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어캠프에서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의 수업운영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연구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NESTs' and NNESTs' Class Management in English Conversation Classes of an English Camp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4, 2017년, pp.72 - 82  

방준 (부산광역시영재교육진흥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가 함께 진행한 영어캠프에서의 수업과 수업운영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차이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 대학교 캠프에 참가한 남 녀 대학생 172명을 대상으로 캠프 만족도, 두 교수들에 대한 일반적 교수 자질, 수업 운영, 수업 내용 등에 대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가 진행한 캠프 수업과 수업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및 카이제곱 검증을 통해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캠프에 참가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가 함께 수업한 캠프에 대해 만족하였지만,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들의 교수자질, 수업 운영, 수업 내용에 대한 인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먼저, 학생들은 원어민 교수들이 수업을 흥미롭게 진행했다고 인식한 반면에 비원어민 교수들은 체계적으로 수업을 준비하고 운영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원어민 교수들이 즉흥적으로 수업을 진행한 반면에 비원어민 교수들은 교재에 의존하며 더 많은 부교재를 제공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비원어민 교수들이 원어민 교수에 비해 스피킹과 문법에 더 초점을 맞추어서 수업을 진행하였고, 과제, 시험, 피드백을 더 많이 제공하였고, 학생들과 의사소통을 더 원활하게 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들의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교육적인 제언을 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plor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n NEST(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and NNEST(Non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who taught in an English camp of A university. 172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nglish camp during the vacation were ask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많은 연구들[6-8]에서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의 팀티칭에 대해 학생들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보고한 바 있다. 동시에, 이 연구들은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들의 좀 더 효과적인 팀티칭을 위해 두 교수 상호간의 협력 증진 등의 많은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들 연구들은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들이 진행한 대학 교양영어 강좌의 팀티칭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도나 만족도 연구에 그치고 있다.
  • 따라서 앞으로도 더 효율적인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해 두 교수가 함께 참여하는 좀 더 다양한 형태의 수업을 고안하여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은 두 교수들이 함께 참여한 수업에 만족한 동시에 두 교수들의 보완해야 할 점들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원어민과 비원 어민 교수들은 각자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계속적인 공동체 활동을 통해 수업 내용 및 수업 진행 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공유할 필요가 있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특정지역의 영어캠프에서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의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인식에 대해 양적인 연구방법을 통해 알아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모든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가 참여한 영어 프로그램들에 일반화시켜 적용할 수 없을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단기 영어캠프에서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가 협력하여 수업을 실시한 후, 두 교수가 참여한 캠프와 수업운영방식에 관한 캠프 참여 학생들의 인식 차이에 대해 탐구해 보는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질문들은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의 수업 진행 방식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두 교수들의 수업 진행 방법에 대한 인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 연구 목적은 3주간의 영어캠프를 참여한 대학생들의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가 함께 수업을 진행한 캠프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두 교수들의 수업 진행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학생들이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가 같이 진행한 영어캠프와 수업을 함께 진행한 두 교수들의 일반적인 자질, 방법, 내용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 질문을 가지고 진행되었다.
  • 이 연구 목적은 3주간의 영어캠프를 참여한 대학생들의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가 함께 수업을 진행한 캠프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두 교수들의 수업 진행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학생들이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가 같이 진행한 영어캠프와 수업을 함께 진행한 두 교수들의 일반적인 자질, 방법, 내용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 질문을 가지고 진행되었다.
  • 또한 학생들은 원어민 또는 비원어민 교수라는 것보다는 교수로서 수업 방식이나 전문성에 따른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이연구들은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들의 효율적인 수업을 위해 두 교수의 상호 긴밀한 협력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들 연구들은 정규교과 과정에서의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들의 팀티칭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조사에 대한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가설 설정

  • 2. 영어캠프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의 일반적인 자질, 수업 방법, 수업 내용, 평가 및 학생들과의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는 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정부는 학생들의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시키기 위해 어떤 조치를 취했나? 한국 정부는 세계화와 정보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영어교육에 있어 의사소통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 1995년 이래 한국 정부는 학생들의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하여 영어 사용에 능통한 다수의 원어민 교사들을 초청하였다. 이에 부합하여 대다수 대학들도 원어민 교수를 채용하여 영어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학생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고자 노력해 왔다.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들의 장점을 극대화 시키고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어떻게 하는가?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들의 장점은 극대화시키고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많은 대학들은 두 교수의 팀티칭을 활용한 프로그램들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많은 연구들[6-8]에서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의 팀티칭에 대해 학생들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보고한 바 있다.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들의 각각 장단점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연구들은 두 교수들 중에서 한 교수가 다른 교수보다 우수한 것 보다는 두 교수 모두가 각자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분야를 가르치느냐에 따라서 학생들의 두 교수들에 대한 인식이 다르다고 지적하였다[1-5]. 예를 들어 원어민 교수들은 능숙한 언어적 능력에도 불구하고 영어교육에 관련된 전문성이 부족한[1] 반면에 비원어민 교수들은 영어교육에 대한 전문성은 가지고 있지만 영어 표현을 능숙하게 구사하는 데에 대한 어려움과 교육적 매체로서 영어표현에 있어 인지적 어려움들이 있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김성애, "새천년과 한국 영어교육의 과제," 새한영어영문학, 제42권, 제1호, pp.25-37, 2000. 

