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적 기억을 위한 참여형 디지털 아카이브 이해관계자 면담 연구
The Stakeholder Interview of Participatory Digital Archives for Social Memory 원문보기

기록학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no.54, 2017년, pp.249 - 287  

박진경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전공) ,  김유승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회적 기억과 참여형 디지털 아카이브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함께, 이용자와 운영자를 포함한 이해관계자와의 면담연구를 통한 각각의 경험과 인식의 분석을 바탕으로 참여형 디지털 아카이브의 문제점을 논한다. 이론 연구로서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사회적 기억과 참여형 아카이브 각각의 정의와 상호보완적 개념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사회적 기억을 정치, 사회, 문화를 아우르는 사회적 환경과 공동체 내부관계의 상호작용을 통해 규정되고 생성되는 기억으로 인식하고, 이를 공유된 개인의 기억으로부터 집단 기억, 공공 기억 모두 아우르는 광의의 개념으로 정의하며, 참여형 아카이브를 공동체, 이용자의 자발적 참여와 전문자 그룹의 지원이 만나 기억과 기록이 저장, 보존, 공유, 확산, 재생산되는 디지털 공간으로 이해한다. 한편, 이해관계자 면담연구를 통해, 참여, 정책, 서비스 영역의 이용자 및 운영자 인식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iscusses the theoretical analysis of the concept of social memory and participatory digital archives, and argues the various problems of participatory digital archives based on the analysis of individual experiences and perceptions through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including users an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카이브 자율성이란? 한편, Evans 외(2015)는 인권과 사회 정의 실현의 관점에서 참여형 아카이브를 논하였다. 이들은 아카이브 자율성(Archival Autonomy)을 사회 구성원들이 아카이브에 그들의 목소리를 스스로 담고, 기록관리의 주체가 되어 정체성과 기억을 형성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며, 아카이브 자율성을 실천하고, 사회 정의와 인권 신장에 기여할 수 있는 형태로 참여형 아카이브를 분석하였다. Iacovino(2015)는 참여형 디지털 아카이브을 소수자와 원주민들의 다양한 기록 보존을 위한 유용한 도구로 인식하고 이의 광범위한 구축을 주장하였다.
Halbwachs가 제시한 집단기억 이론이란? 그는 자신의 논리를 뒷받침하기 위해 Durkheim의‘집단의식의 사회학’을 수용한 ‘집단기억(Memoire Collective)’ 이론을 제시하였다. Halbwachs는 특정 집단을 이루는 구성원들 간의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을 기억의 ‘사회적 구성틀(Cadre Sociaux)’로 제시하는데, 그의 설명에 따르면, 기억이란 반드시 사회적 구성틀을 통해서만 매개되며, 오직 그 내부에서만 유효하다(전진성 2003, 108). 이렇듯 기억의 사회적 맥락에 관한 Halbwachs의 견해는 기억이란 특정 사회를 이루는 구성원들 간의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의 결과물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아카이브란? Howard Zinn은 1970년 SAA 연례회의 연설 “The Archivist and New Left”를 통해, 아카이브와 아키비스트가 정치역학에 의해 기록을 편향적으로 남길 수 있음을 인식하고,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아카이브는 정보와 기록을 구조화하여 전승하는 정치적 기관이다. 기억을 담보해야 하는 아카이브는 역사의 재구성을 위해 사회적 기억을 포함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김경훈, 박영우. 2016. 스토리텔링 소재 개발을 위한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과 활용 방안 연구. 한국문화기술, 20, 45-72. 

  2. 김명훈. 2014. 기억과 기록. 기록학연구, 42, 3-35. 

  3. 김수진, 신동희. 2016. 참여형 디지털 아카이브에서의 이용자기여 콘텐츠에 관한 저작권 고찰. 기록학연구, 49, 5-49. 

  4. 김영범. 1999. 알박스(Maurice Halbwachs)의 기억사회학 연구. 社會科學硏究, 6(3), 557-594. 

  5. 박진경, 김유승. 2017. 참여형 디지털 아카이브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2), 219-243. 

  6. 박태연, 신동희. 2016.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평가.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1), 121-150. 

  7. 설문원. 2016. 공동체 아카이브를 위한 기록평가론의 재조명. 기록학연구, 48, 210-252. 

  8. 신동희, 김유승. 2016a. 기억을 위한 아키비스트: 기록과 기억의 이론적 고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1), 41-59. 

  9. 신동희, 김유승. 2016b. 노근리 디지털 아카이브 수집정책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3), 1-30. 

  10. 윤은하, 김유승. 2016. 노근리사건의 사회적 기억과 기록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2), 57-79. 

  11. 이종구, 이재성. 2014. 노동아카이브의 형성과 발전방향 모색. 기록학연구, 41, 175-212. 

  12. 이현정. 2014. 기록학 실천주의(Archival Activism)의 과제와 전망. 기록학연구, 42, 213-243. 

  13. 전진성. 2003. 기억과 역사: 새로운 역사 문화이론의 정립을 위하여. 한국사역사학보, 8, 101-140. 

  14. 최정은. 2011. 사회적 기억과 구술 기록화 그리고 아키비스트. 기록학연구, 30, 3-55. 

  15. 태지호. 2012. 영상재현을 통한 사회적 기억의 의미화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박사논문. 

  16. 최호근. 2003. 집단기억과 역사. 역사교육, 85, 159-189. 

  17. Assmann, A. 1999. Erinnerungsraume: Formen und Wandlungen des kulturellen Gedachtnisses. Munchen: C.H. Beck Verlag. (변학수 외 역. 2003. 기억의 공간. 대구: 경북대학교 출판부). 

