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료공동체에 거주하는 남성 알코올의존자의 회복과정
The Recovery Process of Alcohol Dependent Men Living in a Therapeutic Communit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7 no.2, 2017년, pp.267 - 276  

강성례 (꽃동네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covering process of men who had abused alcohol and has lived in a therapeutic community. Method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10 of these men who has lived in the therapeutic community for more than one year. Q...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런 점을 고려해볼 때, 근거이론연구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근거이론연구방법에 의해 치료공동체에 거주하는 남성 알코올의존자의 회복과정을 심층적이고도 통합적으로 탐색함으로써 관련 현상에 대한 실체이론을 구축하고, 이들을 위한 지원정책과 중재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한 대학 내에 개설되어 있는 알코올 치료공동체에 2년간 정기적으로 방문함으로써 치료공동체의 프로그램과 전반적 운영에 대해 참관할 기회를 가졌다. 또한 치료공동체에 거주하는 남성 알코올의존자들과 빈번한 접촉을 가지면서 이들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쌓게 되었다. 본연구자는 박사학위논문을 비롯한 10편의 연구를 근거이론연구방법으로 수행한 바가 있으며, 한 질적연구학회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질적 연구를 계속 수행하고 있다.
  • 본 연구는 치료공동체에 거주하는 남성 알코올의존자의 회복과정을 심층적, 통합적으로 탐색함으로써 관련 현상에 대한 실체이론을 구축하고 재활지원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현상은 ‘부서진 삶의 조각 맞추기’ 과정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관련된 간호학적 중재전략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치료공동체에 거주하는 남성 알코올의존자의 회복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개인 심층면담에 의한 자료 수집과 Strauss와 Corbin [15]이 제시한 근거이론방법을 이용한 질적 연구이다.
  • 본 연구자는 간호학 전공자로서 평소 알코올의존자의 고통에 공감 하면서 자연스럽게 이들을 위한 치료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한 대학 내에 개설되어 있는 알코올 치료공동체에 2년간 정기적으로 방문함으로써 치료공동체의 프로그램과 전반적 운영에 대해 참관할 기회를 가졌다.
  • 잠시 이런(노숙) 생활을 함께 했던 형님이 여기(치료공동체)를 함께 가자고. 지푸라기 잡는 심정으로 여길 찾아 왔지.
  • 이와 같이 알코올의존의 특성을 고려할 때 병인식을 가지고 투병에 참여하도록 알코올의존자를 이끄는 것만큼 이나 필요한 것은 회복과정에 진입한 후에도 단주를 유지하고, 사회 내에 정상적으로 안착하도록 돕는 것이다. 특히 치료공동체와 지역 사회가 연계되어 치료공동체라는 둥지를 벗어난 알코올회복자들이 지역사회에 순조롭게 재적응하도록 돕는 포괄적 지지체계 구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코올의존 치료를 위해 병원에서 해독을 통한 의료적 개입으로 진행하는 점에 있어서 한계점은? 지금까지 알코올의존에 대한 치료를 도맡아 왔던 정신의학에서는[5] 알코올의존을 물질관련 장애 중하나로 분류하였으며, 치료 역시 주로 정신과 병원에서 해독을 통한 의료적 개입으로 진행되어 왔다[6]. 그러나 집중적인 치료를 받고 퇴원한 알코올의존자의 90.0%가 1년 이내에 재발하는 것으로 드러나 현재 시행되고 있는 방법만으로는 알코올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7].
알코올의존이란? 알코올의존은 음주로 인해 뜻하지 않은 결과를 가져옴에도 불구하고 음주조절력이 상실되어 알코올에 대한 신체적 심리적 의존을 보이는 만성질환이다[1]. 알코올의존은 간 손상, 위염, 췌장염, 고혈압, 중풍, 식도염 등의 심각한 신체적 문제뿐만 아니라 불안정한 수면과 환각, 경련 등의 정신 신경성 손상과 대인관계 장애를 동반하여 음주운전으로 인한 차량사고, 자살, 살인 등의 심각한 사회문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2].
알코올의존이 신체에 미치는 악영향은? 알코올의존은 음주로 인해 뜻하지 않은 결과를 가져옴에도 불구하고 음주조절력이 상실되어 알코올에 대한 신체적 심리적 의존을 보이는 만성질환이다[1]. 알코올의존은 간 손상, 위염, 췌장염, 고혈압, 중풍, 식도염 등의 심각한 신체적 문제뿐만 아니라 불안정한 수면과 환각, 경련 등의 정신 신경성 손상과 대인관계 장애를 동반하여 음주운전으로 인한 차량사고, 자살, 살인 등의 심각한 사회문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2]. 이로 인해 알코올의존자는 자의적, 타의적인 실직을 겪고, 점차 사회로부터 고립되며, 가족의 비난 속에서 점점더 술에 빠져들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asters C, Carlson DS. The process of reconnecting: Recovery from the perspective of addicted women. Journal of Addictions Nursing. 2006;17(4):205-210. 