  2. V. Cook, "Going Beyond the Native Speaker in Language Teaching," TESOL Quarterly, Vol.33, No.2, pp.185-209, 1999. 

  3. Y. Goto-Butler, "How are Non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Perceived by Young Learners?," TESOL Quarterly, Vol.41, No.1, pp.731-755, 2007. 

  4. K. Liang, "English as a Second Language(ESL) Students' Perceptions of Native and Non-native Speaker Teachers of English," Language Awareness, Vol.11, No.2, pp.132-142, 2002. 

  5. A. Mahboob, "Native or Nonnative: What do Students Enrolled in an Intensive English Program Think?" In Kamhi-Stein (Ed.), Learning and Teaching from Experience: Perspectives on Nonnative English-speaking Professional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4 

  6. 김미영, "교양영어 및 팀티칭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만족도 연구," 코기토, 제74호, pp.105-126, 2013. 

  7. 임남실, "원어민 교수와 협력수업에서 영어학습 및 국제화 교육에 대한 제2언어 학습자들의 효율성 인식 연구," 교양교육연구, 제9호, 제1호, pp.123-148, 2015. 

  8. K. M. Klemsen and M. H. Seong, "Who is More Effective in Teaching TOEIC, Korean or Native English Teacher?,"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Teaching, Vol.18, No.1, pp.133-151, 2012. 

  9. P. Medgyes, "Native or Non-native: Who's Worth More?," ELT Journal, Vol.46, No.4, pp.340-349, 1992. 

  10. E. Benke and P. Medgyes, "Differences in Teaching Behavior between Native and Non-native Speaker Teacher: As Seen by the Learners," In E. Llurda (Ed.), Nonnative Language Teachers: Perceptions, Challenges, and Contributions to the Profession, Springer, 2005. 

  11. K. K. Sammy and J. Brutt-Griffler, "To be a Native or Non-native Speaker: Perceptions of Non-native Students in a Graduate TESOL Program," In G. Braine (Ed.), Non-native Educators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Lawrence Erbaum, 1999. 

  12. C. Tang, "The Identity of the Nonnative ESL Teacher: On the Power and Status of Nonnative ESL Teachers," TESOL Quarterly, Vol.31, No.3, pp.577-580, 1997. 

  13. L. Moussou and G. Braine, "The Attitudes of ESL Students toward Nonnative English Language Teachers," TESL Reporter, Vol.39, No.1, pp.33-47, 2006. 

  14. O. Tarnpolsky, "EFL Teaching and EFL Teachers in the Global Expansion of English," Working Papers in Educational Linguistics, Vol.16, No.2, pp.25-42, 2000. 

  15. L. Moussu,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Students' Reactions to Non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Master's thesis, Brigham Young University, 2002. 

  16. D. Lasagabaster and J. M. Sierra,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Native and Non-native Speaker Teachers of English," Language Awareness, Vol.11, No.2, pp.132-142, 2002. 

  17. L. P. Ma, "Strengths and Weakness of NESTs and NNESTs: Perceptions of NNESTs in Hong Kong," Linguistics and Education, Vol.23, pp.1-15, 2012. 

  18. E. S. Park,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s' Preferences toward Native English Speaking Teachers," Modern English Education, Vol.10, No.3, pp.114-129, 2009. 

  19. T. S. Ya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about Native and Non-native English Speaking Teachers in TEE Courses,"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Teaching, Vol.17, No.3, pp.237-254, 2011. 

  20. K. Matsuda, "Teacher Development through Native Speaker/nonnative Speaker Collaboration," TESOL Matter, Vol.9, No.5, 1999. 

  21. J. S. Choi, "High and Low English Level Students' Perceptions on Team Teaching by Native and Non-native English Speaking Teachers," The New Studies of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Vol.62, pp.265-291, 201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