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숲체험장의 환경특성에 따른 유아놀이 행태분석
An Analysis of Young Children's Play Behavior by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 in the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Children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4 no.6, 2016년, pp.162 - 176  

강태순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이명우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정문선 (청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초록

숲공간에서의 경험과 놀이가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최근 숲활동공간에 대한 연구와 관련 조성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들이 숲활동의 효과를 중심으로 하고 있어, 숲활동을 위한 공간설계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숲활동공간의 물리적 환경특성이 유아놀이행태와 유아발달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숲활동공간 설계 시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우선 유아발달과정의 지표인 인지 사회놀이를 유아의 놀이행태유형으로 선정하고, 숲활동공간은 놀이시설공간과 숲속공간으로 구분하였다. 각 공간의 환경특성으로는 놀이시설공간의 경우, 놀이영역과 포장재, 숲속공간의 교목 및 관목밀도, 경사, 포장재, 자연낱개재료로 선정하였다. 환경조사와 행태관찰조사를 바탕으로 만 4, 5세 유아들이 각 공간에서 보이는 놀이행태의 유형과 발생빈도를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 놀이시설공간에서는 시설과 모래장이 함께 있는 시설물놀이터에서 놀이행태가 높게 발생했으며, 인지 사회놀이는 기능-혼자와 기능-병행놀이가 우세하게 발현되었다. 2) 숲속공간에서는 낮은 밀도의 식재공간과 자연낱개재료가 있는 환경에서 다양한 유아놀이행태가 나타났고, 기능-집단놀이와 발달단계의 최상위인 상징-집단놀이가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3) 상징-집단놀이는 소밀도 이하의 교목, 10~20도 경사, 땅에 고정된 대형 그루터기의 환경특성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들의 놀이행태를 직접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써, 유아들의 숲활동을 위한 공간조성시 적용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특성의 기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xperience and play activities in forest spaces have played an effective role in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therefore, many studies and projects related to forest activity space have progressed actively. However, the focus of previous research has been merely on the effectiveness of for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연친화적인 교육활동의 일환인 숲유치원이 만들어지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현대의 산업화는 인간을 자연으로부터 멀어지게 하였으며, 이는 특히 유아기의 발달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활동적이고 풍부한 놀이활동을 심각하게 손상시켰다(Kwak, 2011). 자연을 바탕으로 한 놀이의 결핍과 인지중심으로 편향된 교육은 운동부족으로 인한 심각한 신체적 건강문제를 유발하고 있다(Kim et al., 2012). Kwak(2011)에 따르면 행동부적응의 아동이 증가 추세에 있고,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또한 급증하는 추세로 전체 아동의 5%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온몸의 감각기관을 통해 숲을 느끼는 경험, 즉 자연친화적인 교육활동의 일환인 숲유치원이라는 개념이 2008년 국내에 도입되었다(Yoo, 2013).
숲유치원이란 무엇인가?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온몸의 감각기관을 통해 숲을 느끼는 경험, 즉 자연친화적인 교육활동의 일환인 숲유치원이라는 개념이 2008년 국내에 도입되었다(Yoo, 2013). 숲유치원은 지속적이고 정기적이며, 자연 속에서 체험과 놀이를 통해 자연과 교감을 나누는 활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숲공간에서의 경험과 활동은 유아의 성장발달과 관련한 거의 모든 영역에서 효과가 있는데, Cosco and Moore(2009)는 숲활동이 주의기능과 인지발달, 자존감, 학업 수행능력, 운동능력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숲활동이 유아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숲유치원은 지속적이고 정기적이며, 자연 속에서 체험과 놀이를 통해 자연과 교감을 나누는 활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숲공간에서의 경험과 활동은 유아의 성장발달과 관련한 거의 모든 영역에서 효과가 있는데, Cosco and Moore(2009)는 숲활동이 주의기능과 인지발달, 자존감, 학업 수행능력, 운동능력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Häefner(20 2)는 초등학교의 수업수행능력에서 숲유치원 졸업생이 일반유치원 졸업생보다 더 뛰어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arker, R. G.(1968) Ecological Psychology. Stanford Univ. Press. 

  2. Cho, C. W. and Y. K. Chin(1998) The observation of user behaviors of the urban plaza using time-lapse record -A case study of Chungryangri Station Plaz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6(3): 199-212. 

  3. Choi, M. W. and H. R. Byun(2006) A cas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lay behaviors and outdoor play environments of child care center in Daeje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15(6): 919-935. 

