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차세대 전자기록관리 재설계 과제 연구
A Study of Next-generation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Redesign 원문보기

기록학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no.54, 2017년, pp.151 - 178  

주현미 (명지대학교 디지털아카이빙연구소, 인간과기억아카이브,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임진희 (서울대학교 공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록관리 현장의 전자기록관리영역의 문제를 확인하고 IT신기술의 도입으로 인해 급변하고 있는 기록 생산 및 관리 환경의 변화에 조응할 수 있는 새로운 전자기록관리체계의 설계를 위해 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새로운 정부의 기록관리 혁신에 맞추어 프로세스, 시스템, 인프라 모든 영역에서 이전과는 다른 차세대 기록관리 개념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는 시기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차세대 기록관리의 가치와 지향이 어떠해야 하는지 방향성을 도출하고 이에 따라 프로세스, 시스템, 인프라 영역의 문제를 확인하고 과제화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in the records management field and to develop a new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that can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records production and management environment, which is rapidly changing because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치와 지향점에 이어 차세대 전자기록관리 재설계의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기록관리 현장에서 주로 논의되고 있는 이슈와 논의들을 살펴보고 이를 과제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4년 1월부터 2017년 10월 현재까지 발간된 기록학계 주요 학술지인 기록학연구와 한국 기록 관리학회지에 실린 논문 226편의 주제를 살펴보고 기록관리 프로세스 영역, 기록 관리 시스템 영역, 기록관리 인프라 영역 세 영역으로 나누어 어떤 논의들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 그리고 그 변화는 질적으로 완전히 다른 것이어야 할 것이다. 세대를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일까? 기록관리 영역에서 그러한 이전과는 완전히 구분되는, 즉 세대를 구분할 수 있는 기점이 되는 변화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자.
  • 이를 위해 2014년 1월부터 2017년 10월 현재까지 발간된 기록학계 주요 학술지인 기록학연구와 한국 기록 관리학회지에 실린 논문 226편의 주제를 살펴보고 기록관리 프로세스 영역, 기록 관리 시스템 영역, 기록관리 인프라 영역 세 영역으로 나누어 어떤 논의들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아키비스트캠프, 기록인 대회, 기록학계의 학술대회 등 기록전문가들이 기록 관리 현장에서의 주요 이슈들에 대해 어떻게 언급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기록 관리 현장의 문제를 식별하고자 했다. 가급적 전자기록관리 관련 이슈들로만 특정해서 보고자 했으나 구분이 애매한 경우가 있어서 포괄적인 기록 관리 영역에 포함되는 연구도 일부 포함되었다.
  • 본 연구는 기록관리 현장에서 전자기록관리영역의 문제를 확인하고 4차 산업혁명에 따른 IT신기술의 도입으로 인해 급변하고 있는 기록 생산 및 관리 환경의 변화에 조응할 수 있는 새로운 전자기록관리체계의 설계를 위해 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새로운 체계 설계의 시기를 차세대로 명명하고 왜 차세대인가, 차세대는 무엇인가를 기록 관리영역의 질적 변화가 있었던 시기들을 살펴보면서 지금 시기가 차세대로 명명되어야함을 확인하였다.
  • 아래 그림과 같이 행정기관 클라우드 업무환경 도입은 기존 업무환경의 공간적 제약과 단말기 제약을 받지 않고 정보에 접근하여 언제 어디서나 업무를 처리하고 공유·협업하는 업무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아젠다1에서 정의한 관리대상 ‘기록’을 어떻게 포착할 것인지 그 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과제로 제안한다.
  • 아직 개념모델 단계지만 우리나라도 우리나라의 기록관리 실정에 맞는 데이터 모델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 데이터개방과 공유는 전 세계적인 추세로, 기록정보 LOD 서비스를 통해 기록정보의 검색과 이용 활성화를 과제로 제안하고자 한다.
  • 요컨대 본 연구는 기록관리 현장에서 전자기록관리의 제문제를 해결하고 IT 신기술에 조응하는 차세대 전자기록관리의 방향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알아보고 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최근 기록학계에서 연구되고 있는 전자기록관리와 관련한 연구들을 살펴보면서 기록관리 현장에서 프로세스, 시스템, 인프라(법, 제도, 조직, 시설 및 공간)와 관련한 어떤 문제들이 있는지 살펴보면서 이슈를 점검하고 이를 과제화하고자 한다.
  • 차세대 전자기록관리는 조금씩 고치는 방식이 아닌 내·외부의 환경 변화를 인식하고 새로운 환경에 대해 분석하여 보다 멀리보고 보다 유연하게 개념을 설정해야 함을 가치와 지향을 통해 드러내고자 했다.

