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노인용 단축형 분노반응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hort-form Geriatric Reaction Inventory to Measure Anger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20 no.1, 2017년, pp.95 - 104  

엄진섭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  박지은 (충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  전하정 (충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  정이내 (충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  손진훈 (충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분노반응검사(Evans & Stangelang, 1971)는 분노를 유발하는 자극의 관점에서 분노수준을 평가하는 도구이다. 그러나 이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사용하기에는 문항수가 너무 많아 적은 수의 문항으로 구성된 분노반응검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뢰성이 높고 타당한 단축형 분노반응검사를 제작하는 것이다. 연구 1에서는 60세 이상의 고령자들에게 76문항으로 구성된 분노반응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검사이론에 기초하여 76개의 문항들 중에서 10개의 문항을 추출하여 단축형 분노반응검사를 제작하였다. 연구 2에서는 60세 이상의 고령자들로 구성된 또 다른 표본을 대상으로 단축형 분노반응검사와 타당도 확인을 위한 검사들을 함께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노인용 단축형 분노반응검사의 Cronbach 는 .79로 양호한 수준의 신되도를 보였다. 노인용 단축형 분노반응검사는 특성분노를 반영하는 검사이므로, 특성분노를 측정하는 검사점수와 상관이 높아야하고, 분노의 다른 측면을 반영하는 점수와는 낮은 상관을 보여야 타당하다. 노인용 단축형 분노반응검사 점수는 상태-특성 표현 척도의 특성분노 점수와 .60이상의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분노표출 점수와 .39의 상관을 보였고, 적대감 점수와 .41의 상관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작한 단축형 분노반응검사는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검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reliable and valid Geriatric Reaction Inventory-Simplified Form (GRI-SF). Reaction inventory for measuring anger (Evans & Stangelang, 1971) is an assessment tool in a view of stimuli for measuring the level of anger invoked from the anger-triggered experiences. Yet, the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용 단축형 분노반응검사를 구성하고, 이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노인용 단축형 분노반응검사는 노인들의 분노 수준을 다른 검사들보다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우 빠르고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 단축형 검사는 최소한의 문항으로 신뢰성이 높고 타당한 측정도구를 만드는 것이 목적이다. 검사 이론에 따르면,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세 가지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Algina & Crocker,1986).
  •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에게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노인용 단축형 분노반응검사를 개발하였다. 60세 이상의 노인들에게 76문항으로 구성된 한국판 분노 반응검사를 실시한 후에 단축형 척도를 구성하기 위한 문항을 선별하였다.
  • 구성개념 타당도는 수렴 타당도와 변별 타당도를 통하여 평가할 수 있다(Algina & Crocker, 1986). 본 연구에서는 수렴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의 특성분노 점수와 노인용 단축형 분노반응검사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두 척도 간의 상관계수는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노 수준을 측정하여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심리적, 신체적 건강을 유지하고 사회적 적응을 돕는 중요 수단이 될 것이라는 이유는 무엇인가? 분노는 우울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Gould et al.,1996; Yalug et al., 2010), 자살의 원인중 하나이며(Gvion & Apter, 2011; Hodapp et al., 1997; Stein et al.,1998), 화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in &Suh, 2010). 분노는 사회적 문제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데, 범죄행동이나 폭력 등을 유발한다(Agren, 2001;Del Vecchio & O'Leary, 2004; Farrall, 2004). 또한 분노는 신체적 질병의 직접적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고혈압을 비롯한 심장질환의 발생이나 진행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Friedman& Booth-Kewley, 1987; Roest et al., 2010). 특히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서 분노는 뇌졸중의 원인 중 하나가 되기도 하다(Rosa et al., 2016). 따라서 분노 수준을 측정하여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심리적 건강과 신체적 건강을 유지하고, 사회적 적응을 돕는 중요한 수단이 될 것이다.
분노반응검사란? 분노반응검사(Evans & Stangelang, 1971)는 분노를 유발하는 자극의 관점에서 분노수준을 평가하는 도구이다. 그러나 이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사용하기에는 문항수가 너무 많아 적은 수의 문항으로 구성된 분노반응검사가 필요하다.
분노가 여러 가지 방식으로 개념화되고 측정되고 있는 이유는? 분노는 다양한 측면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방식으로 개념화되고 측정되고 있다. 먼저 분노는 적대감이나 공격성과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세 가지를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gren, H. P. H. (2001). Aggression in the general Swedish population, measured with a new self-rating inventory: The Aggression Questionnaire-revised Swedish version (AQ-RSV). Nordic Journal of Psychiatry, 55(1), 17-23. 

  2. Algina, J. & Crocker, L. (1986). Introduction to Classical and Modern Test Theory.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3. Buss, A. H. & Perry, M. (1992).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3), 452. 