  4. Cosco, N. G. and R. Moore(2009) Sensory integration and contact with nature: Designing outdoor inclusive environments. The NAMTA Journal 34(2): 158-177. 

  5. Cosco, N. G., R. C. Moore and M. Z. Islam(2010) Behavior mapping: A method for linking preschool physical activity and outdoor design.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513-519. 

  6. Fjortoft, I. and J. Sageie(2000) The natural environment as a playground for children landscape description and analysis of a natural playscap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8: 83-97. 

  7. Fjortoft, I.(2001) The natural environment as a playground for children.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9(2): 111-117. 

  8. Fjortoft, I.(2004) Landscape as playscape the effets of natural environments on children's play and motor development. Children, Youth and Environments 14(2): 21-44. 

  9. Frances, E. K. and A. F. Taylor(2004) A potential natural treatment for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Evidence from a national stud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4(9): 1580-1586. 

  10. Frost, J. L. (1992). Play and Playscapes. New York: Delmar Publishers Inc. 

  11. Gibson. J. J.(1979) The Theory of Affordances; Chapter 8 in The Ecological Approach to Visual Perception. Psychology Press Classic Editions. 

  12. Hafner, P.(2002). Natur und Waldkindergarten in Deutschland, Inauguraldissertation, Universitat Heidelberg. 

  13. Im, S. B.(1998) Environmental Phycology and Behavior. Seoul: Bosung Munwhasa. 

  14. Jang, J. B.(2002) Preschooler's Cognitive and Social Play Behaviors according to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 Doctor's Degree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Korea. 

  15. Jun, J. H.(2004) A Teacher's Behavior at the Outdoor Play. Master's Degree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16. Kang, T. S. and M. W. Lee(2015) The efficiency evaluation of the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children led by the local community through an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 A case in Geumcheongu district, Seoul, South Korea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2): 40-55. 

  17. Kang, Y. J., Y. S. Kim and S. H. Cho(2012) A research on the creative behavior of children,'s plays in Sansang children's park, seoul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5): 109-118 

  18. Kim, E. J., J. T. Lim and J. H. Byun(2012) A comparison between th forests class and the general class on physique,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in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2): 167-186. 

  19. Kim, E. S.(2010) A Study on the First Forest-Kindergarten Education in Korea. Doctor's Degree Dissertation, University of Incheon. Korea. 

  20. Kim, M. J.(2000) A Study on the Quality of Outdoor Play Environments in Kindergartens and Children's Behavior. Master's Degree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Korea. 

  21. Kim, S. L., H. J. Ahn and S. J. Lee(2014)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articles on forest kindergarten.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1(1): 87-113. 

  22. Kim, S. S.(1998) Children's Play Behavior according to the Quality of Outdoor Play Environments in Kindergartens. Master's Degree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Korea. 

  23. Kwak, N. U.(2011) A study on the pla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forest kindergart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15(3): 1-23. 

  24. Lee, H. J.(2000)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Children for Outdoor Play Equipment and Children's Play Behaviors according to the Outdoor Play Equipment. Master's Degree Dissertation, DuksungWomen's University. Korea. 

  25. Lee, S. J.(2004) Theory and Practice of Play for Children. Seoul: Changjisa 

  26. Lowry, C. A.(2007) Identification of an immune-responsivemesolimbocortical serotonergic system: Potential role in regulation of emotional behavior. Neuroscience 146(2): 756-772. 

  27. Nicholson, S.(1971) The theory of loose parts how not to cheat children. Landscape Architecture 62: 30-34. 

  28. Park, W. Y.(1992) An Analytical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Quality of Preschool Environment and Children's Play Patterns. Doctor's Degree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29. Parten, M. B.(1932) Social participation among pre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Abnormal Psyshology 27(3): 243-269. 

  30. Piaget, J.(1962) Play, Dreams, and Imitation in Childhood. New York: Norton 

  31. Rubin, K. H., T. L. Maioni and M. Hornung(1976) Free play behaviors in middle- and lower-class preschoolers: Parten and piaget revisited.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47: 414-419. 

  32. Shin, D. J.(1996) A study on the quality of outdoor play environments in kindergartens.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8: 53-70. 

  33. Smilansky, S.(1968) The Effects of Sociodramatic Play on Disadvantaged Children: Preschool Children. New York: Wiley. 

  34. Vygotsky, L.(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Mental Processe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5. Yoo, K. J.(2013) The Effect of Nature Kindergarten Activities on Children's Social Behavior and Emotional Expression. Master's Degree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