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 놀이성향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hildren's Play Disposition Scal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4, 2017년, pp.606 - 620  

성지현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변혜원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남지해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놀이 양식 및 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아동 놀이성향 척도(CPDS)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으로, 만 5-7세 아동(월령 범위 51~106개월)의 부모 43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 연구 및 다중지능이론과 관련 척도를 검토하여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전문가를 통해 문항의 적절성 및 타당성을 확인받은 뒤, 문항들은 탐색적 요인 분석을 거쳐 최종적으로 6요인의 27문항으로 확정되었다. 6요인은 각각 주도성, 언어성, 탐구성, 예술성, 운동성, 감수성이다. 본 척도의 공인타당도는 CPDS의 각 요인과 유아용/초등용 다중 지능 체크리스트의 하위 요인 및 총점간의 관계를 통해 산출하였으며, CPDS 각 요인의 신뢰도 범위는 .53~.79이다. 본 척도는 아동의 발달적 강점을 강화하고, 약점은 보완하여 아동 발달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아동의 놀이 콘텐츠 제공과 놀이방법 등을 적절하게 지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Children's Play Disposition Scale(CPDS) which could be used to evaluate children's play patterns and preferenc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parents of 437 5-7-year-old children (age range from 51months to 106months). Preliminary item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아동이 선호하는 놀이와 놀이의 특성을 영역별로 측정 가능한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다중지능이론을 기반으로 아동 놀이성향척도를 개발 및 구성하고, 문항별 양호도와 타당도,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다중지능이론을 기반으로 기존의 다중지능척도와 놀이관련 척도들의 제한점을 보완하고 아동 놀이성향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다중지능척도인 Shearer[25][26]의 Multiple Intelligence Development Assessment Scale(MIDAS)는 부모가 평정하기에 문항이 다소 많다고 보고되었으며[22], 학급 내에서의 학습 행동이나 학업수행능력에 대해 평가하는 Amstrong[23]의 다중지능척도 및 국내에서 자주 사용되는 다중지능 척도들은 주로 아동의 능력이나 발달의 성취 정도를 묻기 때문에 이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부모들은 제대로 응답하기가 어렵다.
  • 설문 내용이 부모가 설문지에 제대로 응답할 수 있는지, 각 문항이 부모가 읽기에 잘 이해되도록 기술되어 있는지, 각 문항이 다중지능 영역 중 어느 영역을 가리키는 것인지 분류가 가능한가를 중심으로 검토를 요청 하였다. 그 결과 2점과 3점 척도 중 3점 척도가 응답자의 선호를 반영하기에 더 적절하다고 판단되었으며, 척도의 명명 또한 ‘그렇지 않다-그렇다-매우 그렇다’에서 ‘그렇지 않다-보통이다-매우 그렇다’ 로 선택하기 명료한 방향으로 수정하였다.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놀이 선호와 자주하는 놀이 행동을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놀이 유형별 선호정도를 파악해 아동의 발달적 잠재성향을 파악할 수 있는 ‘놀이성향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정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는 놀이상황 및 놀이특성을 기술한 문항들을 부모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한 문항수로 구성하여 위와 같은 한계를 보완하고, 아동의 놀이성향을 파악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는 부모가 자녀를 키우면서 자주 관찰되는 내용을 기반으로 둔 평가라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인간의 잠재력을 여러 측면에서 알아보는 다중지능이론을 기반으로 각 영역과 관련하여 능력이 나타나거나 키울 수 있는 아동의 놀이 행동들에 대한 측정문항들을 개발하고, 개발한 문항들을 바탕으로 아동의 놀이 유형별 성향을 범주화하여 타당화 하고, 이를 ‘놀이성향척도’로 명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아동 놀이성향척도의 구성 문항내용과 문항 양호도는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arten과 piaget이 제시한 아동 놀이의 유형을 구분하는 것은 어떤 단점이 있는가? 그러나 이러한 놀이유형의 구분은 발달에 따른 놀이의 질적 수준을 구분할 수 있는 단계적인 특성은 있지만 인지적, 사회적 발달이 같은 단계 수준에 있는 경우에도 아동들마다 선호하거나 즐겨하는 놀이의 유형이 다양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정보는 파악하기 어렵다. 놀이의 유형을 놀이의 내용이나 놀잇감에 따라 거친 신체놀이, 언어놀이, 조작놀이 등으로 구분하기도 하지만[14], 이를 구체적으로 분류하여 유아들이 선호하는 놀 이 유형 패턴이나 놀이 성향을 평가하는 척도는 없다.
놀이성향이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놀이 선호와 자주하는 놀이 행동을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놀이 유형별 선호정도를 파악해 아동의 발달적 잠재성향을 파악할 수 있는 ‘놀이성향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성향’이란 경향성, 잠재성, 또는 추세를 통칭한 용어[15]로 ‘놀이성향’이란 여러 가지 놀이 유형 중에 아동이 선호하고 즐겨하는 놀이의 경향성을 파악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다중지능이론의 내용은 무엇인가? 놀이를 통해 아동이 여러 영역의 기술과 능력을 향상 시키는 것은 Gardner의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 이론을 통해 설명이 가능하며, 놀이와 다중지능간의 관계를 알아본 선행연구들[21][22]이 이를 뒷받침한다. 다중지능이론은 인위적인 검사 환경에서 실시되는 지능 검사를 통해 인간의 지능을 단일하게 보고 평가하는 것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나온 이론[23]으로, 지능이 하나의 통합된 능력이 아닌 언어지능, 논리수학지능, 음악 지능, 신체운동지능, 공간지능, 개인 간 지능, 개인 내 지능, 자연지능이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라 하였다[24]. 인간의 지능을 여러 가지 영역의 능력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다중지능이론은 아동이 다양한 놀이 경험을 통해 여러 영역의 발달을 향상시키고 선호하는 놀이나 놀이 경험에 따라 발달 영역 간 개인차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가 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J. V. Hoorn, P. M. Nourot, B. Scales, and K. R. Alward, Play at the Center of the Curriculum (5th ed.), Boston: Pearson, 2010. 

