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뇨 환아의 극복력, 가족지지와 질병적응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s among Resilience, Family Support, and Diabetes Adaptation in Children with Diabetes Mellitus 원문보기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14 no.1, 2017년, pp.21 - 31  

김용미 (삼성서울병원) ,  방경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sease adaptation and related factors for the pediatric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75 diabetic children or adolescent whose age were 10 to 18 years old visited the out-patient clinic in one general hos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6) 이와 같이 극복력의 요소 중 가족의 지지가 외적 요인으로 포함되기도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극복력을 개인의 특성이나 능력인 인적 요인으로 간주하고, 가족의 지지를 상황적 요인으로 간주하여 이들과 질병적응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당뇨 환아의 극복력과 가족지지, 심리적 당뇨적응과 생리적 적응지표인 당화혈색소의 관계를 확인하여 당뇨 환아를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당뇨 환아를 대상으로 극복력, 가족지지, 심리사회적 당뇨적응, 당화혈색소를 탐색하고 각각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연구로 당뇨 환아의 질병적응을 돕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당뇨 환아의 극복력 평균은 98.
  • 본 연구는 당뇨 환아를 대상으로 극복력과 가족의 지지, 심리사회적 당뇨적응과 생리적 적응 지표인 당화혈색소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당뇨 환아의 극복력과 가족지지가 질병적응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당뇨 환아의 극복력, 가족의 지지, 심리사회적 당뇨적응과 당화혈색소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당뇨 환아를 대상으로 극복력, 가족지지, 질병적응(심리사회적 당뇨적응, 당화혈색소)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1년 기준 우리나라의 소아 및 청소년 당뇨병 환자수는? 2011년 기준 우리나라의 소아 및 청소년 당뇨병 환자수는 인구 10만 명 당 57.5명으로 추산되며, 그 중에서도 소아(0~9세) 대비 청소년 유병률은 약 6배 더 높다.1) 소아에서 당뇨병은 인슐린 주사를 필요로 하는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1형 당뇨병)과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2형 당뇨병)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이 중 아동에게 흔히 나타나는 것은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이지만 비만 증가로 인하여 두 가지 형태의 당뇨병 발생률이 모두 증가하는 추세이다.
소아 당뇨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한편, 소아 당뇨는 다른 만성질환과 달리 정기적 혈당 검사와 인슐린 투여, 식사요법 및 운동요법 등의 복잡한 관리를 해야 하기에 가족 전체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특히 어린 아동의 경우에는 부모에 의해서 주로 질병 관리가 이루어지다가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질병관리의 책임이 아동에게로 이전되기 때문에 가족 요인이 질병관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당뇨병은 아동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아동에서 흔한 만성질환 중 하나인 당뇨병은 대표적인 내분비 대사 장애 질환으로, 아동의 신체 및 정서 발달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일단 발생하면 완치가 불가능하며 아동의 삶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자기 관리 및 혈당 조절이 되지 않을 경우 혼수상태에 빠지거나 시력저하, 심혈관 질환, 피부감염 등 위험한 합병증을 일으킨다. 그러나 적절한 치료와 자가간호를 수행하면 질병조절이 가능하고 위험한 급, 만성 합병증을 예방 관리할 수 있으며 정상인과 같이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어 자기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Diabetes.or.kr [Internet] Seoul: Korea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2 [cited 2012 Dec 3]. Available from: http://www.diabetes.or.kr/general/index.html 

  2. Yeoum WS. The changing tendency of types of diabetes mellitu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7. 

  3. Kim DH.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resilience in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3. 

  4. Sim HO.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elf-care in the school age child and adolescent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93. 

  5. Tusaie K, Dyer J. Resilience: a historical review of the construct. Holist Nurs Pract. 2004;18(1):3-8. https://doi.org/10.1097/00004650-200401000-00002 

  6. Hong SK. Concept development of resilience: focusing on cancer pati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09;15(1):109-19. https://doi.org/10.5977/jkasne.2009.15.1.109 

  7. Reynolds KA, Helgeson VS. Children with diabetes compared to peers: depressed? distressed?: a meta-analytic review. Ann Behav Med. 2011;42(1):29-41. https://doi.org/10.1007/s12160-011-9262-4 

  8. Kwon EK. A study on the impact of stress and self-concept on self-care among adolescents with juvenile diabetes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3. 

  9. Rhee CW. Family factors affecting children's chronic illness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004;18:217-42. 

  10. Atwool N. Attachment and resilience: implications for children in care. Child Care in Practice. 2006;12(4):315-30. https://doi.org/10.1080/13575270600863226 

  11. Whittemore R, Jaser S, Guo J, Grey M. A conceptual model of childhood adaptation to type 1 diabetes. Nurs Outlook. 2010; 58(5):242-51. https://doi.org/10.1016/j.outlook.2010.05.001 

  12. Kim DH, Yoo IY.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resilience among children with nephrotic syndrome. J Korean Acad Nurs. 2004;34(3):534-40. https://doi.org/10.4040/jkan.2004.34.3.534 

  13. Jeon NY. Adjustment of teenagers with cancer: a path analysis of related variable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1. 

  14. Sim MK, Shin YH, Kim TI. Resilience, coping and adjustment to illness in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Child Health Nurs Res. 2006;12(2):151-59. 

  15. Kim YJ.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family support and self-care behavior of type II diabetics [dissertation].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00. 

  16. Park KS, Moon JS, Park SN. Self-care,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in 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09;16(3):345-52. 

  17. Choi YO. Correlationships between family support, selfcare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adults with diabetes mellitus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2. 

  18. Cobb S. Social Support as a moderate of life stress. Psychosom Med. 1976;38(5):300-14. 

  19. Park OJ.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compliance with sickrole behavior in diabetic patient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85. 

  20. Oh JA. Disease adaptation and self-esteem of hospitalized schooler. Nursing Science. 2003;15(1):22-30. 

  21. Challen AH, Davies AG, Williams RJ, Haslum MN, Baum JD. Measuring psychosocial adaptation to diabetes in adolescence. Diabet Med. 1988;5(8):739-46. 

  22. Daviss WB, Coon H, Whitehead P, Ryan K, Burkley M, McMahon W. Predicting diabetic control from competence, adherence, adjustment, and psychopathology.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5;34(12):1629-36. https://doi.org/10.1097/00004583-199512000-00013 

  23. Song SM. The effects of eclectic filial therapy for children with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psychosocial adjustment, treatment adherence, and metabolic control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ersity; 2010. 

  24. Lazarus RS, Folkman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1984. 

  25. Amc.seoul.kr [Internet]. Seoul: Asan Medical Center; Childhood diabetes education, overview of diabetes care; 2015 [cited 2015 Dec 3]. Available from: http://peddm.amc.seoul.kr/asan/depts/peddm/K/content. do?menuId2379 

  26. Baek KW. A study about resilience in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and family resilience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ersity; 2005. 

  27. Choi YH. Effects of camping programs on self-efficacy and sick-role behavioral compliance in juvenile diabetes mellitus patient.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997;14(2):59-68. 

  28. Cheung R, Cureton VY, Canham DL. Quality of life in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who participate in diabetes camp. J Sch Nurs. 2006;22(1):53-8. https://doi.org/10.1177/10598405060220010901 

  29. Lim SC. The effects of adolescent's perception with type 1 diabetes of main caregiver's communication on self-care: mediating effect of main caregiver's support [dissertation]. Seoul: Soongsil University; 2010. 

  30. Vinson JA. Children with asthma: initial development of the child resilience model. Pediatr Nurs. 2002;28(2):149-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