  18. Bastian, J. A. 2009. Flowers for Homestead: A Case Study in Archives and Collective Memory. The American Archivist, 72(1), 113-132. 

  19. Blouin Jr, F. X. 1999. Archives, Mediation, and Constructs of Social Memory. Archival Issues, 24(2), 101-112. 

  20. Brothman, B. 2001. The Past that Archives Keep: Memory, History, and the Preservation of Archival Records. Archivaria, 51, 48-80. 

  21. Casey, E. S. 2014. Public Memory in Place and Time, in K. R. Phillips. (eds.). 2014. Framing Public Memory. Tuscaloosa: The University of Alabama Press. 

  22. Caswell, M. 2014. Toward a survivor-centered approach to records documenting human rights abuse: lessons from community archives. Archival Science, 14, 307-322. 

  23. Cook, T. 1997. What is past is prologue: a history of archival ideas since 1898, and the future paradigm shift. Archivaria, 43, 17-63. 

  24. Cook, T. 2001. Archival Science and Postmodernism: New Formulations for Old Concepts. Archival Science, 1, 3-24. 

  25. Cook, T. 2005. Remembering the Future: Appraisal of Records and the Role of Archives in Constructing Social Memory in Archives, Documentations, and Institutions of Social Memory: Essays from the Sawyer Semina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Ann Arbor. 

  26. Cook, T. 2013. Evidence, memory, identity, and community: four shifting archival paradigms. Archival Science, 13(2), 95-120. 

  27. Cook, T & Schwartz, J. 2002. Archives, Records, and Power: From (Postmodern) Theory to (Archival) Performance. Archival Science, 2(3), 171-185. 

  28. Daniel, D. 2010. Documenting the immigrant and ethnic experience in American archives. The American Archivist, 73, 82-104. 

  29. Erde, J. 2014. Constructing archives of the Occupy movement. Archives & Records, 35(2), 77-92. 

  30. Evans, J., McKemmish, S., Daniels, E. & McCarthy, G. 2015. Self-determination and archival autonomy: advocating activism. Archival Science, 15, 337-368. 

  31. Foote, K. E. 1990. To Remember and Forget: Archives, Memory, and Culture. American Archivist, 53, 378-392. 

  32. Fredriksson, B. 2003. Postmodernistic Archival Science - Rethinking the Methodology of a Science. Archival Science, 3, 177-197. 

  33. Gilliand, A. J. & McKemmish, S. 2014. The role of participatory archives in furthering human rights, reconciliation, and recovery. Alanti, 24(1), 79-88. 

  34. Greene, M. A. 2002. The Power of Meaning: The Archival Mission in the Postmodern Age. American Archivist, 65, 42-55. 

  35. Halbwachs, M. 1992. On Collective Memory.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6. Harris, V. 2002. The Archival Sliver: Power, Memory, and Archives in South Africa. Archival Science, 2(1), 63-86. 

  37. Huvila, I. 2008. Participatory archive: towards decentralised curation, radical user orientation, and broader contextualisation of records management. Archival Science, 8(1), 15-36. 

  38. Iacovino, L. 2015. Shaping and reshaping cultural identity and memory: maximising human rights through a participatory archive. Archives and Manuscripts, 43(1), 29-41. 

  39. Jimerson, R. C. 2003. Archives and memory, OCLC Systems & Services: International digital library perspectives, 19(3), 89-95. 

  40. Jimerson, R. C. 2009. Archives Power: Memory, Accountability, and Social Justice. Chicago: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역. 기록의 힘: 기억, 설명책임성, 사회정의. 서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41. Kaplan, E. 2002. Many Paths to Partial Truths: Archives, Anthropology, and the Power of Representation. Archival Science, 2, 209-220. 

  42. Ketelaar. E. 1997. The Difference Best Postponed? Cultures and Comparative Archival Science. Archivaria, 44, 142-148. 

  43. Ketelaar, E. 2002. Tacit Narratives: The Meanings of Archives. Archival Science, 1, 131-141. 

  44. Ketelaar, E. 2005. Sharing: Collected memories in communities of records. Archives and Manuscripts, 33, 44-61. 

  45. Lowen, J. 1999. Lies across America: What our Historic Sites Get Wrong. New York: New Press. 

  46. Nesmith, T. 2002. Seeing Archives: Postmodernism and the Changing Intellectual Place of Archives. American Archivist, 65, 24-41. 

  47. Pierre, N. 1989. Between Memory and History: Les Lieux de Memoire. Representations, 26, 7-24. 

  48. Schwartz, J & Cook, T. 2002. Archives, Records and Power: The Making of Modern Memory. Archival Science, 2, 1-19. 

  49. Sellie, A., Goldstein, J., Fair, M. & Hoyer, J. 2015. Interference Archive: a free space for social movement culture. Archival Science, 15, 453-472. 

  50. Sinn, D. 2012. Archival Memory on the Web: Web 2.0 Technologies for Collective Memory.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2), 45-68. 

  51. Srinivasan, R. & Shilton, K. 2006. The South Asian Web: An Emerging Community Information System in the South Asian Diaspora. Proceedings of the 9th Participatory Design Conference. New York: ACM, 125-133. 

  52. Thelen, D. 1989. Memory and American History. Journal of American History, 75, 1117-1129. 

  53. Theimer, K. 2016. Exploring the participatory archives, ArchivesNext (blog), availvable at: [accessed 2017.2.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