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미 고등학교 가정과 교과서의 '가족' 관련 내용 비교: 건강가정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Family-Related Contents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between Korea and the U.S.: Focusing on the Elements of a Healthy Family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5 no.2, 2017년, pp.167 - 180  

강남주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가정교육전공) ,  진미정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on the contents of home economics to form adolescents' values of a healthy marriage and family. For this objective, family-related contents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between Korea and the U.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interpretation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건강가정의 구성요소를 분석기준[5]로 하여 가족 관련의 내용 단원에 해당하는 영역을 질적인 분석방법을 사용 하여 그 특징을 구체적으로 파악해 보았다. 특히 청소년의 눈높이에서의 건강가정 만들기 교육 프로젝트라는 관점을 염두에 두고, 교과서의 내용구성과 내용요소, 서술내용, 사진과 삽화, 그리고 실천적인 활동과제 등에서 나타난 총체적인 특징의 분석결과를 통해 한국 가정과 교과서의 가족 관련 영역 중에 내용구성의 측면에서 발견된 문제점을 파악한 뒤, 이에 관한 개선점을 살펴보고 향후 발전 방향성을 모색해 보았다.
  • 본 연구는 청소년들에게 미래와 현재에 있어서 건강한 결혼과 가족에 대한 가치관 형성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적 역할을 하고자 한국과 미국의 가정과 교과서의 결혼과 가족에 해당하는 영역을 비교 분석하고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기준으로서 Cho 등[5]이 제시한 건강가정 관점의 구성요소들을 분석 기준으로 선정하여 전체 내용을 해석하고 비교하였다.
  • 건강가정의 관점으로 미국과 한국의 가족 관련 부분의 내용을 비교·분석하는 작업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가정과 교육의 과제에 있어서 건강한 가족을 이루는 바람직한 가치관 정립 능력과 적용 능력, 예비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시사점을 발견해 가는 과정으로서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각각의 문화에 독특한 차이가 있음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 가정과 교과서의 내용에 보완할 가치가 있는 사항들을 발견하는 과정으로서 그 의미가 있다. 또한, 현재의 가정과 교육내용의 가족 관련 내용에서 존재하는 미흡한 점들을 발견하여 청소년들에게 적합한 새로운 내용들을 정립할 수 있도록 제안점을 찾는 연구 과정으로서도 그 의미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가족의 변화와 다양성이 증가하는 맥락에서 가정과 교과서의 가족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가정과 교과서의 분석방법 중의 한 가지인 우리나라와 외국의 교과서를 국제적으로 비교분석하는 방법[18]을 연구방법으로 설정 하고, 구체적인 분석내용의 범주로는 한국과 미국의 고등학교 가정교과서에 수록된 가족 관련의 내용을 비교분석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 가정과 교과서를 한국 가정과 교과서와 비교 대상으로 선정하고, 가족에 관련된 내용 부분을 분석의 주제 영역으로 설정한 뒤, 건강가정 관점으로 바라보았을 때 그 차이점과 강조점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비교 하는 과정을 통해 발견되는 특징적인 사항들을 서술해 보고, 한국의 상황에 적합하게 가정과 교육내용에서 개선적인 제안을 줄 수 있는 부분들을 제시하여 보았다.
  • 이때 키워드는 단원을 구성하는 중요한 소재나 재료를 의미하며 색인은 교과서 마지막 장에 ㄱㄴㄷ(ABC) 순서로 표기되어 있다(Table 4). 위와 같은 작업을 통하여 한국과 미국의 가정과 교과에서의 가족 관련 내용이 어떠한 내용 요소들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교육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볼 수 있다.
  • 미국의 가정과 교과서에서는 Family & Consumer Sciences 분야 중 주로 10-12학년을 대상으로 한 최신 교과서 5종에서는 가족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 단원에서 가정의 기초 (family basics)를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사회 안에서 가정들의 역할 점검, 가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문화와 전통의 역할 재고, 가정의 형태 파악, 결혼에 대한 사유, 부모됨에 대한 사유, 가정의 문제 해결 그리고 일과 가정의 조화에 관한 영역을 중심으로 비교 검토해 보았다. 분석단원은 Table 3과 같다.
  • 최종적으로, 한·미 가정과 교과서의 상호 비교 분석을 통해 드러난 차이점 중에서 한국의 가정과 교과서가 보다 발전적인 방향에서 수용할 수 있는 내용과 표현방식이 있는지를 건강가정 관점에서 점검해 보고, 이에 적합한 개선점을 제시해 보았다.
  • 본 논문에서는 건강가정의 구성요소를 분석기준[5]로 하여 가족 관련의 내용 단원에 해당하는 영역을 질적인 분석방법을 사용 하여 그 특징을 구체적으로 파악해 보았다. 특히 청소년의 눈높이에서의 건강가정 만들기 교육 프로젝트라는 관점을 염두에 두고, 교과서의 내용구성과 내용요소, 서술내용, 사진과 삽화, 그리고 실천적인 활동과제 등에서 나타난 총체적인 특징의 분석결과를 통해 한국 가정과 교과서의 가족 관련 영역 중에 내용구성의 측면에서 발견된 문제점을 파악한 뒤, 이에 관한 개선점을 살펴보고 향후 발전 방향성을 모색해 보았다.
  • 한·미 가정교과서는 건강가정의 관점에서 교과의 내용을 청소년들에게 어떻게 효과적인 방식으로 전달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 한·미 가정교과서를 비교분석함에 있어서 건강가정의 관점의 시각에서 바라볼 때, 각국의 문화의 차이에 따라 그 차이점과 공통점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가설 설정