  4. Cho, H. C. & Lee, G-B. (2007).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ehavioral anger response questionnaire.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9(2), 489-503. 

  5. Cho, Y-W., Kim, J-L., Kim, S-Y., Wang, S-K., & Chee, I-S. (2009). A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eaction inventor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15(2), 130-139. 

  6. Chon, K. K., Hahn, D. W., Lee, C. H., & Spielberger, C. D. (1997). Korean adaptat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Anger and blood pressur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1), 60-78. 

  7. Chon, K. K., Kim, D. Y., & Yi, J. S. (2000). Development of the STAXI-K: IV. Korea Journal of Art Therapy, 7(1), 33-50. 

  8. Del Vecchio, T. & O'Leary, K. D. (2004). Effectiveness of anger treatments for specific anger problems: A meta-analytic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24(1), 15-34. 

  9. Ekman, P. (1992). An argument for basic emotions. Cognition & Emotion, 6(3-4), 169-200. 

  10. Evans, D. R. (1970). Specific aggression, arousal and reciprocal inhibition therapy. Western Psychologist, 1, 125-130. 

  11. Evans, D. R. & Stangelang, M. (1971). Development of the reaction inventory to measure anger. Psychological Reports, 29(2), 412-414. 

  12. Farrall, S. (2004). Revisiting crime surveys: emotional responses without emotions? OR Look back at anger.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Research Methodology, 7(2), 157-171. 

  13. Folstein, M. F., Folstein, S. E., &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2(3), 189-198. 

  14. Friedman, H. S. & Booth-Kewley, S. (1987). Personality, type A behavior, and coronary heart disease: the role of emotional ex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4), 783-792. 

  15. Gaylord, R. H. (1969). Estimating test reliability from the item-test correlation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29(2), 303-304. 

  16. Gould, R. A., Ball, S., Kaspi, S. P., Otto, M. W., Pollack, M. H., Shekhar, A., & Fava, M. (1996).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anger attacks: a two site stud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39(1), 31-38. 

  17. Gvion, Y. & Apter, A. (2011). Aggression, impulsivity, and suicide behavior: a review of the literature. Archives of Suicide Research, 15(2), 93-112. 

  18. Hodapp, V., Sicker, G., Wick, A. D., & Winkelstrater, R. (1997). Anger and risk of suicide. Study of elderly psychiatric patients. Der Nervenarzt, 68(1), 55-61. 

  19. Kim, J-N. (201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chool adjustment scale for middle school student and high school student-short form.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5(3), 497-517. 

  20. Linden, W., Hogan, B. E., Rutledge, T., Chawla, A., Lenz, J. W., & Leung, D. (2003). There is more to anger coping than" in" or" out". Emotion, 3(1), 12-29. 

  21. Martin, R., Watson, D., & Wan, C. K. (2000). A threefactor model of trait anger: Dimensions of affect, behavior, and cognition. Journal of Personality, 68(5), 869-897. 

  22. Min, S. K. & Suh, S. Y. (2010). The anger syndrome hwa-byung and its comorbidit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24(1), 211-214. 

  23. Novaco, R. W. (1975). Anger control: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xperimental Treatment. Lexington. 

  24. Roest, A. M., Martens, E. J., de Jonge, P., & Denollet, J. (2010). Anxiety and risk of incident coronary heart disease: a meta-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56(1), 38-46. 

  25. Rosa, P. B., Orquiza, B., Rocha, F. B., Donadel, R. W., Diniz, R. P., Beloni, T. M. ., Aniceto, J. T., & Fragoso, Y. D. (2016). Anger and stroke: a potential association that deserves serious consideration. Acta Neuropsychiatrica, 28(6), 346-351. 

  26. Seo, S-G. & Kwon, S-M. (2002).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1(2), 487-501. 

  27. Spielberger, C. D. (1988). Professional manual for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research edition). Tamp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28. Spielberger, C. D., Jacobs, G., Russell, S., & Crane, R. S. (1983). Assessment of anger: The state-trait anger scale. Advances in Personality Assessment, 2, 159-187. 

  29. Stein, D., Apter, A., Ratzoni, G., Har-Even, D. O. V., & Avidan, G. (1998). Association between multiple suicide attempts and negative affects in adolescen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37(5), 488-494. 

  30. Suh, E. M. & Koo, J. (2011). A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COMOSWB) scale deveopment and valida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5(1), 95-113. 

  31. Yalug, I., Selekler, M., Erdogan, A., Kutlu, A., Dundar, G., Ankarali, H., & Aker, T. (2010). Correlations between alexithymia and pain severity,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patients with chronic and episodic migraine.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64(3), 231-2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