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지원과 규제장벽이 국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Government Support and Regulation on SMEs Technology Innov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4, 2017년, pp.117 - 125  

손동섭 (성균관대학교 기술경영학과) ,  이정수 (한국로봇융합연구원) ,  김윤배 (성균관대학교 시스템경영공학과)

초록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유도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 수단인 연구개발지원과 규제장벽이 실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연구개발지원에 대한 내생성을 고려하지 않았으며, 규제의 경우 연구자마다 상이한 결론을 도출하였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실증적 연구를 추진하였다. 중소기업 1,223개를 대상으로 연구를 추진하여, 로직분석, 음이항분석, 2SLS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정부연구개발지원의 내생성을 고려하여도 실제 기술혁신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규제가 기술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Porter의 이론을 지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갖는다. 중소기업이 가지는 기술개발 환경의 취약성 때문에 정부의 연구개발지원은 기술혁신 유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정부는 무조건적인 규제 철폐보다는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과 더불어 적절한 규제를 추진하는 정책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육성해야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effect of government R&D support and regulation as a policy on technology innovation of SMEs. Because the previous studies did not consider the endogeneity of R&D support and made inconsistent conclusions in the case of regulation, the empiric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정부지원과 규제가 기술혁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언급된 요인들을 바탕으로 정리한 영향요인들을 활용하여 종합적인 연구모형을 완성하였다.
  •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정부정책방향의 효과를 실증적 연구를 통해 탐색함으로써, 국내 실정에 맞는 규제 및 지원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향후 정책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실증적 근거자료로 활용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정부지원과 규제장벽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위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차별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책연구소가 2년마다 기업의 전체적인 기술혁신현황 및 기업현황에 대해 조사하는 통계청 승인통계인 기술혁신조사 데이터를 통계자료로 활용하였다. 이 조사는 OECD의 오슬로 매뉴얼을 기반으로 설계된 것으로 우리나라 제조업의 혁신활동 전반에 대한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여 국가 혁신정책 수립 및 혁신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제공하고자 하고 있다.
  • 즉, 규제에 따른 비용 상승이 경쟁력 하락을 유도하며, 특히 자본구조가 취약한 중소기업의 경쟁력 하락이 심화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적절한 규제는 기업의 시장실패를 방지하고 기업 간 공정한 기회를 제공 하는 만큼 본 연구에서는 Porter의 혁신이론을 바탕으로 연구를 추진하였으며, 이에 대한 실증적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이론을 뒷받침하였다. 나아가 기술적 진보뿐만 아니라 제품 또는 공정을 혁신시켜 근본적인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주장을 지지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은 대기업과 어떤 차이가 존재하는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과 대기업 기술혁신에는 명확한 차별성이 존재한다.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은 기존제품을 대체할 발명, 신기술의 접목, 사용자의 기대 충족 등을 중시하는 동시에, 틈새시장, 즉 대기업이 관심을 가지기에는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시장에서의 독점적인 지위를 획득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어 혁신 비중이 높고 점차적인 증가 추세에 있다[15]. 동시에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은 수익성 증대 및 이윤 실현의 바탕이자 기업의 성장 동력으로 역할 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성장과 발전, 경쟁에서의 생존을 위한 절대적인 관건으로 작용하기 때문에[16],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기업의 기술혁신역량이 강조된 이유는 무엇으로 볼 수 있는가? 그 중에서도 특히 신(新)성장동력의 발굴을 통한 새로운 산업의 확대를 목적으로 기업의 기술혁신역량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시장의 확대에 따른 글로벌 경쟁이 제품생산 및 서비스의 차별화를 위한 기업의 혁신에 불가피한 압력으로 작용하였으며[1], 이로 인해 기술혁신이 경쟁에서의 우위 확보를 위한 필수적인 조건으로 인식되기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규제가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규제(regulation)란 국가가 지향하는 경제성장, 물가안정, 공평한 소득분배, 정의사회 구현, 인권의 보호, 또는 과학·산업발전, 기술혁신 등 공공적 가치와 이익 또는 사회적·경제적으로 바람직한 질서의 형성 및 유지를 목적으로 국가 즉 정부가 기업과 일반 국민의 의사결정 및 행위를 제약하거나 의무를 부과하는 다양한 형태의 수단을 의미한다[17,18,19]. 이와 같이 규제는 공익 실현을 위해 서는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 있는 반면 자유 시장경제의 중요 원리를 침해할 수 있다는 의견도 공존하기 때문에 규제에 대한 논의는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Schilling, M. A., "Strategic management of technological innovation(3rd ed.). McGraw-Hill Korea", 2010. 