  • 동시에 가족 구성원들 간의 상호 연대성이 강하여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지는 가족 공동체가 건강가정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가정 공동체는 상명하복의 위계질서보다는 인격적인 나와 너의 관계로 가족 상호 간의 균형과 조화를 이룬 가정이다. 2004년 2월에 제정된 건강가정기본법 제1장 총칙 제3조에서의 용어정리를 살펴보면, “건강가정이라 함은 가족구성원의 요구가 충족되고 인간다운 삶이 보장 되는 가정을 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과서의 역할은 무엇인가? 교과서는 학교교육을 정상화하는 기능을 하며, 각 교과의 교수·학습 과정이 개선될 수 있도록 선도하는 역할을 한다[1]. 또한, 교과서는 공식적인 학습시간 동안 청소년들이 접할 수 있는 1차적인 교육 매체로서 교과서가 담고 있는 교육내용 자체는 교육적 영향력을 미치는 과정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데, 특별히 가정과 교과서는 ‘가족’ 관련 내용들을 통해 청소년의 결혼과 가족에 대한 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공식적 교육과정의 주요 매체이다. 그러므로 가정과 교과서에 대한 연구는, 청소년들에게 가족에 관한 균형 잡힌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교육적 역할을 수행하는 작업이며 동시에 가정과 교과내용 개발의 끊임없는 과제라고 보겠다.
가족과 가정의 개념 차이는 무엇인가? 건강가족과 건강가정의 개념의 사용에 있어서 가족과 가정이 서로 혼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가족이라는 개념은 가족 구성원 사이의 기능 중심의 가족체계로서의 의미가 좀 더 강하고, 가정이 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는 주로 일상생활 중심의 장소나 공동체로서의 의미가 더 강조된다[25]. 이 외에도 가족이라는 개념은 사회 제도적인 측면, 특히 구성원들의 관계적인 측면이나 이데올로기적 측면에서 해석될 경우가 많으며 가정의 개념은 가족 구성원의 삶의 토대가 되는 곳이라고 이해될 수 있다[22].
건강가족의 구성요소는 학자별로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가? 건강가족의 구성요소는 학자들 간에 차이를 보인다. Stinnett와 Sauer (as cited in Kim 등[9])는 애정과 감사에 대한 표현 능력, 가족에 몰입하는 정도·책임감, 긍정적 의사소통 능력, 종교적 태도, 문제나 위기에 대처하는 능력과 같은 것들을 이야기 했으며, Yoo [24] 는 가족원에 대한 존중, 가족원 간의 유대의식(우리의식), 감사와 애정·정서적 안식처, 가치관 목표 공유, 가족원의 역할 충실, 문제해결 능력과 같은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요소들이 보여주고 있듯이 건강가정의 개념은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여러 가지의 모습으로 설명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e, J. S. (2002). Conditions of good textbooks. Textbook Research, (39), 22-26. 

