 나라들이 일차의료 강화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일차의료는 한 나라 의료 시스템의 근간이다. 환자와 의사의 만남 대부분이 이루어지는 일차의료 수준에서, 사람들은 건강 문제 대부분을 해결하며[1] 일차의료 이용 경험은 의사와 의료, 의료 시스템에 대한 사람들의 관념을 형성한다[2]. 또 일차의료의 편익에 관한 연구 성과가 축적되면서, 일차의료가 의료비 절감과 건강 결과 개선, 양질의 의료 제공에 기여한다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다[3,4]. 이러한 배경에서 한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들이 일차의료 강화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농촌 보건소는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한국의 농촌 보건소는 지역 주민에게 일차의료를 제공하는 대표적 의료 기관이다[5]. 보건소는 기초 자치 단체 보건 당국이자 일차의료 및 보건 사업 제공자이기도 하다.
의료 접근성이 낮은 농촌 지역에서 일차의료를 제공를 제공하는 기관은? 그것은 그것대로 논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의료 접근성이 낮은 농촌 지역에서 보건소가 주민에게 일차의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현실 역시 무시할 수 없다. 문제는 농촌 지역 보건소가 과연 양질의 일차의료를 제공하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YS, Choi YJ. The ecology of medical care in Korea. J Korean Med Sci 2016;31(11):1684-1688 

  2. Choi YJ, Ko BS, Cho KH, Lee JH. Concept, values,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primary care in Korea. J Korean Med Assoc 2013;56(10):856-865 (Korean) 

  3. Starfield B, Shi L, Macinko J. Contribution of primary care to health systems and health. Milbank Q 2005;83(3):457-502 

  4. Kruk ME, Porignon D, Rockers PC, Van Lerberghe W. The contribution of primary care to health and health systems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 critical review of major primary care initiatives. Soc Sci Med 2010;70(6):904-911 

  5. Kim YR. Changes in health care environment and public health centers' strategies in rural areas.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06;31(3):303-308 (Korean) 

  6. Bae SS, Lee SW, Kim JW, Lee SM. New approach to strengthening of local public health system. Seoul,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care Policy, 2010, pp. 162-165 

  7. Cassady CE, Starfield B, Hurtado MP, Berk RA, Nanda JP, Friedenberg LA. Measuring consumer experiences with primary care. Pediatrics 2000;105(4Pt2):998-1003 

  8. Shi L, Starfield B, Xu J. Validating the Adult Primary Care Assessment Tool. J Family Pract 2001;50(2):161-175 

  9. Lee JH, Choi YJ, Volk RJ, Kim SY, Kim YS, Park HK, Jeon TH, Hong SK, Spann SJ. Defining the concept of primary care in South Korea using a Delphi method. Fam Med 2007;39(6):425-431 

  10. Lee JH, Choi YJ, Sung NJ, Kim SY, Chung SH, Kim J, Jeon TH, Park HK, Korean Primary Care Research Group. Development of the Korean primary care assessment tool-measuring user experience: tests of data quality and measurement performance. Int J Qual Health Care 2009;21(2):103-111 

  11. Choi YG, Kim K, Choi YJ, Sung NJ, Kim J, Park JH, Hong SK, Lee JH, Korean Primary Care Research Group. Patient Assessment of Primary Care of Health Cooperative Clinics in South Korea. Korean J Fam Med 2010;31(10):765-777 (Korean) 

  12. Sung NJ, Suh SY, Lee DW, Ahn HY, Choi YJ, Lee JH, Korean Primary Care Research Group. Patient's assessment of primary care of medical institutions in South Korea by structural type. Int J Qual Health Care 2010;22(6):493-499 

  13. Park JH, Kim KW, Sung NJ, Choi YG, Lee JH; Korean Primary Care Research Group. Association between primary care quality and health behaviors in patients with essential hypertension who visit a family physician as a usual source of care. Korean J Fam Med 2011;32(2):104-111 (Korean) 

