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불안장애의 해석편향 연구: 컴퓨터 기반 해석편향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Interpretation bias modification for social anxiety disorder: Development of computer based cognitive modification program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4, 2017년, pp.111 - 122  

윤혜영 (계명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기반의 인지편향수정 프로그램(Cognitive Bias Modification Program - Interpretation, CBM-I)을 이용하여 사회불안 경향이 있는 대학생들을 위한 해석편향 수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사회불안증상 및 해석편향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40명의 사회불안 경향성자들을 긍정해석 훈련집단((n=21)과 비처치대기집단((n=19)에 배정하였고 치료 전후 해석 편향과 사회불안증상 수준(e.g.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 레보위츠 사회불안 척도)을 비교하였다. CBM-I 훈련은 참가자들이 긍정적인 방식으로 모호한 상황을 해석하면 긍정적 피드백을 제공하고, 부정적인 방식으로 해석하면 부정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긍정해석 훈련집단의 경우 3주간 3번의 회기에 참가하였다. 사후분석에서 긍정훈련 조건에 참가한 내담자들의 자기 보고식 사회불안 증상이 감소하였다(t=2.35, p<.05; t=4.70, p<.001). 이러한 결과는 다중회기로 실시된 해석 편향의 수정이 임상적으로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mputer-based cognitive bias modification program (CBM-I) and to test the efficacy of CBM-I for college students with social anxiety. Forty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CBM-I(n=21) or a waiting list condition(n=19). Both grou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사회불안 경향이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컴퓨터 기반 해석편향 수정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반복측정 변량분석의 결과에서는 통제집단과 치료집단의 효과가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았으나 집단을 구분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했을 때 긍정해석 훈련집단에서 다소의 치료적 변화가 확인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암묵적 해석편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모호한 사회적 상황과 모호한 비사회적 상황을 수집, 번역하였다. 그리고 각 상황문과 관련된 긍정, 부정 단어를 제시하고 각 단어와 모호한 문장이 연관된다고 판단하는지를 컴퓨터를 통해 파악하여 해석편향을 측정하였다.

가설 설정

  • 첫째, 긍정적인 방식으로 해석편향을 수정하는 CBM-I 프로그램에 참가한 사회불안 대학생들의 경우, 비처치 통제집단에 비해 모호한 상황에 대한 긍정적 해석 경향성이 증가할 것이다. 둘째, 훈련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모호한 사회적 상황을 긍정적으로 해석하는 속도가 더 빠를 것이다. 셋째, 훈련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사회불안과 관련된 자기 보고식 증상 점수가 감소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긍정해석을 정교하게 해석편향 수정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다만 긍정 반응에 대해 ‘정답’이라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해석 수정 훈련은 내담자에게 긍정적 해석 경향을 강요하는 것 같은 인상을 줄 수 있다. Murphy 등[15]이 지적한 바와 같이 단일 회기동안 모든 상황을 긍정적으로 해석하는 방식으로 훈련하는 것은 사회적 수행 상황에 특정적인 긍정 편향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전반적인 측면에 대한 긍정적 편향을 점화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긍정 해석을 처음부터 강제하기 보다는 점진적인 방향으로 정교하게 해석편향 수정할 필요가 있다.
CBM-I의 장점은 무엇인가? 사회불안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약물치료나 다양한 심리치료가 적용되고 있지만, 최근 가장 주목받고 있는 치료적 개입은 CBM-I(cognitive bias modification interpretation; 이하 CBM-I)이다. CBM-I의 경우, 앞서 지적한 시간과 공간적 제약으로부터 자유롭고 자가 치료의 형식으로 사회불안장애를 치료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증상 개선을 유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10]. 가장 초기의 연구 시나리오는 해석편향수정 패러다임의 고전이라고 언급될 정도로 수많은 연구들의 기반이 되고 있다[11].
WSAP가 기존의 삽화형식의 시나리오 제시 방법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 WSAP는 위협해석이나 긍정해석을 나타낼 수 있는 단어가 제시된 후, 모호한 문장이해당 단어와 관련되는지를 판단하도록 하고, 그 이후 상황에 대한 해석을 질문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WSAP의 경우, 기존의 삽화형식의 시나리오 제시 방법과는 달리, 활성화된 위협/비위협 단어와 모호한 문장의 연합 강도를 통해 해석편향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처음에 응시점(+)을 500ms로 참가자의 시선을 고정시킨 다음 위협적인 단어(‘당황스러운’) 또는 비위협적인 단어(‘재미있는’)를 500ms동안 제시하고, 그 이후 사회적으로 모호한 문장을 제시한다(“당신이 어떤 말을 하자 사람들이 웃습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J. D. Huppert, E. B. Foa, J. M. Furr, J. C. Filip, D. Mathews, “A Interpretation Bias in Social Anxiety: A Dimensional Perspectiv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 27, No. 5, pp. 569-577, 2003.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R)), American Psychiatric Pub, 2013. 

