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풍화토 지반에 적용된 인장형 앵커의 주면마찰응력 분포특성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Skin Friction Characteristics of Tension Type Ground Anchors in Weathered Soil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33 no.1, 2017년, pp.39 - 56  

정현식 (경기대학교 토목공학과) ,  한광석 (경기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영생 (경기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반앵커의 인발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앵커 정착장에 작용하는 축력 및 마찰응력 분포특성을 검토해야 한다. 그러나 지반앵커의 하중전이특성에 대한 해석적 방법은 현재 기준화되지 않았으며 또한 이와 관련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마찰(인장)형 지반앵커를 대상으로 풍화토 지반조건에서 작용하중별 정착장에 작용하는 축력 분포와 주면마찰응력분포 특성을 모사할 수 있는 해석적 방법을 검토하였으며, 본 해석적 방법을 통해 주면마찰응력의 진행적 변화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검토결과 제안된 해석적 방법에 의한 정착장 축력 및 주면마찰응력 분포가 현장실험결과와 비교적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stribution of both axial force and skin friction should be investigated in order to estimate pull-out capacity of ground anchors. Numerical method of computing load-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 anchors, however, has not been specified and studies on this area are not sufficient. This s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ung(2012)에 의해 사전 분석된 현장인발시험 결과를 이용함으로써 지반앵커의 인장거동에 대한 해석적 방법의 유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Sung(2012)이 실시한 각 시험조건 및 지반조건은 각각 Table 6 및 Fig.
  • 물론 이러한 특성들을 파악하기 위해서 각각의 앵커제원과 지반조건별로 별도의 수치해석적 방법을 수행할 수는 있으나 이를 실무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복잡하고 또한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설계방법으로는 구현할 수 없었던 지반앵커의 거동을 보다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동시에 정착장 주면마찰응력의 진행적 변화(progressive debonding) 현상의 구현이 가능한 해석적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지반앵커 설계법에서 구현할 수 없는 “지반내 정착된 인장형 앵커의 하중전이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해석적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며, 또한 제안된 방법을 현장 실험적 결과와 비교분석하였고 이에 따른 검토결과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이러한 그라우트와 지반 접촉면간의 전단변형과 전단응력 관계가 규명된다면 실무적으로 지반앵커의 전단변형에 따른 앵커거동을 보다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풍화토 지반을 대상으로 그라우트와 지반 접촉면간의 주면마찰응력을 수치해석적인 방법을 통해 선행 분석할 것이며, 이를 근간으로 대상지반의 축변형률과 주면마찰응력과의 상관관계를 제안하고 본 결과를 이용하여 지반앵커의 전단거동과 인발거동을 평가할 것이다. 또한 본 평가결과를 실제 현장에서 측정된 시험결과와 비교분석함으로써 제안된 주면마찰응력과 축변형률과의 상관관계의 적정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풍화토 지반을 대상으로 그라우트와 지반 접촉면간의 주면마찰응력을 수치해석적인 방법을 통해 선행 분석할 것이며, 이를 근간으로 대상지반의 축변형률과 주면마찰응력과의 상관관계를 제안하고 본 결과를 이용하여 지반앵커의 전단거동과 인발거동을 평가할 것이다. 또한 본 평가결과를 실제 현장에서 측정된 시험결과와 비교분석함으로써 제안된 주면마찰응력과 축변형률과의 상관관계의 적정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마찰형(인장형) 앵커를 대상으로 지반앵커의 축변형률과 전단변형률과의 상관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수치해석에 적용되는 앵커제원 및 지반조건은 김포지역 현장시험조건을 고려하여 설정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지반앵커의 정착거동을 분석하였다.
