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준화재에 노출된 방염처리 목재의 내부온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Flame Resistant Treated Wood Exposed to a Standard Fire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2 no.3, 2018년, pp.14 - 18  

김황진 (초당대학교 소방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축 재료로 사용되는 목재의 내화성능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목재에 난연 또는 방염 처리하였을 경우 연소특성을 확인하는 것에 집중되어 졌다. 본 논문에서는 화염에 노출된 목재의 열분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내부 온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건축용 구조재로 널리 사용되는 미송(Douglas-fir)에 방염액 및 방염도료를 처리 후 표준 가열 온도 곡선에 따라 수평가열로에서 가열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방염액을 처리하였을 때 목재내부의 열확산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방염도료를 처리한 시료의 경우 고온에 노출 되었을 때 도막이 박리되어 방염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따라서 두꺼운 목재에 방염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목재표면에 도막을 형성시키는 방염도료보다는 목재내부로 침투하는 방염액을 사용하는 것이 방화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arlier studies on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woods used as building materials have focused on confirming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fire retardant or flame resistant treated wood. In this paper, to confirm internal temperature changes closely related to pyrolysis of woods exposed to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구조용 목재로 사용되는 미송(Douglas-Fir)에 방염처리를 하여 표준 가열 온도 곡선에 따라 가열시 방염처리 유 · 무에 따른 목재의 내부 온도변화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목재자체의 장점은 무엇인가? 특히 유해환경 노출에 의한 아토피와 같은피부질환이 급증하면서 단독형 목조건축물 뿐만 아니라 아파트 내에 한옥인테리어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목재자체는 단열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다른 건축물보다 전체 하중이 가볍고 수평하중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지진에도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목재는 대표적인 분해연소를 하는 가연물로서 외부의 온도가 상승할 경우 1차적으로 목재 내부의 수분 및 불순물 등이 증발하고 약 200 ℃이상 온도가 되면목재에 함유된 주요성분인 셀룰로오스(240∼350 ℃), 헤미셀룰로오스(200& sim; 260 ℃), 리그닌 ∼500 ℃)이 열분해되어 증발하기 시작한다(1).
목재의 방화(防火) 성능을 향상 시키기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은 근거로 Kwark (2011)(3)등은 한옥에 사용되는 목재의 사용용도에 따라 세분화된 난연 성능평가방법 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내외적으로 목재의 방화(防火)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목재에 난연제를 침투시키거나 방염처리를 하여 착화지연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는 매우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Ellis (1989)(4)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인산염을 목재에 첨가하였을 때 탄화층 생성이 촉진되어 목재 내부의 열분해속도가 감소되는 것을 열중량분석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Park (2007)(5), E.
목재에 난연 또는 방염 처리하였을 경우 연소특성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또한 국내외적으로 목재의 방화(防火)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목재에 난연제를 침투시키거나 방염처리를 하여 착화지연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는 매우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Ellis (1989)(4)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인산염을 목재에 첨가하였을 때 탄화층 생성이 촉진되어 목재 내부의 열분해속도가 감소되는 것을 열중량분석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Park (2007)(5), E. Baysal(2007)(6), Chung (2015)(7), Seo (2017)(8) 등은 콘 칼로리미터실험을 통해 난연 처리 목재의 연소특성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다중이용시설에 사용되는 목재 및 합판을 이용한 실내장식재와 목조문화재의 경우 초기 착화지연을 위해 현장방염처리를 실시하고 있으며 Oh (2009)(9) 등은 콘 히터 실험을 통해 15, 20, 25, 30 kW/m2의 복사열에 노출된 방염처리 시료의 화재지연효과에 대해 분석한 결과 30kW/m2 이상의 복사열 또는 400 ℃ 이상의 온도조건에서 화염에 직접 접촉하는 경우 방염에 의한 화재지연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분석하였다. Kim (2015)(10)는 방염처리합판으로 구획된 고시원의 Full Scale 화재실험을 통해방염 처리 시 화재실 내부 최고온도 도달시간이 방염처리를 하지 않았을 경우 보다 약 2배 정도 증가하여 방염효과가 초기 착화지연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화염확산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험적으로 검증한 바 있다. 이와 같이 기존 관련 연구들은 목재에 난연 또는 방염 처리하였을 경우 연소특성을 확인하는 것에 집중되어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H. J. Park and H. Kim, "A Study on Charring Rate of Wood Exposed to a Constant Incident Radiation Heat Flux", Transaction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18, No. 4, pp. 86-92 (2004). 

  2. NFPA, "The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3rd Ed. (2002). 

  3. J. H. Kwark, J. M. Choi and J. H. Ku, "A Study on Evaluation Methods for the Fire-retardant Performance of Hanok Component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5, No. 5, pp. 1-7 (2011). 

  4. W. D. Ellis and R. M. Rowell, "Flame-retardant Treatment of Wood with a Diisocyanate and an Oligomerphosphate", Wood and Fiber Science 21, pp. 367-375 (1989). 

  5. H. J. Park, "A Study on the Burning Rate of Fire Retardant Treated Wo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2, No. 6, pp. 46-54 (2007). 

  6. E. Baysal, M. Altinok, M. Colak, S. K. Ozaki and H. Toker "Fire Resistance of Douglas Fir Treated with Borates and Natural Extractive", Bioresource Technology, Vol. 98, Issue 5, pp. 1101-1105 (2007). 

  7. Y. J. Chung,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Pinus rigida Specimens Treated with Phosphorus-Nitrogen Additive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9, No. 6, pp. 13-19 (2015). 

  8. H. J. Seo, N. K Kim, J. M. Jo and M. C. Lee,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ire-retardant Treated Wood for Co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32, No. 5, pp. 149-156 (2017). 

  9. K. H. Oh, H. J. Kim and S. E. Lee, "A Study on the Ignition Delay Effect by Flame-Resistant Paint Treatment",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3, No. 2, pp. 111-116 (2009). 

  10. H. J. Kim and S. E. Lee,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Flame Resistance Treated in Gosiwon Fire", J. Korean Soc. Hazard Mitig., Vol. 14, No. 6, pp. 259-265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