  3. C. Beard, N. Amir, “A multi-session interpretation modification program: changes in interpretation and social anxiety symptom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 46, No. 10, pp. 1135-1141, 2008. 

  4. M. J. Voncken, S. M. Bogel, K. de Vries, “Interpretation and judgmental biases in social phobia,”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 41, No. 12, pp. 1481-1488, 2003. 

  5. C. R. Hirsch, A. Mathews, “Impaired positive inferential bias in social phobia,” J. of Abnormal Psychology, Vol. 109, No. 4, pp. 705-712, 2000. 

  6. N. Amir, E. B. Foa, M. E. Coles, “Automatic activation and strategic avoidance of threat-relevant information in social phobia,” J. of Abnormal Psychology, Vol. 107, No. 2, pp. 285-290, 1998. 

  7. N. Amir, C. Beard, E. Bower, “Interpretation Bias and Social Anxiety,”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 29, No. 4, pp. 433-443, 2005. 

  8. J. Canton, K. M. Scott, P. Glue, “Optimal treatment of social phobi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of Neuropsychiatric Disease and Treatment, Vol. 8, No. 2, pp. 203-215, 2012. 

  9. H. Y. Yoon, J. H. Kwon, “The Efficacy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Social Anxiety Disorder: Changes in the Attentional Bias and the Implicit Self-Esteem,”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Vol. 13, No. 2, pp. 211-234, 2013. 

  10. N. Amir, J. Bomyea, C. Beard, “The Effect of Single-Session Interpretation Modification on Attention Bias in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J. of Anxiety Disorder, Vol. 24, No. 2, pp. 178-182, 2010. 

  11. A. Mathews, B. Mackintosh, “Induced emotional interpretation bias and anxiety,” J. of Abnormal Psychology, Vol. 109, No. 4, pp. 602-615, 2000. 

  12. C. Lothmann, E. A. Holmes, S. W. Chan, J. Y. Lau, “Cognitive bias modification training in adolescents: effects on interpretation biases and mood,” J. of Children Psychology and Psychiatry, Vol. 52, No. 1, pp. 24-32, 2011. 

  13. S. Mobini, B. Mackintosh, J. Illingworth, L. Gega, P. Langdon, L. Hoppitt, “Effects of standard and explicit cognitive bias modification and computer-administered cognitive-behaviour therapy on cognitive biases and social anxiety,” J. of Behavior Therapy and Experimental Psychiatry, Vol. 45, No. 2, pp. 272-279, 2014. 

  14. H. J. Kwon, The effect of interpretation bias modificationonself-evaluation and post-event rumination for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MA.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2014. 

  15. R. Murphy, C. R. Hirsch, A. Mathews, K. Smith, D. M. Clark, “Facilitating a benign interpretation bias in a high socially anxious population,”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Vol. 45, No. 7, pp. 1517-1529, 2007. 

  16. E. Wilson, C. MacLeod, A. Mathews, E. Rutherford, “The causal role of interpretive bias in anxiety reactivity,” J. of Abnormal Psychology, Vol. 115, No. 1, pp. 103-111, 2006. 

  17. E. Salemink, M. van den Hout, M. Kindt, “Trained interpretive bias: Validity and effects on anxiety,” J. of Behavior Therapy and Experimental Psychiatry, Vol. 38, No. 2, pp. 212-224, 2007a. 