  • 앞서 설명한 지반앵커의 정착거동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지반조건별, 지반앵커제원별로 앵커의 탄성신장량과 주면마찰력의 관계도가 필요하며 본 절에서는 풍화토 지반조건을 대상으로 Fig. 11(b) 및 Fig. 12(b)에 근거하여 인발하중에 따른 정착장의 인장거동를 평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기실시된 현장시험자료를 근간으로 지반앵커 정착장부의 축변형률 특성을 검토하고 이를 근거로 정착장부의 주면마찰응력과 축변형률의 관계를 분석할 것이다. 즉 본 논문은 현장시험결과에 부합되는 조건으로 지반앵커 정착장의 축변형률과 주변마찰응력과의 관계를 이용함으로써 지반앵커의 전반적인 거동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기실시된 현장시험자료를 근간으로 지반앵커 정착장부의 축변형률 특성을 검토하고 이를 근거로 정착장부의 주면마찰응력과 축변형률의 관계를 분석할 것이다. 즉 본 논문은 현장시험결과에 부합되는 조건으로 지반앵커 정착장의 축변형률과 주변마찰응력과의 관계를 이용함으로써 지반앵커의 전반적인 거동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Woods et al.(1997)은 Fig. 2와 같이 마찰형(인장형) 앵커를 대상으로 그라우트와 지반 접촉면간의 전단변형과 전단응력 관계를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관계는 인장재와 그라우트 접촉면(interface)간의 극한부착저항이 발생하기 이전에 먼저 그라우트와 지반간의 극한마찰 저항이 발현됨을 가정한다. 또한 앵커 인발시 작용하중은 정착장 앞부분에서부터 하중이 작용하며, 이로 인해 인장재(tendon)는 탄성변위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대응하는 주변 그라우트의 변형이 발생함을 가정한다.
  • 두 번째 가정사항은 앵커 인발시 작용하중이 정착장 앞부분에서부터 선행적으로 작용함을 가정하는 것으로, 이는 마찰형(인장형) 앵커를 대상으로는 충분히 타당한 개념이다(Littlejohn, 1997; Xanthakos, 1991; FHWA, 1999). 즉 앵커 인발시 선행적으로 인장재(강재) 앞부분에서 부터 탄성변위가 발생하게 되고, 이 탄성변위에 대응하는 주 변 그라우트의 변형이 발생하게 되며 이때 하중은 점차 정착장 끝부분으로 전이되게 된다.
  • 2와 같이 마찰형(인장형) 앵커를 대상으로 그라우트와 지반 접촉면간의 전단변형과 전단응력 관계를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관계는 인장재와 그라우트 접촉면(interface)간의 극한부착저항이 발생하기 이전에 먼저 그라우트와 지반간의 극한마찰 저항이 발현됨을 가정한다. 또한 앵커 인발시 작용하중은 정착장 앞부분에서부터 하중이 작용하며, 이로 인해 인장재(tendon)는 탄성변위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대응하는 주변 그라우트의 변형이 발생함을 가정한다. 따라서 앵커 정착장부에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인장재와 그라우트와의 상호 부착저항에 입각하여 정착장 변형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그라우트와 주면지반의 전단 변형이 발생하게 됨을 의미한다.
  • 먼저 첫 번째 가정사항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장재와 그라우트 접촉면간의 부착응력 저감 현상이 발생하기 이전에 먼저 그라우트-지반간의 주면마찰응력 저감현상이 발생하게 됨을 가정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연암 이하의 지반조건에서는 충분히 타당한 것이다(Littlejohn, 1980; BS Code, 1989).
  • 세 번째 가정사항은 그라우트와 지반 접촉면간의 “미끌림 마찰(slip friction) 현상”은 그라우트-지반간의 임계축변형률을 초과했을 때 발생한다는 것이다.
  • 즉 극한주면마찰응력(τu)은 정착장 구간의 지반조건 (N>50조건의 풍화토)에 해당하는 500kPa조건으로 설정하였으며, 최대축변형률(εmax)은 현장 최대시험하중(P= 159kN)조건과 강연선(7-wire strand)의 축강성(EA=78,968kN) 조건을 고려하여 약 0.2%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반앵커 공법이란 ? 지반앵커 공법은 천공홀내 강재와 그라우트로 앵커 정착장를 조성하여 구조물에 발생하는 인장력에 저항하는 공법으로 보통 고강도의 PC강선에 선행하중(prestress)을 가하여 지반으로부터 발생하는 응력, 변형, 변위 등으로부터 구조물을 안정시키는 구조체이다.
지반앵커 거동분석을 위해 선행 기지값을 어떻게 결정했나 ? ① 지반앵커의 제원 : 천공경 직경(Dbh), 인장재 제원 (E, A), 정착장 길이(Lb) ② 정착장 주변의 지반조건 : 극한주면마찰응력(τu), 잔류주면마찰응력(τr) ③ 지반조건별 임계축변형률(εc1, εc2), 잔류축변형률 (εr)
지반앵커의 구성은 ? 이러한 지반앵커는 크게 세부분으로 구성되는데 먼저 그라우트와 인장재의 부착저항과 지반과 주입재의 마찰저항을 통해 앵커력을 발휘하는 정착장과 정착장에서 발휘되는 응력을 전달하는 자유장, 그리고 자유장을 통해 전달되는 응력을 목적하는 구조체에 직접 재하하는 정착구로 구성되며 각각 필요한 안정성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Kim et al.,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ASHTO LRFD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2012), pp.5-19-5-26. 

