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주지역 중학생의 김치에 대한 인식과 섭취실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erception and Intake of Kimchi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Area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29 no.4, 2017년, pp.133 - 147  

권수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정난희 (전남대학교 가정교육과,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초록

본 연구는 광주지역에 거주하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김치에 대한 인식과 섭취실태에 대해 조사하고 김치 인식도에 따른 김치 섭취의 차이를 분석하여, 학생 스스로 김치에 대해 재인식 할 수 있도록 하고, 학생들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도움을 주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광주지역에 거주하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374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중학생의 김치 인식도는 1학년은 4.10점, 3학년은 3.92점으로 1학년이 3학년보다 김치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p<0.001). 중학생의 김치 기호도는 '김치를 좋아하는 정도'(p<0.001), '김치를 먹지 않는 이유'(p<0.05)에서 1학년과 3학년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김치를 좋아하는 정도'에서 김치를 좋아하는 학생은 1학년이 81.7%, 3학년이 59.8%로 1학년이 김치를 더 좋아함을 알 수 있었다(p<0.001). 중학생의 김치 섭취 실태는 '김치 섭취 횟수'(p<0.05), '한번에 섭취하는 김치 양'(p<0.05) 항목에서 1학년과 3학년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김치 섭취 횟수는 1학년은 하루에 한번 집에서 섭취하는 비율이 높았고, 3학년은 하루 3회 이상 섭취하는 비율이 높았다(p<0.05). 중학생의 김치 교육은 '김치 권유에 대한 나의 태도'(p<0.05), '김치 섭취 교육의 필요성'(p<0.05), '김치 정보를 듣고 좋은 음식이라고 생각한 적의 여부'(p<0.001), '희망하는 김치 교육 방법'(p<0.001), '김치 섭취를 높이기 위한 방법'(p<0.05)에서 1학년과 3학년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중학생의 김치 인식도에 따른 김치 기호도는 '김치를 좋아하는 정도'(p<0.001), '김치를 좋아하는 이유'(p<0.05), '김치를 싫어하는 이유'(p<0.05)에서 김치 인식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김치 인식도가 높을수록 기호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고, 김치 특유의 맛을 좋아하였다. 김치 인식도에 따른 김치 섭취 실태는 '김치 섭취 횟수'(p<0.001), '한번에 섭취하는 김치 양'(p<0.05)에서 김치 인식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김치 인식도가 높을수록 김치 섭취 횟수와 섭취량도 더 많은 경향을 보였다. 김치 인식도에 따른 김치 교육은 '김치 권유에 대한 나의 태도'(p<0.05), '김치를 담근 경험'(p<0.05), '김치 섭취 교육의 필요성'(p<0.001), '김치 정보를 듣고 좋은 음식이라고 생각한 적의 여부'(p<0.001)에서 김치 인식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김치 인식도가 높을수록 김치를 권했을 때의 태도 변화가 긍정적이었고, 김치를 담근 경험이 있는 학생일수록 인식도 높았으며 김치 섭취의 교육도 필요하다고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intake of Kimchi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area and analyzed the difference of Kimchi intake according to Kimchi perception level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middle school students develop proper dietary behavior. The dat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광주지역의 중학생들의 김치에 대한 인식과 섭취에 대해 조사하고 김치 인식도에 따른 김치 섭취의 차이를 분석하여 학생 스스로 김치에 대해 재인식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학생들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도움이 되는 방법을 찾아봄으로써 학교에서의 영양교육과 가정에서의 밥상머리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광주지역에 거주하는 중학생 374명을 대상으로 김치에 대한 인식과 섭취실태에 대해 조사하고 김치 인식도에 따른 김치 섭취의 차이를 분석하여, 학생 스스로 김치에 대해 재인식 할 수 있도록 하고, 학생들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도움을 주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민들의 식형태가 밥을 중심으로 하던 이전과는 다름을 알 수 있는 통계는? 식형태의 변화 요인 중 밥이 주가 되던 식사에서 다양한 다른 먹을거리로의 변화와 규칙적이지 못한 식사패턴 등은 김치 섭취에 많은 영향을 준다. 특히 쌀의 소비 감소는 심각한 수준으로 통계청(2017)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16년 가구부문 1인당 연간 양곡 소비량은 71.2kg으로 전년대비 0.7% 감소하여 1년에 1인당 65.0kg의 쌀을 소비해 해마다 쌀 소비량이 줄어들어 매년 사상 최저치를 기록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 국민들의 식형태가 밥을 중심으로 하던 이전과는 확연히 변화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소년의 성인병이 급증하는데 기여한 식생활의 변화는? 이를 통해 우리 국민들의 식형태가 밥을 중심으로 하던 이전과는 확연히 변화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식생활이 점차 서구화되고 정제원료를 사용하는 가공식품 및 다양한 먹을거리가 증가함에 따라서 동물성식품 과다 섭취 및 낮은 식이섬유 섭취로 인해 청소년의 영양불균형과 비만, 당뇨, 변비, 고지혈증, 대장암 등 성인병이 급증하게 된 것이다(Kang, Kim, 2008). 이런 식생활의 변화가 우리의 전통 식사에서 밥을 먹을 때 자연히 함께 먹게 되는 국과 반찬 그리고 김치의 섭취를 감소시킬 수밖에 없는 이유가 되는 것이다.
김치 조달 방식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한편 전통적인 김치의 소비는 가정에서 직접 담가 먹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식품산업의 발달, 가족규모의 변화, 1인 또는 2인 가구의 증가 등 사회적인 현상으로 인해 김치 조달 방식이 직접 담가먹는 것에서 김치를 구매하는 것으로 다양해지고 있다.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1인당 연간 김치소비량은 2005년 33kg에서 2015년 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hn, H. S., Lee, D. H., Lee, J. H., Lee, Y. J., Paik, I. K., & Park, J. K. (1994). Clinical and nutritional examination in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27, 79-89. 