  2. S. L. Brown, Play: How It Shapes the Brain, Opens the Imagination, and Invigorates the Soul, New York: Avery, 2009. 

  3. 이숙재, 영유아 놀이 활동, 서울:창지사, 2011. 

  4. 지성애, "유아놀이척도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제11권, 제1호, pp.65-84, 2007. 

  5. 박상아, 이정윤, "아동용 놀이성 척도의 개발 및 예비타당화," 청소년상담연구지, 제16권, 제1호, pp.139-152, 2008. 

  6. R. J. Coplan and K. H. Rubin, "Exploring and assessing nonsocial play in the preschool: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reschool play behavior scale," Social Development, Vol.7, No.1, pp.72-91, 1988. 

  7. V. Farmer­Dougan, and T. Kaszuba, "Reliability and Validity of Play­based Observations: relationship between the PLAY behaviour observation system and standardised measures of cognitive and social skills," Educational Psychology, Vol.19, No.4, pp.429-440, 1999. 

  8. V. R. Hampton and J. W. Fantuzzo, "The validity of the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with urban, low-income kindergarten children," School Psychology Review, Vol.32, No.1, pp.77-91, 2003. 

  9. 표정민, 최인수, "한국인의 문화적 성향 잠재집단 따른 창의성 평가의 차이: 암묵적 이론을 이용한 자기평가 및 타인(한국인/외국인)평가," 한국심리학회지:일반, 제34권, 제1호, pp.27-55, 2015. 

  10. L. A. Barnett, "Playfulness: Definition, design, and measurement," Play and Culture, Vol.3, pp.319-336, 1990. 

  11. A. Bundy, L. Nelson, M. Metzger, and K. Bingaman,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test of playfulness," The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Research, Vol.21, No.4, pp.276-292, 2001. 

  12. F. P. Hughes, Children, Play, and Development (4th ed.), Thousand Oaks,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Inc, 2009. 

  13. J. Piaget, Play, Dreams, And Imitation In Childhood, New York: Norton, 1962. 

  14. 이순형, 놀이지도, 서울: 학지사, 2014. 