  14. Jung JW, Sung NJ, Park KH, Kim SW, Lee JH. Patients' assessment of community primary and non-primary care physicians in Seoul city of South Korea. Korean J Fam Med 2011;32(4):226-233 

  15. Lee JH, Choi YJ, Choi JS, Kim S. Patient assessment of primary care under the Designated Practice Scheme for Medical Aid beneficiaries, using the Korean Primary Care Assessment Tool (K-PCAT): a district of Seoul, South Korea. J Korean Med Assoc 2012;55(2):187-197 (Korean) 

  16. Lee JH, Choi YJ, Lee SH, Sung NJ, Kim SY, Hong JY. Association of the length of doctorpatient relationship with primary care quality in seven family practices in Korea. J Korean Med Sci 2013;28(4):508-515 

  17. Sung NJ, Markuns JF, Park KH, Kim K, Lee H, Lee JH. Higher quality primary care is associated with good self-rated health status. Fam Pract 2013;30(5):568-575 

  18. Lee MJ. Factors that affect the experience of primary care in health care co-operatives' patients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6 (Korean) 

  19. Kim KY, Lim K, Park EW, Choi EY, Cheong YS. Patients' perceived quality of family physicians' primary care with or without 'family medicine' in the clinic name. Korean J Fam Med 2016;37(5):303-307 

  20. Starfield B, Cassady C, Nanda J, Forrest CB, Berk R. Consumer experiences and provider perceptions of the quality of primary care: implications for managed care. J Fam Pract 1998;46(3):216-226 

  21. McDonald KM, Schultz E, Albin L, Pineda N, Lonhart J, Sundaram V, Smith-Spangler C, Brustrom J, Malcolm E, Rohn L, Davies S. Care Coordination Measures Atlas version 4. Rockville,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14, pp. 194-196 

  22. Haggerty JL, Pineault R, Beaulieu MD, Brunelle Y, Gauthier J, Goulet F, Rodrigue J. Room for improvement: patients' experiences of primary care in Quebec before major reforms. Can Fam Physician 2007;53(6):1056-1057 

  23. Rocha KB, Rodriguez-Sanz M, Pasarin MI, Berra S, Gotsens M, Borrell C. Assessment of primary care in health surveys: a population perspective. Eur J Public Health 2012;22(1):14-19 

  24. Bresick GF, Sayed AR, Le Grange C, Bhagwan S, Manga N, Hellenberg D. Western Cape Primary Care Assessment Tool (PCAT) study: Measuring primary care organisation and performance in the Western Cape Province, South Africa (2013). Afr J Prim Health Care Fam Med 2016;8(1):e1-e12 

  25. Sohn M, Kim MS, Kim J, Moon S, Choi M. Patients' perception of quality of health service and utilization considering convergence factors: a survey of elderly patients of public health centers, Seoul, Republic of Korea. J Digit Convergence 2015;13(8):345-356 (Korean) 

  26. Choi YJ, Shin DS, Kang M, Bae SS, Kim J. Evaluating chronic care of public health centers in a metropolitan city. Health Policy Manag 2014;24(4):312-321 (Korean) 

  27. Figueiredo TM, Villa TC, Scatena LM, Cardozo Gonzales RI, Ruffino-Netto A, Nogueira Jde A, et al. Performance of primary healthcare services in tuberculosis control. Rev Saude Publica 2009;43(5):825-831 

  28. Yang H, Shi L, Lebrun LA, Zhou X, Liu J, Wang H. Development of the Chinese primary care assessment tool: data quality and measurement properties. Int J Qual Health Care 2013;25(1):92-105 

  29. Wang W, Shi L, Yin A, Lai Y, Maitland E, Nicholas 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Tibetan primary care assessment tool. Biomed Res Int 2014;2014:308739 

  30. Stevens GD, Shi L. Racial and ethnic disparities in the quality of primary care for children. J Fam Pract 2002;51(6):5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