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암 생존자의 건강관련 요구에 대한 고찰
Review of Childhood Cancer Survivors' Health-related Need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3, 2020년, pp.361 - 368  

임수진 (인천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아암 생존자의 건강관련 요구와 관련된 연구들을 확인하고 연구에서 사용되는 측정도구를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1990년부터 2019년까지 출판된 8개의 국내외 데이터베이스 이용하여 문헌을 검색하였고,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선정된 17개의 연구를 중심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17개의 연구를 분석하여 소아암 생존자의 건강 관련 요구의 속성을 나타내는 영역을 확인한 결과 심리사회적 요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연구에서 개발되고 평가된 4개의 도구를 분석하였는데 국내에서 소아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요구를 측정하는 도구는 없었으며, 분석 대상이 된 4개의 도구도 외국에서 개발되어 국내의 소아암 생존자의 건강 관련 요구를 측정하기는 어려운 부분이 많았다. 따라서 국내 실정에 맞는 포괄적 소아암 생존자의 건강관련 요구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tudies related to childhood cancer survivors' health-related needs and analyze scales for measurement of childhood cancer survivors' health-related needs. Studies related to childhood cancer survivors' health-related needs were retrieved from computerized d...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소아암 생존자의 건강관련 요구에 대하여 근거중심으로 검증하는 것은 소아암 생존자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만들어 수행하는데 꼭 필요한 과정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30년간의 소아암 생존자의 요구와 관련된 연구들을 파악하고 연구에서 사용되거나 개발된 측정도구를 분석하여 향후 소아암 생존자의 건강 관련 요구를 사정하기 위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소아암 생존자의 건강관련 요구 연구들을 분석하여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를 검토하고 평가하기 위한 탐색적 이차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소아암 생존자의 요구 관련 연구를 파악하고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최종 17개의 연구가 선정되었고, 도구개발의 과정이 명확한 4개의 측정도구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소아암 생존자의 요구와 관련된 연구 현황을 파악하고, 해당 연구에서 개발되었거나 사용된 측정도구를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소아암 생존자의 요구와 관련된 연구의 체계적 고찰을 통하여 소아암 생존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해당 연구에서 개발되었거나 사용된 측정도구를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 청소년과 젊은 성인 암 환자와 생존자의 부모 및 간병인을 대상으로 Cancer Needs Questionnaire-Parents and Carers(CNQ-PC)를 개발하여 평가한 연구가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과 젊은 성인과 관련된 미충족 요구 측정의 개발이나 심리 특성에 관한 문헌들을 조사하였고 이를 통해 청소년과 젊은 성인 암환자와 생존자의 부모와 간병인과 연관된 문항과 영역을 도출하였다. 9명의 청소년과 젊은 성인 암환자의 보호자들로 구성된 2개의 포커스 그룹의 피드백을 통해 미충족 요구 측정의 문항, 응답척도, 질문을 개선하고 문항을 추가하였으며, 초안은 보건전문가, 연구원, 일반대중에 의해 검토되어 중복된 문항들을 제거하고 응답척도 및 문구를 개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아는 암 치료가 끝나도 전 생애에 걸쳐서 암 치료로 인한 여러가지 영향을 받는 이유는? 그런데 소아암은 성인 암과 비교하여 암종과 그에 따른 치료방법과 치료의 강도가 다양하다. 그리고 소아는 지속적으로 발달하는 단계에 있기 때문에 암 치료가 끝나더라도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인 부분을 포함하여 전 생애에 걸쳐서 암 치료로 인한 여러가지 영향을 받을 수 있다[2]. 치료가 끝난 후에도 소아암 생존자의 절반 이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기적 혹은 만성적인 치료 후유증으로 고생하고 있으며, 이들 중 1/4은 생명까지 위협받고 있다[3].
2015년 기준 국내 소아암 발생자 수는? 국내 소아암 발생자 수는 2015년 143.3명이었으며, 소아암의 5년 상대 생존율 또한 2011년 78.2%로 1995 년 54.
17개의 연구를 분석하여 소아암 생존자의 건강관련 요구 속성을 나타내는 영역을 확인한 결과 무엇이 가장 많이 나타났는가? 1990년부터 2019년까지 출판된 8개의 국내외 데이터베이스 이용하여 문헌을 검색하였고,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선정된 17개의 연구를 중심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17개의 연구를 분석하여 소아암 생존자의 건강 관련 요구의 속성을 나타내는 영역을 확인한 결과 심리사회적 요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연구에서 개발되고 평가된 4개의 도구를 분석하였는데 국내에서 소아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요구를 측정하는 도구는 없었으며, 분석 대상이 된 4개의 도구도 외국에서 개발되어 국내의 소아암 생존자의 건강 관련 요구를 측정하기는 어려운 부분이 많았다. 따라서 국내 실정에 맞는 포괄적 소아암 생존자의 건강관련 요구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1). Cancer Facts and Figures. http://www.cancer.go.kr. 

  2. P. A. Ganz. (2009). Pediatric cancer survivorship: the Childhood Cancer Survivor Study editor's foreword. J Clin Oncol, 27(14), 2307. DOI : 10.1200/jco.2009.22.8809 

  3. S. hatia & W. Landier. (2005). Evaluating surviv ors of pediatric cancer. Cancer journal. 11(4), 340-54. 

  4. J. G. Gurney, K. R. Krull, N. Kadan-Lottick, H. S. Nicholson, P. C. Nathan, B. Zebrack & K. K. Ness. (2009). Social outcomes in the Childhood Cancer Survivor Study cohort. J Clin Oncol, 27(14), 2390-2395. DOI : 10.1200/jco.2008. 21.1458 

  5. J. H. Olsen, T. Moller, H. Anderson, F. Langmark, R. Sankila, L. Tryggvadottir & S. Garwicz. (2009). Lifelong cancer incidence in 47,697 pati ents treated for childhood cancer in the Nordic countries. J Natl Cancer Inst, 101(11), 806-813. DOI: 10.1093/jnci/djp104 

  6. E. A. Earle, H. Davies, D. Greenfield, R. Ross & C. Eiser. (2005). Follow-up care for childhood cancer survivors: a focus group analysis. Europ ean journal of cancer, 41(18), 2882-2886. 