  18. A. Mathews, V. Ridgeway, E. Cook, J. Yiend, “Inducing a benign interpretational bias reduces trait anxiety,” J. of Behavior Therapy and Experimental Psychiatry, Vol. 38, No. 2, pp. 225-236, 2007. 

  19. E. Salemink, M. van den Hout, M. Kindt, "Trained interpretive bias and anxiety,"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Vol. 45, No. 2,pp. 329-340, 2007b. 

  20. S. P. Vassilopoulos, R. Banerjee, C. Prantzalou, “Experimental modification of interpretation bias in socially anxious children: Changes in interpretation, anticipated interpersonal anxiety, and social anxiety symptom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 47, No. 12, pp. 1085-1089, 2009. 

  21. J. Y. Lee, J. H. Choi,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s of Social Phobia Scales (K-SAD, K-FNE),”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Clinical, Vol. 16, No. 2, pp. 251-264, 1997. 

  22. G. G. Jeon, S. J. Choi, B. C. Yang, “Integrated Adaptation of CES-D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Healthy, Vol. 6, No. 1, pp. 59-76, 2001. 

  23. E. S. Yoo, C. I. Ahn, K. H. Park, “Factor Structure and Diagnostic Efficiency of A Korean Version of the Liebowitz Social Anxiety Scale,”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Clinical, Vol. 26, No. 1, pp. 251-270, 2007. 

  24. Y. Hakamata, S. Lissek, Y. Bar-Haim, J. C. Britton, N. A. Fox, E. Leibenluft, M. Leibenluft, Emst, D. S. Pine, “Attention bias modification treatment: a meta-analysis toward the establishment of novel treatment for anxiety,” Biological Psychiatry, Vol. 68, No. 11, pp. 982-990, 2010. 

  25. L. S. Hallion, A. M. Ruscio,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cognitive bias modification on anxiety and depression,” Psychol Bull, Vol. 137, No. 6, pp. 940-958, 2011. 

  26. J. O. Bowler, L. Hoppitt, J. Illingworth, T. Dalgleish, M. Ononaiye, G. Perez-Olivas, B. Mackintosh, “Asymmetrical transfer effects of cognitive bias modification: Modifying attention to threat influences interpretation of emotional ambiguity, but not vice versa,” J. of Behavior Therapy and Experimental Psychiatry, Vol. 54, No. 1, pp. 239-246, 2017. 

  27. S. Hayes, C. R.Hirsch, G. Krebs, A. Mathews, “The effects of modifying interpretation bias on worry i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 48, No. 3, pp. 171-178, 2010. 

  28. I. A. Cristea, R. N. Kok, P. Cuijpers, "Efficacy of cognitive bias modification interventions in anxiety and depression: meta-analysi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1. 206, No. 1, pp. 7-16, 2015. 

  29. I. A. Cristea, R. N. Kok, P. Cuijpers, "Efficacy of cognitive bias modification interventions in anxiety and depression: meta-analysi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1. 206, No. 1, pp. 7-16, 2015. 

  30. B. E. Sportel, E. de Hullu, P. J. de Jong, M. H. Mauta, "Cognitive bias modification versus CBT in reducing adolescent social anxiet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LoS One, Vol. 8, No. 5, e64355, 2013. 

  31. K. H. Kim, “A Convergence Study about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ACT Intervention Program,” J.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5, pp. 145-153, 2016. 

  32. L. Hoppitt, J. L. Illingworth, C. MacLeod, A. Hampshire, B. D. Dunn, B. Mackintosh, “Modifying social anxiety related to a real-life stressor using online Cognitive Bias Modification for interpretation,”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 52, No. 1, pp. 45-52, 2014. 

  33. H. O. Kim, Y. J. Koo, E. Park, “The influence on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by their perceived stress, stress coping, perfectionism, and self esteem,” J.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2, pp. 257-266, 2015. 

  34. S. Y. Pi, “Educational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in the Convergence Education Era,” J.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6, pp. 29-37,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