  2. Cheong, H. S., & Choi, H. Y. (2014). Kimchi intake patterns and preferences among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Changwon. Kyungnam University, Journal of Basic Sciences, 31, 59-78. 

  3. Cho, M. Y. (2000). A study on seafood using frequency and consumption promotion in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4.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2001). Norma para el kimchi. Codex stan, 223. 

  5. Han, J. S., Han, J. P., Kim, H. Y., Kim, J. S., & Suh, B. S. (1997). A survey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awareness of and preference for kimchi.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13, 259-265. 

  6. Heo, S. S. (2012). A study on the preferences and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kimchi in Bus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Korea. 

  7. Kang, Y. J., & Kim, H. S. (2008). Dietary Behavior and Dietary Fiber Intake of High School Girls in Chungbuk Area.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24, 121-131. 

  8. Kim, E. H., & Kim, S. R. (1998). A survey on the notion and intake of kimchi among college women.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11, 513-520. 

  9. Kim, I. W., & Cho, Y. B. (2006). A study on preference for purchase and ingestion of kimchi among Busan residents.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2, 187-198. 

  10. Kim, J. A., & Yoon, H. S. (2003). A survey on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ences for kimchi in Masan and Changwon city.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8, 289-300. 

  11. Kim, J. H., & Yoon, H. R. (2012). A survey on the nationwide customers' usage of kimchi consumption.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25, 299-298. 

  12. Kim, J. Y., & Lee, Y. S. (1997). The effects of kimchi intake on lipid contents of body and mitogen response of spleen lymphocytes in ra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6, 1200-1207. 

  13. Kim, N. Y. (2010). A study on middle school male students' preference for kimchi and intake of dietary fib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14. Koo, N. S., & Kim, J. H. (1998). Kimchi preference and intake pattern of college students in Taej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7, 139-148. 

  15. Lee, G. Y., Park, E. S., & Park, K. Y. (2015). Survey on kimchi intake patterns and attitudes towards development of functional kimchi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4, 1226-1233. 

  16. Lee, M. J. (2008).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s for an increase of kimchi intake based on a survey of the actual status kimchi intake.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University of Ulsan, Ulsan, Korea.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National nutrition survey, 2015, and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6 

  18. Moon, H, J., & Lee, Y. M. (1999). A survey 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 and eating behaviors about Kimchi in Seoul and Kyunggido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14, 29-42. 

  19. Moon, S. H. (2004). Effects of experiences in food culture of kimchi on the intake of kimchi.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0. Paek, T. H. (2009). The preference and awareness for kimchi of elementa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21. Park, H. K. (2015). A survey kimchi intake pattern and awareness of female teachers of Jeolla provi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22. Park, U. P. (2003). Development of kimchi and kimchi related products. Kimchi's Science and Technology Journal, 9, 106-107. 

  23. Park, Y. M. (2012). A study on kimchi intake patterns and preferences among som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on, Korea. 

  24. Seung, H. S. (2006). A study on using behavior of bakery by dietary life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5. Shin, J. Y. (2015). The research on the preference for and consumption of Kimchi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Inche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26. Song, H. S. (2015). A consideration how to improve culture related kimchi, through literature ssearch. Journal of Culture Industry, 15, 115-125. 

  27. Statistics Korea (2017). Grain consumption survey,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