가설 설정

  • 위의 두 가치는 기록관리가 가지는 본래의 가치에 크게 새로울 것이 없을 수도 있다. 이 세 번째 가치인 기술지향성의 가치는 차세대 전자기록관리 재설계에 있어서 특별히 고려되어야 할 가치이다. 기술발전의 속도에 맞추어 업무환경이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고 기록관리 환경 또한 빠르게 개편되고 있는 이 시점에 기술발전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어사전에서 차세대의 정의는? 먼저 차세대 (전자)기록관리란 무엇인지 정의해야 한다. 국어사전에서는 당연하게도 차세대를 다음의 세대라고 정의하고 있다. 지금의 시대와는 구분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면서 퇴보나 유지가 아닌 진보, 변화를 지향하는 것으로 보인다.
2006년 공공기록물법 전면 개정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2006년 공공기록물법 전면 개정은 2004년 기록관리 혁신의 법적 토대를 마련하였고, 비공개 기록물의 대국민 공개·열람 등의 의의와 함께 무엇보다도 업무기반의 전자적 기록 관리 체계 구축을 시도한 것으로 큰 의미를 가진다. 2004년 11월의 1차 기록 관리 혁신1)에서 기존의 전자기록관리가 종이기록의 전자적 관리에 맞춰져 있었던 기록 관리 시스템을 전자 형태로 생산된 기록(Born Digital)을 중심에 두고 이를 잘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것을 시스템 혁신의 주요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기록관리에서 세대를 구분할 수 있는 기점이 되는 첫번째 변화는 무엇인가? 중요한 기점 중 첫 번째는 1999년 기록물관리법(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의 제정이다. 기록물관리법은 회의록 등 공공기록의 생산의무, 기록물 등록과 관리, 자료관 등 각급 기록 관리 기관의 설립 근거, 대통령기록관리, 기록물 분류 기준표와 평가방식의 도입, 역사기록물 공개재분류, 전문요원제도의 도입 등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당시로서는 개혁적인법령이었다(대통령자문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백서 2005, 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곽건홍. 2014. 국가기록원 개혁 방향. 기록학연구, (40), 3-27. 

  2. 국가기록원. 2017. 차세대 기록관리모델 재설계 제2차 워크숍 자료집. 

  3. 김유승. 2014. 기록으로의 공공데이터 관리를 위한 제도적 고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1), 53-73. 

  4. 김익한. 2007. 기록학의 도입과 기록관리혁신(1999년 이후). 기록학연구, (15), 67-93. 

  5. 대통령자문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5. 참여정부의 기록관리혁신 백서. 

  6. 박옥남, 박희진. 2016. 전자기록관리에 대한 국제 연구 동향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1), 89-120. 

  7. 박지영. 2016. 차세대 기록물 기술표준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1), 223-245. 

  8. 박지영. 2017. ISAD(G)에서 RiC-CM으로의 전환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1), 93-115. 

  9. 서울특별시. 2016. 서울기록원 정보화전략계획수립용역 완료보고서. 

  10. 서혜란. 2009. 한국 공공기록관리 정책의 연대기적 검토.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2), 189-214. 