  2. Brown, M. M. (1980). What is home economics education?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3. Chae, J. H., Park, M. J., Kim, S. G., & Han, J. (2011). Instruction to home economics education. Paju: Gyomoon Publishers. 

  4. Chang, J. Y. (2005). Family strengths and the need for healthy families education in home economics subject of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5. Cho, H. G., Kim, G. S., Jung, M. J., Song, H. R., Lee, S. M., Sung, M. A., et al. (2014). Introduction to healthy families. Seoul: Shinjung. 

  6. Eo, E. J., & Yoo, Y. J. (1995).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scale for measuring family strength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3(1), 145-156. 

  7. Jung, S. H.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nd practicability of the contents of the "me and my family relations" unit and family strength amo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8. Kim, H. S. (2007). A study on the Oregon and Ohio's practical problem focused family & consumer sciences curricula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9. Kim, H. S., Na, Y. S., Kim, C. S., Park, K. A., & Park, M. Y. (2009). Introduction to healthy families. Paju: Yangseowon. 

  10. Kim, H. S., & Yoo, T. M. (2007).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home economic curriculum and American practical problem focused family & consumer sciences curricula.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4), 91-117. 

  11. Kim, J. Y., & Cho, B. E. (2008). A content analysis of the family-related units in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from the theoretical viewpoint of structure functionalism.family development and healthy family.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1), 117-136. 

  12. Kim, S. B. (2012). A comparative study of American National Standards for family and consumer sciences(FCS) education and FCS curricula in the United States: Focusing on Maryland, Minnesota, Ohio, and Pennsylvan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13. Lee, E. J. (2013). Content analysis of the 'Understanding of Family' chapter in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from a healthy family viewpoint: Focused on the 2007 and 2009 curricula and textbook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14. Lee, I. H., & Lee, O. I. (1988). Teaching home economics. Seoul: Soohaksa. 

  15. Lee, K. H.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s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16. Lee, S. H. (2005). The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s of the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 &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building family strength.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7(1), 113-29. 

  17. Lee, Y. S. (2003). Theory & practice of the home economics. Seoul: Shinkwang. 

  18. Lee, Y. S. (2010). An analysis on the units of 'adolescence self-management' and 'adolescence consumption life'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used in middle schools: Focusing on how the emphasis of the 2007 curriculum revision is reflected.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55-75. 

  1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 Ok, S. H. (1995). Family crisis & future.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Seoul: Hawoo Publishing. 

  21. Shin, Y. O. (2014). Middle schooler's recognition of family strength & interest of family life contents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22. Song, H. R., Sung, M. A., Chin, M. J., & Lee, S. M. (2005). A study on the conceptual discussion of healthy famili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3(6), 179-190. 

  23. Suh, M. J. (2014).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of unit on 'self-understanding of adolescents' to build empowerment of adolescents: Focusing on home economics textbook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4. Yoo, Y. J. (2004, May). The meaning of healthy family in Korea and search for future direction. Paper presented at the 10th memorial symposium of the world's family year of the UN, Seoul, Korea. 

  25. Yoon, G. J., Kim, J. O., Hyun, E. M., Jeon, Y. J., Yoo, G. S., & Kim, E. K. (2009). Introduction to healthy families. Goyang: Gongdongchae. 

  26. Yoon, I. G., & Na, Y. G. (2005).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Focused on USA, Japan and Taiwan. Teacher Education, 21(1), 119-1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