  2. Cho Ka Won, "Effects of Firm Characteristics on Qualification for Government R&D Supports."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 18, No. 1, pp. 99-121, 2010. 

  3. Nicoletti, G. and Scarpetta, S., "Regulation, Productivity and Growth: OECD Evidence." Economic Policy, Vol. 18, No. 36, pp. 9-72, 2003. 

  4. Jo Ju Hyeon, "Focusing o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Environmental Regulation Implementation and Innovation." Kyong Je Hak Yon Gu, Vol. 51, No. 4, pp. 279-313, 2003. 

  5. Jo Ju Hyeon, Lee Yeong Su, Cha Geun Ho, "Focusing on indirect and direct productivity effects Environmental Regulation Implementation and Productivity Analysis."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Organization, Vol. 12, No. 1, pp. 21-62, 2004. 

  6. Palmer, K., Oates, W. E. and Portney, P. R., "Tightening Environmental Standards: The benefit cost or no-cost paradigm."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Vol. 9, No. 4, pp. 119-132, 1995. 

  7. Jaffe, A. B. and Palmer, K., "Environmental Regulation and Innovation: A panel data study."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 79, No. 4, pp. 610-619, 1997. 

  8. Lee Mi-Hong,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 Environmental Innovation and Environmental Policy."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 37, No. 1, pp. 293-313, 2003. 

  9.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Korea Industrial Technology Association, "Technological Innovation Support System for Creative Economy. Seoul: Jin Han M&B", 2014. 

  10. Hyuck Jun Song, Yi Bae Kim, Oung Rak O, "The Study on the Effect of SBC Policy Funding Programs on the Improvement of Financial Performance." The Korean Small Business Review, Vol. 28, No. 4, pp. 65-80, 2006. 

  11. Institute for Advanced Engineering, "Performance Analysis of SMEs Technology Innovation Development Project.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2004. 

  12. Lach, S., "Do R&D Subsidies Stimulate or Displace Private R&D: Evidence from Israel." The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Vol. 50, No. 4, pp. 369-390, 2002. 

  13. Grossmann, V., "How to Promote R&D-based Growth? Public Education Expenditure on Scientists and Engineers versus R&D Subsidies." Journal of Macroeconomics, Vol. 29, No. 4, pp. 1-21, 2007. 

  14. Rothwell, R. and Dodgson, M., "Innovation and Size of Firm." The handbook of industrial innovation, pp. 310-324, 1994. 

  15. Pavitt, K., "Sectoral patterns of technical change: towards a taxonomy and a theory." Research policy, Vol. 13, No. 6, pp. 343-373, 1984. 

  16. Kim Yong Hwan, Lim Hee-Jung, "A Study on Policies and Strategy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Industrial Cluster, Vol. 1, No. 1, pp. 47-66, 2007. 

  17. Lee Si-Kyung, "Issue and Criteria of Policy Instrument Choice in Environmental Regulatio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 30, No. 1, pp.113-127, 1996. 

  18. OECD, "The OECD Regulatory Indicators Questionnaire: Regulatory Structures and Policies in OECD Countries." ECO/CPE/WPI 2003-11, 2003. 

  19. Choi Byung Sun, "Theory of government regulation. Seoul: Bobmunsa", 2006. 

  20. Young B. Lee, Hyun Jung Ji, "A Comparativ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Regulation and Productivity in OECD Countries."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Vol. 46, No. 3, pp. 235-261, 2008. 

