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암 환아의 조혈모세포이식 후 성장에 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about Influences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on children growth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4, 2017년, pp.49 - 57  

임수진 (인천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아암 환아의 조혈모세포이식 후 성장을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고자 진행된 융합연구이다. 2009년 2월부터 3월까지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소아암 환아 112명의 의무기록으로부터 키와 몸무게를 조사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혼합효과 모델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조혈모세포이식 후 대상자의 신장과 체중의 표준과의 평균표준편차값이 음의 값이었으며 동종이식 보다 자가이식의 경우 신장(p=0.0008)과 체중(p=0.0012)의 평균이 낮았다. 이식 후 신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대상자의 이식 시 연령(p=0.0251)과 이식 형태(p=0.0020)가 확인되었으며. 동종이식 환아에서는 성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스테로이드의 사용량이 확인되었다(p=0.0403). 대상자의 이식 후 체중은 이식 시 연령(p=0.0042), 이식형태(p=0.0035) 그리고 총정맥영양의 주입기간(p=0.0159)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소아암 환아의 조혈모세포이식 후 성장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성장저하의 고위험군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야하며, 이러한 환아에게 적절한 간호중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a convergence study about influences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on children growth. For this explanatory survey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with medical record of 112 children with malignant and hematological diseases received HSCT from February to March, 2009. To analyz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조혈모세포이식 후 소아암 환아를 대상으로 이식 후 신장과 체중의 변화를 통해 성장을 확인하고, 성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조사하기 위함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소아암 환아의 성 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의무기록을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소아암 환아를 대상으로, 신장과 체중의 변화를 통하여 이식 후 환아의 성장을 확인하고, 조혈모세포이식 후 성장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에 대해서 조사하여 의학에는 부작용이 최소화되는 치료방법의 적용, 간호학에는 조혈모 세포 이식시 간호중재법 개발 등에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융합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아에게 성장장애가 나타나면 어떻게 되는가? 일반적으로 소아는 정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자기 나름대로의 성장을 한다. 그런데 소아에게 성장장애가 나타나면 정상적으로 각 단계의 성장을 따라가지 못해 결과적으로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각 개인의 성장은 유전요인이나 환경적 요인에 따라서 결정되는데 환경적 요인에는 영양상태, 사회적 요인, 경제적 요인, 심리적 요인, 급·만성 질병, 계절 등이 있다.
성장저하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각 개인의 성장은 유전요인이나 환경적 요인에 따라서 결정되는데 환경적 요인에는 영양상태, 사회적 요인, 경제적 요인, 심리적 요인, 급·만성 질병, 계절 등이 있다. 성장장애를 근골격계 자체의 문제가 있는 일차성 성장장애와 만성질환이나 내분비계 질환에 의한 이차성 성장장애로 분류한다면 암과 같이 만성질환이면서 치료 후 내분비기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질환의 소아는 이차성 성장장애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소아암 환아에게 성장장애에 대한 위험성은 충분히 높기 때문에 성장저하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
개인의 성장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는? 그런데 소아에게 성장장애가 나타나면 정상적으로 각 단계의 성장을 따라가지 못해 결과적으로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각 개인의 성장은 유전요인이나 환경적 요인에 따라서 결정되는데 환경적 요인에는 영양상태, 사회적 요인, 경제적 요인, 심리적 요인, 급·만성 질병, 계절 등이 있다. 성장장애를 근골격계 자체의 문제가 있는 일차성 성장장애와 만성질환이나 내분비계 질환에 의한 이차성 성장장애로 분류한다면 암과 같이 만성질환이면서 치료 후 내분비기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질환의 소아는 이차성 성장장애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 M. Shalet, B. Brennan, “Growth and growth hormone status after a bone marrow transplant,” Hormone Research in Paediatrics, Vol. 58, No. 1, pp. 86-90, 2002. 

  2. K. C Myers, J. C. Howell, G. Wallace, C. Dandoy, J. El-Bietar, A. Lane, S. R. Rose, “Poor growth, thyroid dysfunction and vitamin D deficiency remain prevalent despite reduced intensity chemotherapy fo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Bone marrow transplantation, Vol. 51, No. 7, pp. 980-984, 2016. 

  3. J. E. Sanders, “Growth and development after hematopoietic cell transplant in children,” Bone marrow transplantation, Vol. 41, No. 2, pp. 223-227, 2008. 

  4. M. A. Skeens, J. McArthur, I. M. Cheifetz, C. Duncan, A. G. Randolph, J. Stanek, R. Bajwa, “High Variability in the Reported Management of Hepatic Veno-Occlusive Disease in Children afte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Biology of Blood and Marrow Transplantation, Vol. 22, No. 10, pp. 1823-1828, 2016. 

  5. D. Simon, C. Fernando, P. Czernichow, A. M. Prieur, “Linear growth and final height in patients with systemic juvenile idiopathic arthritis treated with longterm glucocorticoids,” The Journal of rheumatology, Vol. 29, No. 6, pp. 1296-1300, 2002. 