  2. B.S 8081 (1989), "British Standards Code of Practice for Ground Anchorages",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pp.19-31, 34-39. 

  3. Budhu, M. (2011),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pp.723-729 

  4. Civil Engineering Services Department Hong Kong (1989), "Model Specification for Prestressed Ground Anchors", pp.51-65. 

  5. Coates, D. F. and Yu, Y. S. (1970), "Three Dimensional Stress Distributions Around a Cylindrical Hole and Anchor", Proc. 2nd Int. Conf. on Rock Mech., Belgrade, pp.175-182. 

  6. DIN 4125 (1990), "Ground Anchorages-Design, Construction and testing", German Institute for Standardization, pp.19-31, 34-39. 

  7.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Ground (1999), "Anchor and Anchored Systems", pp.4-10, 46-77. 

  8. GEO-SLOPE International Ltd (2007), "SIGMA/W Engineering Manual", pp.107-152. 

  9. Hong, S. W. (2002), "The Study on Pullout Resistance Characteristic of the Compresssion Anchor by Pullout Test on the Field", Journal of Advanced Research in Ocean Engineering, Vol.16, No.2, pp. 44-52. 

  10. Hong, W. P., Yun, J. M., and Song, Y. S. (2004), "Lateral Earth Pressure acting on Anchored Retention Walls installed in Cut Slop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24, No.2C, pp.125-133. 

  11. Ivering, J. W. (1981), "Development in the Concept of Compression Tube Anchors", Ground Eng., Vol.14, pp.31-34. 

  12. Kim, J. H. and Jeong, H. S. (2014), "Characteristics of Multi Load Transfer Ground Anchor System",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16, No.01, pp.25-50. 

  13. Kim, J. H. and Jeong, H. S. (2016), "Ground Anchor Technique for Executives", first edition, CIR, pp.17-52. 

  14. Kim, N. K. (2001), "Load Transfer of Tension and Compression Anchors in Weathered Soil",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17, No.3, pp.59-68. 

  15. Kim, Y. M., Cho, K. W., Kim, W. K., and Kim, H. M. (2004), "Load Distribution and Pullout Capacity of Compression Anch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4219-4224. 

  16. Lee, J. U. (2014), "Effect of Multi-Compression Type Anchor with the Installation Space of Compression Tube", Ph D Thesis, Daejin University, pp.75-85. 

  17. Liao, H., Ou, C., and Shu, S. (1996), "Anchorage Behavior of Shaft Anchors in Alluvial Soil", J. Geotech. Engrg., Vol.122, Issue 7, pp.526-533. 

  18. Littlejohn, G. S. (1980), "Design Estimation of Ultimate Load Holding Capacity of Ground Anchors", Ground Engineering, England, pp.25-39. 

  19. Ostermayer, H. (1974), "Construction, Carrying Behavior and Creep Characteristics of Ground Anchors", ICE Conf. on Diaphargm Walls and Anchorages, London, pp.141-151. 

  20. Ostermayer, H. and Scheele, H. (1977), "Research on Ground Anchors in Non-Cohesive Soils", Revue Francaise de Geotechnique, Vol.3, pp.92-97. 

  21. Post-Tensioning Institute (2004), "Recommendations for Prestressed Rock and Soil Anchors", pp.11-20, 35-50. 

  22. Sung, H. J. (2012), "Tension Force Monitoring of Ground Anchor Using Fiber Optic Sensors Embedded Tendon", Ph D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p.69-144. 

  23. Sung, H. J., Kim, Y. S., Kim, J. M., and Park, G. H. (2011), "Tension Force Monitoring of Tension Type Ground Anchor Using Optical FBG Sensors",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27, No.6, pp.17-26. 

  24. Swiss Society of Engineers and Architects (1977), "SIA. Edition Ground Anchors", pp.28-37. 

  25. Thorburn, S. and Littlejohn, G. S. (1993), "Underpinning and Retention", Champman & Hall, pp.304-310. 

  26. Weerasinghe, R. B. and Littlejohn, G. S. (1997), "Load Transfer and Failure of Anchorages in Weak Mudstone", Ground Anchorages and Anchorages Structures, Thomas Telford ltd, London, pp.34-44 

  27. Woods, R.I. and Barkhordari, K. (1997), "The Influence of Bond Stress Distribution on Ground Anchor Design", Proc. of Int. Conf. Ground Anchorages and Anchorages Structures. London, pp.55-64. 

  28. Xanthakos, P. P. (1991), "Ground Anchors and Anchored Structures", A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pp.71-75, 105-106, 142-15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