  7. A. C. Mertens et al. (2008). Cause-specific late mortality among 5-year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the Childhood Cancer Survivor Study. J Natl Cancer Inst, 100(19), 1368-1379. 

  8. J. H. Rowland & K. M. Bellizzi. (2008) Cancer survivors and survivorship research: a reflection on today's successes and tomorrow's challenges. Hematol Oncol Clin N Am., 22, 181-200. 

  9. Y. J. Lee, Y. H. Kim & J. O. Hah. (2003). Prevalence of obesity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survivors of childhood acute lympho blastic leukemia. Korean Journal of Pediatric Hematology-Oncology, 10(2), 198-205. 

  10. Y. T. Lim & S. N. Bae. (2000). Growth pattern in children of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during and after therapy. Korean Journal of Pediatric Hematology-Oncology, 7(1), 50-6. 

  11. P. S. Jang, H. Y. Shin & H. S. Ahn. (2002). Sexual development and reproductive function in male adults treated for childhood acute lympho blastic leukemia or malignant lymphoma. Korean Journal of Pediatric Hematology-Oncology, 9(1), 21- 9. 

  12. J. W. Han, S. Y. Kwon, S. C. Won, Y. J. Shin, J. H. Ko & C. J. Lyu. (2009). Comprehensive clinical follow-up of late effects in childhood cancer survivors shows the need for early and well- timed intervention. Annals of oncology :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Society for Medical Oncology / ESMO, 20(7), 1170-1177. 

  13. M. You. (2006). Content Analysis on Psycho 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 Survivors of Leukem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2(3), 304-313. 

  14. M. A. Kim & J. H. Yi. (2017). Coping Strategi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Childhood Cancer Survivor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7(3), 343 -367. 

  15. Y. J. Kim, H. G. Cha, C. A. Kim, Y. J. Park, H. J. Kim, J. J. Seo & H. J. Kwon. (2008). Child cancer survivors' quality of life based on their parents' support and past history.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17(1), 85-96. 

  16. H. J. Kwon, Y. J. Kim & H. G. Cha. (2009). Relationship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to depression in child cancer surviv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5(2), 219-227. 

  17. H. J. Park et al. (2007). Establishment of Kor ean childhood cancer survivor cohort and long-term follow-up system. Clinical Pediatric Hematology-Oncology, 14(1), 1-42. 

  18. M. A. Kim & J. Yi. (2012). Childhood Cancer Surviv or's Services Needs for the Better Quality of Life.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18, 19-28. 

  19. J. Y. Kim & U. S. Ju. (2017). A Qualitative Research on Psycho-social Adaptation of Child hood Cancer Survivors: Focusing on the Report of Childhood Cancer Survivor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24(1), 55-77. 

  20. T. T. Ghim. (2010). Time to establish multidis ciplinary childhood cancer survivorship programs in Korea. Korean J Hematol, 45(2), 84-87. 

  21. K. Nagel et al. (2002). The development of an off-therapy needs questionnaire and protocol for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Journal of pedia tric oncology nursing : official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Pediatric Oncology Nurses, 19(6), 229-33. 

  22. E. R. Firth, N. Davies & R. Skinner. (2013). Views of childhood cancer survivors and their families on the provision and format of a treatment summary. J Pediatr Hematol Oncol, 35(3), 193-196. 

  23. S. L. Knijnenburg et al. (2013). Evaluation of a patient information website for childhood cancer survivors. Support Care Cancer, 21(4), 919-926. 

  24. D. L. Friedman, D. R. Freyer & G. A. Levitt. (2006). Models of care for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Pediatr Blood Cancer, 46(2), 159-168. 

  25. J. Arvidson, S., Soderhall, S. Eksborg, O. Bjork & A. Kreuger. (2006). Medical follow-up visits in adults 5-25 years after treatment for childhood acute leukaemia, lymphoma or Wilms' tumour. Acta Paediatr, 95(8), 922-928. 

  26. W. McClellan et al. (2013). Understanding the functional late effects and informational needs of adult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Oncol Nurs Forum, 40(3), 254-262. 

  27. R. E. Stein & D. J. Jessop. (1984). Does pedia tric home care make a difference for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Findings from the Pediatric Ambulatory Care Treatment Study. Pediatrics, 73(6), 845-853 

  28. E. Hoven, B. Lannering, G. Gustafsson & K. K Boman. (2011). The met and unmet health care needs of adult survivors of childhood central nervous system tumors: a double-informant, population-based study. Cancer, 117(18), 4294-303. 

  29. T. Clinton-McHarg, M. Carey, R. Sanson- Fisher, C. D'Este & A. Shakeshaft. (2012). Preliminary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an unmet needs measure for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with cancer: the Cancer Needs Questionnaire-Young People(CNQ -YP). Health Qual Life Outcomes, 10, 13. DOI: 10.1186/1477-7525-10-13 

  30. C. L. Cox et al. (2013).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health-related needs assessment for adult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J Can cer Surviv, 7(1), 1-19. 

  31. M. L. Carey, T. Clinton-McHarg, R,. W. San son-Fisher & A. Shakeshaft. (2012). Develo pment of cancer needs questionnaire for parents and carers of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with cancer. Support Care Cancer, 20(5), 991-1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