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활 주변에서 사용되는 건축용 목재의 연소성
Combustion Properties of Construction Lumber Used in Everyday Life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1 no.2, 2017년, pp.37 - 43  

우태영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유지선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정영진 (강원대학교 소방방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4종의 삼나무, 스프러스, 나왕, 레드파인 시험편을 콘칼로리미터(Cone calorimeter, ISO 5660-1, 2)와 연기밀도시험기(ASTM E 662)를 이용하여 연소성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삼나무가 착화시간이 가장 빨랐고 평균열방출율($HRR_{mean}$)이 $58.52kW/m^2$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레드파인의 평균열방출율($HRR_{mean}$)이 $71.75kW/m^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CO 발생량에서는 나왕과 삼나무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반대로 $CO_2$ 발생량에서는 레드파인과 스프러스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동적방법에서의 총연기방출율은 레드파인이 연기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스프러스가 가장 적게 발생하였다. 정적방법에서의 연기밀도는 레드파인이 훈소(Non-flaming) 방식과 불꽃(Flaming) 방식에서 가장 높았다. 나왕은 훈소(Non-flaming) 방식에서 2번째로 연기가 많이 발생한 데 반하여 불꽃(Flaming) 방식에서는 가장 적게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열방출율 측면에서 화재위험성은 4가지 시험편 중 레드파인이 가장 높았다. 연기발생 관점으로 보아도 동적인 방식과 정적인 방식 모두 레드파인이 화재 위험성이 가장 높은 재료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four kinds of wood specimens, such as Japan cedar, spruce, lauan, and red pine, were tested using the standards of Cone calorimeter (ISO 5660-1, 2) and smoke density tester (ASTM E 662). Japan cedar caught fire the quickest but the mean heat release rate was the low...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 주변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목재 중 삼나무, 스프러스, 나왕, 레드파인의 연소특성을 열방출율, 연기관련지수 및 연기밀도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건축구조 재료의 화재 위험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화재 시뮬레이션 데이타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따라서 다양한 목재의 연소특성과 화재위험 특성 규명에 관한 연구는 끊임없이 이어져야 한다고 판단하여 일부 목재 재료 중 침엽수를 대상으로 목재의 화재위험 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 주변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목재 중 삼나무, 스프러스, 나왕, 레드파인의 연소특성을 열방출율, 연기관련지수 및 연기밀도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건축구조 재료의 화재 위험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화재 시뮬레이션 데이타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착화시간은 무엇입니까? 가연물과 관련하여 연소 특성의 이해를 돕는 다른 중요한 성질은 착화시간(time to ignition, TTI)이다. 착화시간은 시험편의 열원에 의한 노출로부터 지속적인 불꽃연소가 시작되기 전까지를 나타낸다. Table 2에 보여준 바와 같이 50 kW/m2의 열유속 하에서 착화시간은 스프러스 9 s, 나왕 10 s, 레드파인 9 s, 삼나무 4 s로서삼나무가 다른 3 종류의 목재보다 훨씬 더 착화시간이 빠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연소성을 시험하기 위해 사용한 기기는 무엇인가? 이 연구에서는 4종의 삼나무, 스프러스, 나왕, 레드파인 시험편을 콘칼로리미터(Cone calorimeter, ISO 5660-1, 2)와 연기밀도시험기(ASTM E 662)를 이용하여 연소성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삼나무가 착화시간이 가장 빨랐고 평균열방출율($HRR_{mean}$)이 $58.
목재가 지니고 있는 취약성은? 목재는 미적인 외관과 우수한 물리 · 화학적 성질로 인하여 일반 가정주택에서부터 주거용 중형 건축물의 건축 재료로서 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다른 건축 재료들에 비하여 화재에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우리가 보존해야 할 문화재나 목조 주택은 거의 목재로 이루어진 건축물이므로 화재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T. S. Kim, Y. S. Kim, C. K. Yoon and Y. J. Chung, "The Guide of Fire Investigation", Kimoondang, pp. 77-98 (2009). 

  2. Policy News Portal Division of the National Communication in Ministry of Culture, Spots and Tourism, "To Prevent Fire Disaster as Sungnyemun Gate and Naksansa Temple", (2012). 

  3. News 1, The Court was Said "Pension Fire Accident of the Damyang has been Responible for the Jeollanam-do too", (2016). 