  2. Lee SH, Kim HJ, Shin SM. The influences the level of lifestyle has on the rehabilitation of the addiction of the alcoholics who are in a therapeutic community using the DAYTOP model.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12;13(1):311-324. 

  3. Shin WW. A study on effectiveness of therapeutic community program for homeless alcoholics: Focused on psycho-social changes who maintained treatment for 3 months. Social Science Studies. 2011;35(2):145-179. 

  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 The epidemiological survey mental disorders in Korea [Internet]. Seoul: Author; 2012 [cited 2016 April 8].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BOARD_ID140&BOARD_FLAG00&CONT_SEQ266858&page1. 

  5. Koo JS, Kim CS. Clinical characteristics of male in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in a alcoholism war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diction Psychiatry. 2012;16(1):30-37. 

  6. Hood CD. Women in recovery from alcoholism: The place of leisure. Leisure Sciences. 2010;25(1):51-79. http://dx.doi.org/10.1080/01490400306558 

  7. Seo YN, Jeong HJ, Kim SG, Shin SH, Wi SB, Byun WT, et al. 12-month follow-up rates of alcohol dependent patients at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diction Psychiatry. 2010;14(1):24-28. 

  8. Kim SM, Oh GC, Kang HS. Phenomenological study on lived experience of recovering alcoholics in a therapeutic community for homeless: Focusing the experiences of recovering alcoholics who have completed rehabilitation TC program in vision training center for homeles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2013;44(1):5-31. 

  9. Darke S, Campbell G, Popple G. Retention, early dropout and treatment completion among therapeutic community admissions. Drug and Alcohol Review. 2012;31(1):64-71. http://dx.doi.org/10.1111/j.1465-3362.2011.00298.x 

  10. Shin WW. A study on completion of therapeutic community program for homeless alcoholics.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2014;15(2):1-18. http://dx.doi.org/10.14329/KSAS.2014.15.2.001 

  11. Korea Federation of Therapeutic Community. The status of institution membership [Internet]. Seoul: Author; 2013 [cited 2016 May 10]. Available from: http://www.kftc2003.or.kr/page_HwqE30. 

  12. Cha JG, Chun YM. The reliability of measurement the effectiveness of therapeutic community programs to alcoholics'recovering.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2009;10(1):65-80. 

  13. Lee SH, Shin SM. The influences the spirituality has on the rehabilitation of the addiction of the alcoholics who are in a therapeutic community using the DAYTOP model. Korean Journal of Christian Counseling. 2011;11(22):253-274. 

  14. Charmaz K.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London, UK: Sage Publication; 2006. p. 260-261. 

  15. Strauss A, Corbin J.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998. 

  16. Polifroni EC, Welch ML. Perspectives on philosophy of science in nursing: An historical and contemporary anthology. Philadelphia, PA: Lippincott; 1999. p. 68-73. 

  17. Ki SW. Recent psychosocial therapeutic approach on alcohol dependence.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4;43(6):646-651. 

  18. Darke S, Campbell G, Popple G. Self-harm and attempted suicide among therapeutic community admissions. Drug and Alcohol Review. 2012;31(4):523-528. http://dx.doi.org/10.1111/j.1465-3362.2011.00344.x 

  19. Shiflett CL, Remley TP, Jr. Incorporating case conceptualization drawing in counselor group supervision: A grounded theory study. Journal of Creativity in Mental Health. 2014;9(1):33-52. http://dx.doi.org/10.1080/15401383.2013.878680 

  20. White W, Kurtz E. The varieties of recovery experience: A primer for addiction treatment professionals and recovery advoc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Self Help and Self Care. 2005;3(1):21-61. 

  21. Jainchill N, Hawke J, De Leon G, Yagelka J. Adolescents in therapeutic communities: One-year posttreatment outcomes. Journal of Psychoactive Drugs. 2000;32(1):81-94. http://dx.doi.org/10.1080/02791072.2000.10400214 

  22. Yeh MY, Che HL, Lee LW, Horng FF. An empowerment process: Successful recovery from alcohol dependenc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8;17(7):921-929.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7.02098.x 

  23. Jacobson N, Curtis L. Recovery as policy in mental health services: Strategies emerging from the states.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2000;23(4):333-341. http://dx.doi.org/10.1037/h0095146 

  24. Choi MG. Seoul city operates homeless homes for mental illness and alcoholics. Kyunghyang Shinmun. 2016 Dec 22;Sect. 12A. 

  25. Yeh MY, Che HL, Wu SM. An ongoing process: A qualitative study of how the alcohol-dependent free themselves of addiction through progressive abstinence. BMC Psychiatry. 2009;9:76. http://dx.doi.org/10.1186/1471-244x-9-76 

  26. McTavish FM, Chih MY, Shah D, Gustafson DH. How patients recovering from alcoholism use a smartphone intervention. Journal of Dual Diagnosis. 2012;8(4):294-304. http://dx.doi.org/10.1080/15504263.2012.7233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