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아동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The relationship between Terminal Care Stress and Knowledge and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among Pediatric Nurses 원문보기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16 no.2, 2019년, pp.55 - 64  

박은영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문) ,  방경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knowledge and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and terminal care stress among pediatric nurse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Methods: In th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154 pediatric nurses who experienced terminal care at least once were surve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아동간호사의 호스피스 ․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간의 관련성 및 임종간호 스트레스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아동간호사의 호스피스 ․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영향 요인을 규명하여 아동간호사가 적절한 호스 피스 ․ 완화의료 중재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자 수행되었다.
  • 아동간호사의 호스피스 ․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인식과 임 종간호 스트레스 정도와 이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영향 요인을 규명하여, 아동간호사가 적절한 호스피스 ․ 완화의료 중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간호사의 호스피스 ․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는 아동간호사가 적절한 호스피스 ․ 완화의료 중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원인으로 무엇이 있는가? 간호사는 환자와 가족을 가장 가까이에서 돌보기에, 임종 환자가 생을 잘 마무리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그러나 임종을 앞둔 환자를 돌보아야 하는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심리적 부담감을 경험하여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3,7-9)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수준은 어떤 수준으로 나타나는가? 완화의료에 대한 적절한 지식이 바탕이 되어야 하지만, 국내 간호사의 호스피스 .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수준은 아직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이다.2,3) Pesut와 Greig4)는 호스피스 .
아동 말기 환자들을 간호하는데 어떤 어려움이 있는가? 이외에도 아동 말기 환자들의 질병은 발병 과정 및 예후에 대한 예측이 어려워 명확한 치료 과정을 선택하는 것이 쉽지 않고 아동 스스로 의사표현 하는데도 제한이 있어 간호 제공에 어려움이 있다. 이로 인해 적절한 시기에 호스피스 . 완화의료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아동 호스피스 . 완화의료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형성하기가 더욱 어렵게 된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ang KA, Kim SJ. The present and future of children's hospice care in Korea.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2003 Apr; 9(2):190-7. 

  2. Wi DH, Kang SJ. Relationship among nurses' knowledge, attitude towards palliative care and perception of death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2016 Oct;22(4):257-64. 

  3. Nambayan AG. Palliative care: opportunities for nursing. Asia Pac J Oncol Nurs. 2018 Jan-Mar;5(1):1-3. 

  4. Pesut B, Greig M. Resources for educating, training, and mentoring nurses and unregulated nursing care providers in palliative care: a review and expert consultation. J Palliat Med. 2018 Jan;21(S1):S50-6. https://doi.org/10.1089/jpm.2017.0395 

  5. Haut CM, Michael M, Moloney-Harmon P. Implementing a program to improve pediatric and pediatric ICU nurses'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palliative care. J Hosp Palliat Nurs. 2012 Jan/Feb;14(1):71-9. https://doi.org/10.1097/NJH.0b013e318236df44 

  6. Morgan D. Caring for dying children: assessing the needs of the pediatric palliative care nurse. Pediatr Nurs. 2009 Mar-Apr; 35(2):86-90. 

  7. Kim JH. The job stress, perception, and training needs on the end-of-life care among cancer unit nurse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9. 51 p. 

  8. Jang SH.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stress of end-of-life care for high-risk newborn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3. 59 p. 

  9. Ji SI. Factors which affect nurses' stress from terminal care [master's thesis]. Gwangju (Korea):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2. 51 p. 

  10. Kang KA, Kim SJ, Kim YS. The need for child hospice care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cancer.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4 Dec;7(2):221-31. 

  11. Yu J, Bang KS. Pediatric nurses' perception and knowledge about pediatric hospice palliative care.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5 Sep;18(3):235-44. https://doi.org/10.14475/kjhpc.2015.18.3.235 

  12. Swinney R, Yin L, Lee A, Rubin D, Anderson C. The role of support staff in pediatric palliative care: Their perceptions, training, and available resources. J Palliat Care. 2007 Mar;23(1):44-50. https://doi.org/10.1177/082585970702300107 

  13. Davies B, Sehring SA, Partridge JC, Cooper BA, Hughes A, Philp JC, et al. Barriers to palliative care for children: perceptions of pediatric health care providers. Pediatrics. 2008 Feb; 121(2):282-8. https://doi.org/10.1542/peds.2006-3153 

  14. Kim GH. The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and terminal care attitude of nurses at long-term care hospitals [master's thesis]. Busan (Korea):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2016. 55 p. 

  15. Jang JY. Hospice care stress and death awareness of general ward nurses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16. 55 p. 

  16. Jun JS. Spiritual well-being, attitude towards death and perception of hospice among nurses [master's thesis]. Busan (Korea):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2014. 55 p. 

  17. Ross M M, McDonald B, McGuinness J. The palliative care quiz for nursing (PCQN):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nurses' knowledge of palliative care. J Adv Nurs. 1996 Jan;23(1):126-37. https://doi.org/10.1111/j.1365-2648.1996.tb03106.x 

  18. Kim HS, Kim BH, Yu SJ, Kim S, Park SH, Choi S, et al. The effect of an end-of-life nursing education consortium course on nurses' knowledge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 Korea. J Hosp Palliat Nurs. 2011 Jul-Aug;13(4):222-9. https://doi.org/10.1097/NJH.0b013e318210fdec 

  19. Kim MS. Comparison on the perception about hospice and the meaning of life of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of the hospice volunteer education program [master's thesis]. Gwangju (Korea):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7. 60 p. 

  20. Lee YO. A study of cancer unit nurses' stress from bereavement support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04. 64 p. 

  21. Knapp CA, Madden V, Wang H, Kassing K, Curtis C, Sloyer P, et al. Paediatric nurses' knowledge of palliative care in Florida: a quantitative study. Int J Palliat Nurs. 2009 Sep;15(9):432-9. https://doi.org/10.12968/ijpn.2009.15.9.44255 

  22. Knapp CA, Shenkman EA, Marcu MI, Madden VL, Terza JV. Pediatric palliative care: describing hospice users and identifying factors that affect hospice expenditures. J Palliat Med. 2009 Mar;12(3):223-9. https://doi.org/10.1089/jpm.2008.0248 

  23. Knapp CA, Thompson LA, Vogel WB, Madden VL, Shenkman EA. Developing a pediatric palliative care program: addressing the lack of baseline expenditure information. Am J Hosp Palliat Med. 2009 Feb/Mar;26(1):40-6. https://doi.org/10.1177/1049909108327025 

  24. Kim KS. The relationship among perception of death, end-oflife care stress and end-of-life care attitude of nurses [master's thesis]. Busan (Korea): Kosin University; 2016. 61 p. 

  25. Pereira SM, Fonseca AM, Carvalho AS. Burnout in palliative care: a systematic review. Nurs Ethics. 2011 May;18(3):317-26. https://doi.org/10.1177/0969733011398092 

  26. Kim WS, Cho HH, Kwon S. The influence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death anxiety and self-esteem on terminal care stress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6 Jun;19(2):154-62. https://doi.org/10.14475/kjhpc.2016.19.2.154 

  27. Kim MG. Burnout experienced by nurses in the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master's thesis]. Seoul: Kookmin University; 2016. 135 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