  15.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 용어 사전, 서울: 하우동설, 2011. 

  16. J. A. Ohm, Infant play and education, Paju: GyoMoonsa, 2009. 

  17. 김호, 유영의, "유아의 놀이성에 따른 창의성의 변화 과정탐색," 어린이 문학교육연구, 제12권, 제1호, pp.333-352, 2011. 

  18. 김숙이, 전정민, "가상놀이 집단과 가상놀이 및 이야기구술 연계 집단 간 유아들의 기억능력 및 표상능력의 차이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제32권, 제1호, pp.445-463, 2012. 

  19. A. Rogers and S. Russo, "Blocks: A commonly encountered play activity in the early years, or a key to facilitating skills in science, maths and technology," Investigating: Australian Primary & Junior Science Journal, Vol.19, No.1, pp.17-20, 2003. 

  20. P. Howard-Jones, J. Taylor, and L. Sutton, "The effect of play on the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during subsequent activity,"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Vol.172, No.4, pp.323-328, 2002. 

  21. 정대현, 윤현숙, 채영란, "놀이와 다중지능과 관계 연구," 유아교육학 논집, 제8권, 제4호, pp.175-194, 2004. 

  22. 이채호, 최인수, "부모-교사용 유아 간편 다중지능척도 타당화 연구," 영재교육연구, 제21권, 제2 호, pp.449-463, 2011. 

  23. T. Amstrong, Multiple Intelligences in the Classroom (3rd ed.), Alexandria, Virgini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 Curriculum Deve, 2009. 

  24. H. Gardner, Intelligence Reframed: Multiple Intelligences for the 21st Century, New York, NY: Basic Books, 1999. 

  25. C. B. Shearer, The MIDAS handbook of multiple intelligences in the classroom, Columbus, OH: Greyden Press, 1996. 

  26. C. B. Shearer, The MIDAS "My Young Child" handbook, Columbus, OH: Greyden Press, 2002. 

  27. http://www.unesco.org/new/en/education/themes/strengthening-education-systems/early-childhood/ 

  28. 이성아, "5-7세 아동의 연령별 놀이 과거력의 비교 연구: Takata의 놀이과거력 이용,"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0권, 제2호, pp.85-98, 2002. 

  29. H, Gardner, Multiple intelligences: The theory in practice, New York, NY: Basic Books, 1993. 

  30. 양병화, 다변량 데이터 분석법의 이해, 서울:커뮤 니케이션 북스, 2011. 

  31. 최병연, 이현진, "유아의 창의성과 다중지능간의 관계," 영재와 영재교육, 제3권, 제1호, pp.33-53, 2004. 

  32. 최자영, 박유영, "유아의 놀이특성과 또래유능성 및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제16권, 제3호, pp.229-244, 2012. 

  33. K. H. Rubin, T. L. Maioni, and M. Hornung, "Free play behaviors in middle-and lower-class preschoolers: Parten and Piaget revisited," Child Development, Vol.47, No.2, pp.414-419, 1976. 

  34. H, Gardner,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NY: Basic Books, 1983. 

  35. C. Nunnally,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McGraw-Hill, 1978. 

  36. 유아용 다중지능검사, (주)다중지능연구소(2008). 

  37. 초등용 다중지능검사, (주)다중지능연구소(2007). 

  38. R. L. Gorsuch, Factor analysis (2nd ed.), Hillsdale, NJ: Erlbaum, 1983. 

  39. 엄세진, 정옥분, "초등학생의 기본생활습관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제13권, 제2호, pp.55-76, 2006. 

  40.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 쓰기,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41. 윤옥인, 아이의 다중지능, 서울: 지식너머, 2014. 

  42. J. L. Nolen, "Multiple intelligences in the classroom," Education, Vol.124, No.1, pp.115-119, 2003. 

  43. T. ERKAN and S. USTER, "Application of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in Art History Instruction," SDU Faculty of Arts and Sciences Journal of Social Sciences, Vol.25, pp.273-297, 2012. 

  44.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 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9권, 제1호, pp.161-177, 2000. 

  45. 성태제, 시기자, 연구방법론, 서울:학지사,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