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숲 활동을 토대로 한 만 4세 유아의 자발적 동시 짓기 과정과 시적 표현
Emerging Poetry Composition and Poetic Expression in 4 year Olds Stemming from Forest Activitie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3 no.2, 2017년, pp.59 - 80  

김유미 (덕성여자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find out the development of 4-year-old children's emerging poetry composition process and features of poetic expression through their own forest experiences. This research also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poetry education for ear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활주제와 연계된 동시 활동의 장단점은? 선행연구에서는 교사들이 동시교육 시 생활주제에 연관된 일회적 단위활동을 구성하여 적용하는 경직된 교수법을사용하고 있으며, 유아에게 동시를 제시한 후 낭독하거나 외우게 하는 데 치우친 방법으로 활동을 진행하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김재숙, 2001; 이하경, 1996). 생활주제와 연계된 동시 활동은유아의 선행지식과 관련하여 효과적인 교육내용을 구성하는 방법이지만, 교사중심접근이며 정해진 하루 일과 내에서 이루어지는 활동 시간의 제약이 있어 유아의 개인차와 관심사를 반영하기 어렵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교육 현장에서 이와 같은 교사주도 방식의 문학교육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현상은 문학적 능력을 텍스트와 언어의 구조물에 관심을 갖고 작품의 세부사항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능력으로 정의하는 신비평이론의 영향에서 찾아볼 수 있다.
동시란? 이는 그 만큼 유아기 문학교육에서의 관심이 동화에 치중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동시는 비유와 상징을 통해 경험과 정서를 집약적으로 표현하고 어조와 운율, 감각적 어휘를 사용하여 표현하는 문학 장르이다. 유아는 말의 리듬과 운율을 즐기는 특성이 있으며 산문보다 운문을 선호하므로, 동시를 통해 언어의 리듬과 감각을 익히고 쉽고 재미있게 문학적인 언어를 경험할 수 있다(Hayes, Chemelski, & Palmer, 1982).
유아의 경험구성의 측면에서 보면 유아의 동시 짓기 활동에는 무엇이 필요한가? 이는 선행연구에서 교사들이 동시짓기를 어려운 활동으로 인식하는 것과 관련하여 보육계획 내에서 교사에 의해 제시되는 접근의 제한점을 유아의 경험구성의 측면에서 살펴보게 한다. 시를 짓기 위해서는 자신의 신체 바깥에서 일어나는 일을 감지하는 수준을 넘어 느끼고 생각할 수 있어야 하며(김녹촌, 2005), 개인적 경험과 느낌을 충분히 가질 수 있는 시간적 여유와 몸의 자유, 풍부한인상의 기회가 필요하다(임부연 등, 2013).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유아기 동시교육은 예술충동과예술감상, 예술창작이 자연스럽게 연계되어 발현되도록 하는 접근이 필요하며(임부연 등, 2013),시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예술충동이 일어나기 위해서 감정을 증폭시켜 줄 조건으로서 사전경험이 구조화되어야 한다고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권혁준 (1997). 문학이론과 시교육. 서울: 도서출판 박이정. 

  2. 김규선, 진선희 (2004). 활동 중심 문학 교수-학습의 문제점과 그 극복방안. 한국초등국어교육, 26, 5-37. 

  3. 김녹촌 (2005). 올바른 일기쓰기 및 생활문 쓰기 지도는 이렇게. 서울: 온누리. 

  4. 김선영, 박금미 (2008). 자연체험에 기초한 동시 관련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언어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8(6), 143-158. 

  5. 김재숙 (2001). 유치원 교사의 동시지도에 관한 인식과 실제사례 분석을 통한 동시지도 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어린이 문학교육 연구, 2(2), 81-104. 

  6. 마유미, 정선아 (2012). 자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1(4), 163-191. 

  7. 박혜경, 강은진 (2015).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동화.동시 활동의 언어적 구성요소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1), 137-156. 

  8. 보건복지부, 교육과학기술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서울: 보건복지부, 교육과학기술부. 

  9. 서혜정 (2013). 사진기록화 작업으로 숲 활동을 교실에 연결하는 숲반의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 생태유아교육연구, 12(4), 151-180. 

  10. 송혜경, 김수영 (2013). 식물체험과 연계한 동시감상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정서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열린부모교육연구, 5(1), 1-16. 

  11. 유선희, 장영숙 (2016). 숲 체험활동을 통한 소집단 동시 짓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8(2), 255-272. 

  12. 이윤경 (2000). 동시확장활동이 유아의 어휘력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0(4), 165-187. 

