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FDS 기반의 연기감지기 예측모델을 위한 입력인자 재검토
Revision of the Input Parameters for the Prediction Models of Smoke Detectors Based on the FD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1 no.2, 2017년, pp.44 - 51  

장효연 (대전대학교 소방방재학과) ,  황철홍 (대전대학교 소방방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성능위주 소방설계(PBD)의 과정에서 요구피난시간(RSET) 산정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화재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정확한 연기감지기 작동시간 예측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FDS 기반의 연기감지기 수치모델에서 요구되는 입력인자의 정확도를 개선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적용된 화재감지기 시험장치(FDE)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FDE 내부의 유동 및 연기농도 균일성이 개선되었으며, 연기입자의 전방산란 저감을 통해 감지기가 작동되는 순간의 정확한 광 소멸률이 측정되었다. 개선된 FDE를 이용한 입력인자는 기존 결과와 정량적으로 상당한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이온화식 감지기에 비해 광전식 감지기에서 더 큰 차이가 확인되었다. 연기감지기의 작동조건은 감지기 종류, 가연물, 연기입자 및 색상에 따라 큰 차이가 발생됨을 고려할 때, PBD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감지기 및 가연물에 대한 입력인자 DB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urate predictions of the activation time for smoke detectors using a fire simulation is are required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RSET (Required Safe Egress Time) calculation in the process of PBD (Performance-Based Desig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nhance the accuracy of input par...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4,5)를 통해 검토된 이온화식 및 광전식 연기감지기를 대상으로, 보다 정확한 FDS 기반의 연기감지기 수치모델의 입력인자를 도출하기 위하여 기존 화재감지기 시험장치(FDE)를 개선시켰다. 이를 통해 선행연구결과의 수정·보완된 연기감지기 수치모델 입력인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검토된 동일한 이온화식 및 광전식 연기감지기를 대상으로, 정량적으로 보다 정확한 FDS 기반의 연기감지기 수치모델의 입력인자를 도출하기 위하여 기존의 FDE가 개선되었다. 구체적으로 수치모델에서 요구되는 입력인자에 큰 영향을 미치는 유동 균일화, 감지기로 유입되는 기류의 유속 및 단위 길이당 광 소멸률(Obscuration Per Meter, OPM)의 측정 정확도가 개선되었다.
  • 이를 통해 선행연구결과의 수정·보완된 연기감지기 수치모델 입력인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를 통해 얻어진 수치모델 입력인자는 선행연구 결과와 정량적으로 차이를 갖고 있으며, 이에 본 논문을 통해 선행연구결과의 수정·보완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능위주 소방설계의 과정에서 REST 산정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선 무엇이 필수적인가? 성능위주 소방설계(PBD)의 과정에서 요구피난시간(RSET) 산정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화재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정확한 연기감지기 작동시간 예측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FDS 기반의 연기감지기 수치모델에서 요구되는 입력인자의 정확도를 개선시키는 것이다.
허용피난시간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어떤 연구가 동반되어야 하는가? 8 m), 열(60 ℃)및 가시거리에 의한 영향, 독성(CO 1,400 ppm, O2 15% 이상, CO2 5% 이하)에 의한 영향과 같은 인명 안전기준이 적용되고 있다. 물론 정확한 ASET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화재모델링이 갖는 본질적인 예측 불확실도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수치결과의 검증 및 해석기법의 체계화에 관한 연구가 동반되어야 한다(2). RSET의 산정은 감지시간(Detection time), 반응시간(Response time) 그리고 피난행동시간(Movement time)의 합으로 도출된다(3).
허용피난시간은 무엇인가? PBD는 화재안전의 목적과 설계목표의 이해를 시작으로 화재발생 및 성장과 관련된 화재의 특성평가 그리고 최종 정량적 근거에 의한 화재안전성 평가를 통해 이루어진다. 화재안전성평가는 일반적으로 Timeline 분석에 근거하여 화재로 인하여 거주자가 위험상태에 도달하는 허용피난시간(Available Safe Egress Time, ASET)과 거주자가 안전한 곳으로 피난하는데 소요되는 요구피난시간(Required Safe Egress Time, RSET)의 비교를 통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ASET이 RSET에 비해 클수록 화재로부터 보다 안전한 건축물로 평가될 수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J. H. McGuire and G. T. Tamura, "Simple Analysis of Smoke Flow Problems in High Rise Buildings", Fire Technology, Vol. 11, pp. 15-22 (1975). 

  2. K. McGrattan, S. Hostikka, R. McDermott, J. Floyd, C. Weinschenk and K. Overholt, "Fire Dynamics Simulator Technical Reference Guide", NIST Special Publication 1018,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Gaithersburg, MD (2015). 

  3. S. Baek, J. H. Choi, W. H. Hong and J. J. Jung, "A Study on Required Safe Egress Time (RSET) Comparison and Error Calculation in Relation to Fire Room Range Set Conditions of Performance Based Fire Safety Designer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0, No. 3, pp. 73-78 (2016). 

  4. K. H. Kim and C. H. Hwang, "Measurement of the Device Properties of a Ionization Smoke Detector to Improve Predictive Performance of the Fire Modeling",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7, No. 4, pp. 27-34 (2013). 

  5. J. H. Cho, S. Y. Mun, C. H. Hwang and D. G. Nam, "Measurement of the Device Properties of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for the Fire Modeling",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8, No. 6, pp. 62-68 (2014). 

  6. H. W. Park, J. H. Cho, S. Y. Mun, C. H. Park, C. H. Hwang, S. C. Kim and D. G. Nam, "Measurement of the Device Properties of Fixed Temperature Heat Detectors for the Fire Modeling",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8, No. 1, pp. 37-43 (2014). 

  7. F. W. Mowrer, "Lag Times Associated with Fire Detection and Suppression," Fire Technology, Vol. 26, No. 3, pp. 244-265 (1990). 

  8. C. E. Marrion, "Lag Time Modeling and Effects of Ceiling Jet Velocity on the Placement of Optical Smoke Detectors", Master's Thesis, Worcester Polytechnic Institute, Center for Fire safety Studies, Worcester, MA (1989). 

  9. G. Heskestad, "Generalized Characterization of Smoke Entry and Response for Products of Combustion Detectors", Proceedings of the Fire Detection for Life Safety Symposium (1975). 

  10. T. Cleary, W. Grosshandler and A. Chernovsky, "Smoke Detector Response to Nuisance Aerosol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utomatic Fire Detection "AUBE '99", 11th, pp. 32-41 (1999). 

  11. T. Cleary and A. Chernovsky, "Particulate Entry Lag in Spot-Type Smoke Detectors", Proceedings of 6th International Symposium,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Fire Safety Science (IAFSS) (1999). 

  12. G. W. Mulholland, E. L. Johnsson and M. G. Fernandez, "Design and Testing of New Smoke Concentration Meter", Reprinted from the Fire and Materials, Vol. 24, No. 5, pp. 231-243 (2000). 

  13. S. C. Kim, "Uncertainty Analysis of the Optical Smoke Density Measurement through the Doorway in a Compartment Fire",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7, No. 2, pp. 75-79 (2013). 

  14. Y. Kametani, K. Fukagata, R. Orlu and P. Schlatter, "Effect of Uniform Blowing/Suction in a Turbulent Boundary Layer at Moderate Reynolds Number", International Journal of Heat and Fluid Flow, Vol. 55, pp. 132-142 (2015). 

  15. B. J. Kim, J. H. Cho, C. H. Hwang and S. H. Park,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Low-cost Device for Measuring the Optical Smoke Density",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9, No. 4, pp. 81-88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