  11. 송주형. 2014. 기록관리 대상으로서 SNS 연구. 기록학연구, (39), 101-138. 

  12. 심갑용, 유현경, 문상훈, 이윤용, 이정현, 김용. 2015. 한류문화콘텐츠의 기록화를 위한 AtoM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43), 5-42. 

  13. 안대진, 김익한. 2015. AtoM 시스템의 구축과 커스터마이징 방법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45), 5-50. 

  14. 안대진, 임진희. 2017. 기록시스템의 오픈소스화 전략 연구. 기록학연구, (52), 121-173. 

  15. 오진관, 조윤희, 임진희. 2016. 정부산하공공기관의 업무관리시스템 기능 사례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2), 81-112. 

  16. 오세라, 정미리, 임진희. 2016. 공개포맷에 기반한 전자기록 보존 포맷 재설계 방향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4), 79-120. 

  17. 오진관, 최광훈, 이연희, 최성호, 임진희. 2016. 기록관리기관의 RFID 시스템 기능 개선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4), 55-77. 

  18. 이보람, 황진현, 박민영, 김형희, 최동운, 최윤진, 임진희. 2014. 공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기록시스템 구축가능성 연구. 기록학연구, (39), 193-228. 

  19. 오진관. 2017. 정부산하공공기관의 분류체계관리시스템 기능 설계 연구. 기록학연구, (53), 201-228. 

  20. 이소연. 2015a.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의 활용현황 연구. 기록학연구, (43), 71-102. 

  21. 이소연. 2015b.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의 개선전략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1), 29-52. 

  22. 이소연. 2016. 민간시설 활성화를 위한 공공기록법 개정(안). 기록학연구, (47), 197-225. 

  23. 이승억, 설문원. 2017. 전자기록관리정책의 재설계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52), 5-37. 

  24. 이승일. 2014. 한국 국가기록관리체제의 개혁과 국가기록원 개편. 기록학연구, (41), 39-73. 

  25. 이인혁, 박희진. 2017. 복합전자기록물 아카이빙을 위한 메타데이터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3), 115-138. 

  26. 임지훈, 김은총, 방기영, 이유진, 김용. 2014.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전자기록관리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3), 153-179. 

  27. 전국기록인대회조직위원회. 2016. 제8회 기록인대회 자료집. 

  28. 최윤진, 최동운, 김형희, 임진희. 2014. 공개 소프트웨어 OMEKA를 이용한 기록 웹 전시 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42), 135-183. 

  29. 한국기록전문가협회. 2017. 제5회 대한민국 아키비스트캠프 자료집. 

  30. 행정자치부. 2016. 행정기관 클라우드 업무환경 도입 가이드. 

  31. 허준석, 홍덕용. 2016. 원문정보공개서비스를 위한 전자기록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50), 351-388. 

  32. 황진현. 2013. 공공기관의 생산현황통보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7), 145-188. 

  33. 황진현, 임진희. 2015. 체계적인 원문정보공개를 위한 정부산하공공기관 기록관리시스템 기능요건 연구. 기록학연구, (46), 325-363. 

  34. 현문수, 정상희, 박민영, 황진현, 이소연. 2017.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령 개정을 위한 면담 연구. 기록학연구, (51), 279-306. 

  35. EDRM. 2011. WhitePaper EDRM Information Governance Referen-ce Model IGRM and ARMAs GARP Principles 

  36. European Commission. 2008. MoReq2 (Model Requirements Specification for the Management of Electronic Records) 

  37. NARA, Open Goverment Plan 2016-2018 (https://usnationalarchives.github.io/opengovplan/ (검색일 : 2017.10.10.)) 

  38. Schwab, Klaus.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송경진 역. 2016.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 현재). 

  39. The InterPARES Canada Team (2010. International Standards Relevant to the InterPARES 3 Project: Final Report 

  40. TNA. 2017. Digital Strategy 2017-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