  13. 이윤희, 이미숙 (2007). 산책 활동이 동시 짓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논집, 27(1), 63-93. 

  14. 이상희 (2012). 자연체험을 통한 동시 확장활동이 유아의 문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연구, 14(2), 159-186. 

  15. 이선경, 김경의 (2013).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동화?동시 분석. 어린이 문학 교육 연구, 14(3), 185-205. 

  16. 이송은, 박찬옥 (2002). 통합적인 동시짓기 활동이 유아의 동시짓기와 감상 및 교사의 동시인식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 문학교육 연구, 3(1), 101-126. 

  17. 이하경 (1996). 유아주도적 동시활동이 유아의 언어이해력과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향근 (2012). 언어유희 동시 교육의 개선 방향 탐색. 청람어문교육, 45, 381-407. 

  19. 이효원, 안지성, 문서림, 조희숙 (2015). 숲으로 가는 산책길에서 들리는 아이들의 목소리. 열린유아교육연구, 20(1), 231-254. 

  20. 임부연, 김성숙, 오정희 (2009). 상상과 은유를 매개로 유아교사의 발화탐구. 한국영유아보육학, 59, 81-104. 

  21. 임부연, 류미향, 이윤좌 (2013). 분홍반 유아들의 일상적 "시"짓기 활동에 관한 미학적 탐구. 유아교육연구, 33(6), 93-116. 

  22. 정선아, 서윤희, 탁혜진 (2011). 유아의 물감과 찰흙 조형 매체 탐색 경험의 의미: 예술적 경험과 앎의 과정 관계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5(1), 325-349. 

  23. 정정순 (2007). 동시 교육, 이렇게 하자. 창비어린이, 5(2), 62-74. 

  24. 최미숙, 김미영, 민순옥 (2009).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동시짓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구성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복지연구, 13(1), 133-152. 

  25. 한미훈 (2014). 내러티브를 통한 시 교육 방안. 한어문교육, 30, 107-134. 

  26. 황정숙 (2000). 유치원에서의 동시 활용 방안 모색. 열린유아교육연구, 5(2), 149-170. 

  27. Blanchet-Cohen, N., & Elliot, E. (2011). Young children and educators engagement and learning outdoors: A basis for rights-based programming. Early Education & Development, 22(5), 757-777. 

  28. Bogdan, R. B., & Biklen, S. S. (1992).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s. Boston, MA: Allyn and Bacon. 

  29. Cliatt, M. J., & Shaw, J. M. (1988). The story time exchange: Was to enhance it. Childhood Education, 64(5), 293-294. 

  30. Cumming, R. (2007). Language play in the classroom: Encouraging children's intuitive creativity with words through poetry. Literacy, 41(2), 93-101. 

  31. Fox, C. (1993). Tellings and retelling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children's oral stories. Literacy, 27(1), 14-20. 

  32. Fitzgerald, J., Schuele, C. M., & Roberts, J. (1992). Emergent literacy: What is it and what does the teacher of learning disabled children need to know about it? Reading and Writing Quarterly, 8(1), 71-85. 

  33. Hayes, D. S., Chemelski, B. E., & Palmer, M. (1982). Nursery rhymes and prose passages: Preschoolers' liking and short-term retention of story events. Developmental Psychology, 18(1), 49. 

  34. Mathison, S. (1988). Why triangulate? Educational Researcher, 17(2), 13-17. 

  35.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0). The relation of child care to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71(4), 960-980. 

  36.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2). Child-care structure $\rightarrow$ process $\rightarrow$ outcom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hild-care quality on young children's development. Psychological Science, 13(3), 199-206. 

  37. Neuman, S. B., & Celano, D. (2001). Access to print in low-income and middle-income communities: An ecological study of four neighborhoods. Reading Research Quarterly, 36(1), 8-26. 

  38. Ostrosky, M. M., Gaffney, J. S., & Thomas, D. V. (2006). The interplay between literacy and relationship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Reading and Writing Quarterly, 22(2), 173-191. 

  39. Paley, V. G. (1990). The boy who would be a helicopter.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40. Pappas, C. C., & Brown, E. (1987). Learning to read by reading: Learning how to extend the functional potential of language. Research in the Teaching of English, 21(2), 160-184. 

  41. Saracho, O. N., & Spodek, B. (2006). Young children's literacy-related play.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76(7), 707-721. 

  42. Yager, S., Johnson, D. W., & Johnson, R. T. (1985). Oral discussion, group-to-individual transfer, and achievement in cooperative learning group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7(1), 60-66. 

  43. Winner, E. (1997). The point of words: Children's understanding of metaphor and iron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