  6. A. Cohen, A. Rovelli, M. T. Van-Lint, C. Uderzo, A. Morchio, C. Pezzini, C. Romano, "Final height of patients who underwent bone marrow transplantation during childhood.,"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Vol. 74 No. 5, pp. 437-440, 1996. 

  7. A. Cohen, A. Rovelli, B. Bakker, C. Uderzo, van-Lint, H. Esperou, F. Merlo, “Final height of patients who underwent bone marrow transplantation for hematological disorders during childhood: a study by the Working Party for Late Effects-EBMT,” Blood, Vol. 93, No. 12, pp. 4109-4115, 1999. 

  8. Z. Huma, F. Boulad, P. Black, G. Heller, C. Sklar, “Growth in children after bone marrow transplantation for acute leukemia,” Blood, Vol. 86, No. 2, pp. 819-824, 1995. 

  9. A. Clement-De Boers, W. Oostdijk, M. H. Van Weel-Sipiman, J. den Van den Broeck, J. M. Wit, J. M. Vossen, “Final height and hormonal function after bone marrow transplantation in children,” The Journal of pediatrics, Vol. 129, No. 4, pp. 544-550, 1996. 

  10. E. Y. Park, H. J. Baek, D. K. Han, S. J. Lee, Y. K. Cho, Y. O. Kim, T. J. Hwang, “Final Height of Children after Stem Cell Transplantation,” The Korean Journal of Hematology, Vol. 42, No. 4, pp. 382-391, 2007. 

  11. H. H. Jo, M. R. Kim, D. J. Kwon, J. H. Kim, I. K. Sung, J. H. Kim, “Factors Affecting Normal Pubertal Development after bone Marrow Transplantation in Girl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Vol. 47, No. 2, pp. 320-325, 2004. 

  12. N. C. Kim, H. S. Kim, S. E. Choi, H. J. Park, “Nutritional status of recipients of allogen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ion by type of conditioning regime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 14, No. 2, pp. 191-202, 2000. 

  13. H. R. Glucksberg, R. Storb, A. Fefer, C. D. Buckner, P. E. Neiman, R. A. Clift, E. D. Thomas, “Clinical manifestations of graft-versus-host disease in human recipients of marrow from HLA-matched sibling donors,” Transplantation, Vol. 18, No. 4, pp. 295-304, 1974. 

  14. H. H. Koo, “Solid tumors in childhood: risk-based management,”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 50, No. 7, pp. 606-612, 2007. 

  15. L. C. Daniel, Y. Li, J. D. Kloss, A. F. Reilly, L. P. Barakat, “The impact of dexamethasone and prednisone on sleep in children with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Supportive Care in Cancer, Vol. 24, No. 9, pp. 3897-3906, 2016. 

  16. D. Simon, C. Fernando, P. Czernichow, A. M.. Prieur, “Linear growth and final height in patients with systemic juvenile chronic arthritis treated with long-term glucocorticoids,” The Journal of Rheumatology, Vol. 29, No. 6, pp. 1296-1300, 2002. 

  17. K. H. Darzy, S. M. Shalet, “Radiation-induced growth hormone deficiency,” Hormone Research in Paediatrics, Vol. 59, No. 1, pp. 1-11, 2004. 

  18. B. Bakker, W. Oostdijk, R. B. Geskus, W. H. Stokvis-Brantsma, J. M. Vossen, J. M. Wit, "Patterns of growth and body proportions after total-body irradiation and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ration during childhood," Pediatric research Vol. 59, No. 2, pp. 259-264, 2006. 

  19. A. Papadopoulou, M. D. Williams, P. J. Darbyshire, I. W. Booth, “Nutritional support in children undergoing bone marrow transplantation,” Clinical nutrition, Vol. 17, No. 2, pp. 57-63, 1998. 

  20. J. H. Choe1, Y. J. Lee, H. J. Bae, S. H. Jung, H. J. Hahn, Y. Koh, "Effect of Fish Oil-based Intravenous Fat Emulsion with Parenteral Nutrition in Patients Undergoing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Vol. 8, No. 1, pp. 29-35, 2016. 

  21. J. S. Kim, A. H. Eom, M. S. Yu, "Medical Convergence Analysis of Complaint about Medical Service in an Affiliated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5, pp. 117-125, 2016. 

  22. B. Min, "An Improvement of Personalized Computer Aided Diagnosis Probability for Smart Healthcare Service System"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 6, No. 4, pp. 79-84, 2016. 

  23. Y. Y. Sok, S. H. Kim, "Development of Integrated Infant Care Management App Prototype System in Mobile Environm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1, pp. 31-36, 2016. 

  24. Y. B. Cho, S. H. Lee, J.H. Park, M. H. Park, "KMMQL-AF-based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life for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by ag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 6, No. 3, pp. 71-77,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