  4. H. J. Park, H. Kim and D. M. Ha, "Predicting of Fire Characteristics of Flame Retardant Treated Douglas fir Using an Integral Model", Journal of the KOSOS, Vol. 20, No. 3, (2005). 

  5. O. Grexa, "Flame Retardant Treated Wood Products", The Proceedings of Wood & Fire Safety(part one), pp. 101-110 (2000). 

  6. M. J. Spearpoint and J. G. Quintiere, "Predicting the Piloted Ignition of Wood in the Cone Calorimeter using an Integral Model-Effect of Species, Grain Orientation and Heat Flux", Fire Safety Journal, Vol. 36, pp. 391-415 (2001). 

  7. N. Boonmee and J. G. Quintiere, "Glowing Ignition of Wood: The Onset of Surface Com Bustion", Proceedings of the Combustion Institute 30, pp. 2303-2310 (2005). 

  8. W. T. Simpso, "Drying and Control of Moisture Content and Dimensional Changes", Chap. 12, Wood Handbook-Wood as an Engineering Material, Forest Product Laboratory U.S. D.A., Forest Service Madison, Wisconsin, U.S.A. pp. 1-21 (1987). 

  9. ISO 5660-1, "Reaction-to-Fire Tests-Heat Release, Smoke Production and Mass Loss Rate-Part 1: Heat Release Rate(Cone Calorimeter Method)", Genever (2002). 

  10. ISO 5660-2, "Reaction-to-Fire Tests-Heat Release, Smoke Production and Mass Loss Rate-Part 2: Smoke Production Rate Heat (Dynamic Measurement)", Geneva (2002). 

  11. ASTM E 662, "Standard Test Method for Specific Optical Density of Smoke Generated by Solid Materials", ASTM International, West Conshohocken, PA, U.S.A. (2009). 

  12. M. J. Spearpoint, "Predicting the Ignition and Burning Rate of Wood in the Cone Calorimeter using an Integral Model", NIST GCR 99-775, U.S.A., pp. 30-46, (1999). 

  13. F. M. Pearce, Y. P. Khanna and D. Raucher, "Thermal Analysis in Polymer Flammability", Chap. 8, Thermal Caharacterization of Polymetric Materials, Academic Press, New York, U.S.A. (1981). 

  14. J. D. DeHaan, "Kirks's Fire Investigation", 5th Edition, Prentice Hall. pp. 84-112 (2002). 

  15. J. G. Quintiere, "Principles of Fire Behavior", Chap. 5, Cengage Learning, Delmar, U.S.A. (1998). 

  16. M. Risholm-Sundman, M. Lundgren, E. Vesten and P. Herder, "Emissions of Acetic Acid and Other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Different Species of Solid Wood", Holzalas Rohund Werktoff, Vol. 56, No. 2, pp. 125-129 (1998). 

  17. M. Delichatsios, B. Paroz and A. Bhargava, "Flammability Properties for Charring Materials", Fire Safety Journal, Vol. 38, No. 3, pp. 219-228 (2003). 

  18. V. Babrauskas, "Development of Cone Calorimeter-A Bench-Scale Heat Release Rate Apparatus Based on Oxygen Consumption", Fire and Materials, Vol. 8, No. 2, pp. 81-95 (1984). 

  19. A. Ernst and J. D. Zibrak, "Carbon Monoxide Poisoning", N Engl J Med, Vol. 339, No. 22, pp. 1603-1608 (1998). 

  20. C. L. Beyler,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Section 2,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Quincy, Massachusetts, pp. 114-115 (2008). 

  21. R. V. Burg, "Toxicology Update", Journal of Applied Toxicology, Vol. 19, No. 5, pp. 379-386 (1999). 

  22. D. A. Purser, "A Bioassay Model Fortesting the Incapacitating Effects of Exposure to Combustion Product Atmospheres Using Cynomolgus Monkeys", Journal of Fire Sciences, Vol.2, No.1, pp. 20-26 (1984). 

  23. B. G. King, "High Concentration-short Time Exposures and Toxicity", Journal of Industrial Hygiene and Toxicology, Vol. 31, No. 6, pp. 365-375 (1949). 

  24. S. Ishihara, "Smoke and Toxic Gases Produced During Fire", Wood Rsearch and Technical Notes, Vol. 16, No. 5, pp. 49-62 (19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