  21. Kwak Soo Hwan, Choi Suk Bong, "Determinants of innovation in service industry: Resource based and industrial organization perspectives." Journal of the Korea Service Management Society, Vol. 10, No. 2, pp. 1-25, 2009. 

  22. Suk-Bong Choi, Gui-Ryong Ha, "A Study of Critical Factors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of Korean Manufacturing Firms."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Vol. 24, No. 1, pp. 1-24, 2011. 

  23. Park Sang-Mun, Lee Byeong-Heon, "The Effects of the Utilization of External Resources o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s of New Ventures." The Korean Small Business Review, Vol. 28, No. 2, pp. 181-206, 2006. 

  24. Changjuck Suh, Chanhyoung Lee, "An Analysis on the Moderated Effects of National R&D program on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SMEs." Journal of the Korean Production and Operations Management Society, Vol. 18, No. 3, pp. 23-52, 2007. 

  25. Minjung Kim, Myungjae Moon, Yongsuk Jang, "A Study on the Impact of Policy Measures on Firms Technology Innovation: Focused on tax expenditures and subsidies." The Korea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Vol. 20, No. 4, pp. 1-26, 2011. 

  26. Kyungil Khoe, "Demand on Government Sponsored Loan and Successful Case Study on ICT SMEs: Focused on 'ICT Government Sponsored Loan Projec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8. No. 1, pp. 213-220, 2017. 

  27. Guellec, D. and Van Pottelsberghe de la Potterie, B., "Does Government Support Stimulate Private R&D?" OECD Economic Studies, No. 29, 1997-2, pp. 95-122, 1997. 

  28. Almus, M. and Czarnitzki, D., "The Effects of Public R&D Subsidies on Firms Innovation Activities: the Case of Eastern Germany." Journal of Business & Economic Statistics, Vol. 21, No. 2, pp. 226-236, 2003. 

  29. Czarnitzki, D., Ebersberger, B. and Fier, A., "The Relationship between R&D Collaboration, Subsidies and R&D Performance: Empirical Evidence from Finland and Germany." Journal of Applied Econometrics, Vol. 22, No. 7, pp. 1347-1366, 2007. 

  30. Cheol Ju Lee, Kang Taek Lee, June Seuk Shin, "Factors influencing commercialization of government SME R&D project: effect of patent and certification."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 20, No. 3, pp. 230-254, 2012. 

  31. Yoon Gyu Yoon, Young Woo Koh, "The Effects of Government-sponsored R&D on the Participating Firms' Performance."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 19, No. 1, pp. 29-53, 2011. 

  32. Lichtenberg, F. R., "The Effect of Government Funding on Private Industrial Research and Development: A Re-assessment." The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Vol. 36, No. 1, pp. 97-104, 1987. 

  33. Shrieves, R. E., "Market Structure and Innovation: A New Perspective." The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Vol. 26, No. 4, pp. 329-347, 1978. 

  34. Smith, G. V. and Parr, R. L., "Valu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Intangible Assets(Vol. 13), New York: John Wiley & Sons", 2000. 

  35. Pavitt, K., "Patent Statistics as Indicators of Innovative Activities: Possibilities and Problems." Scientometrics, Vol. 7, pp. 77-99, 1985. 

  36. Griliches, Z., "Patent Statistics as Economic Indicators: A Survey."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Vol. 28, No. 4, pp. 1661-1707, 1990. 

  37. OECD, "Oslo Manual: Guidelines for Collecting and Interpreting Innovation Data(3rd ed.)", 2005. 

  38. Agresti, A., "Logit models for multinomial responses. Categorical Data Analysis", Second Edition, pp. 267-313, 2002. 

  39. Ver Hoef, J. M., Boveng, P. L., "Quasi­poisson Vs.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How Should We Model Overdispersed Count Data?", Ecology, Vol. 88, No.11, pp.2766-2772, 2007 

  40. Young Sung Lee, "Metro Cities' and Provinces' Total Factor Productivity and its Determinants in Korea",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Vol.58, pp.39-53, 2008. 

  41. Gujarati, D. N., "Basic econometrics", Tata McGraw-Hill Education,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