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립 용현자연휴양림일대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in the National Yonghyeon Natural Recreation Forest, South Kore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0 no.2, 2017년, pp.219 - 239  

변준기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신재권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정수영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김동갑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립용현자연휴양림일대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의 분포를 파악하고자 2014년 2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총 7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관속식물은 95과 280속 398종 3아종 50변종 9품종의 총 460분류군이며, 이 중 한국 특산식물은 총 6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8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IV등급 7분류군, III등급 7분류군, II등급 12분류군, I등급에는 17분류군 등 총 43분류군이 분포하고 있었다. 귀화식물은 39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8.5%로 나타났다. 조사된 470분류군의 유용도는 식용 189분류군(41.1%), 약용 155분류군(33.7%), 목초용 177분류군(38.5%), 관상용 52분류군(11.3%), 목재용 17분류군(3.7%), 섬유용 12분류군(2.6%), 공업용 3분류군(0.7%)로 나타났다. 본 연구지역은 식생은 양호하나 인위적인 간섭에 의한 훼손이 일어나고 있으며, 장기모니터링을 통해 관속식물상과 식생 동태파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ascular plants of the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in the National Yonghyeon natural recreation forest. The vascular plants collected 7 times (from February to September 2014) were consist of total 460 taxa; 95 families, 280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립 용현자연휴양림일대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식물자원 보전 및 관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립 용현자연휴양림 일대의 식물 구성은 어떠한가? 국립 용현자연휴양림일대의 관속식물은 95과 280속 398종 3아종 50변종 9품종의 총 460분류군으로 양치식물 7과 13속 22 종 3변종, 나자식물 4과 6속 6종, 피자식물의 쌍자엽식물 76과 213속 293종 3아종 37변종 8품종, 단자엽식물 8과 48속 77종 10변종 1품종으로 구성되어 있다(Table 2, Appedix 1). 이는 한반도 관속식물 4,498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http://www.
국립 용현자연휴양림의 지리적 특징은 어떠한가? 국립 용현자연휴양림은 행정구역상으로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야산 줄기인 석문봉(652 m)을 중심으로 주변에 일락산(521 m), 상왕산(307 m), 옥양봉(621 m), 수정봉(453 m) 등 능선사이에 용현계곡이 위치한다. 주변에는 서산마애삼존불상, 보원사지, 개심사 등 문화유산이 인접해 있어 자연생태교육과 문화유적탐방을 겸할 수 있는 지역으로 한반도 식물의 지리적 분포를 바탕으로 구분된 8개의 식물구계 중중부아구에 속하며(Lee and Yim, 2002), 한반도 기후를 바탕으로 한 5개의 삼림대에서는 온대중부(Yim and Kira, 1975; Yim, 1977)에 속하는 지역이다.
국립 용현자연휴양림 일대는 어떠한 지역인가? 또한, 국립 용현자연휴양림일대 산림은 산림보호법 제 17조 (산림보호구역의 지정) 1항에 관한 조항을 근거로 2008년 산림 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유용식물인 굴참나무, 굴피나무, 헛개나무, 붉노랑상사화 등이 다수 분포함으로써 유용식물자생지 유형(273 ㏊)으로 중부지방산림청 부여국 유림관리소에서 보전 및 관리하고 있는 지역이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08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yeon, J.G., J.K. Shin, S.H. Oh and D.K. Kim. 2016. The plant distribution of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in National Baekdudaegan Areboretum, Gyeongsangbuk-do, South Korea. Korean J. Plant Res. 29(2):204-224. 

  2. Byeon, J.G., J.W. Jang, J.C. Yang, Y.M. Lee, S.Y. Jung, S.J. Ji, J. Jang, H.J. Lee, H.S. Hwang and S.H. Oh. 2013.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Gariwang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South Korea. Korean J. Plant Res. 26(5):566-588. 

  3. Kariyama, S. and H. Kobatake. 1988. Naturalized plants of Gagyu-zan, Takahashi-city, Okayama prefecture, Japan, Bull. Kurashiki Mus. Nat. Hist. 3:31-40. 

  4. Kim, C.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I. Selection of plant taxa-, Korean J. Environ. Biol. 18(1):163-198 (in Korean). 

  5. Kim, J.S. and T.Y. Kim. 2011.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egae Pulishing Co., Paju, Korea. pp. 1-688 (in Korean). 

  6. Korea Forest Service. 2016. http://www.forest.go.kr/ (2016. 12. 30.) 

  7.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a. Report of the Plants Resources in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2007-.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232 (in Korean). 

  8.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b.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332 (in Korean). 

  9. Korea National Arboretum. 2011.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600 (in Korean). 

  10.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http://www.nature.go.kr/kpni/ (2016. 12. 30) 

  11. Korean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399 (in Korean). 

  12. Lee, T.B. 1976.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s in Korea. Bull. Kwanak Arboretum 1:1-137 (in Korean). 

  13.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onsa Pulishing Co., Seoul, Korea. pp. 1-914 (in Korean). 

  14.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1 volumes. Hyangmo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914 (in Korean). 

  15.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2 volumes. Hyangmo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910 (in Korean). 

  16. Lee, W.T. 1996a.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Korea. pp. 1-1688 (in Korean). 

  17. Lee, W.T. and Y.J. Yim. 2002. Plant Geography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Co., Chuncheon, Korea. pp. 1-412 (in Korean). 

  18.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s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87-101 (in Korean). 

  19. Lee, Y.N. 1996b. Flora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1247 (in Korean). 

  20. Lee, Y.N. 2006a. New Flora of Korea(I). Gyohak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975 (in Korean). 

  21. Lee, Y.N. 2006b. New Flora of Korea(II). Gyohak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885 (in Korean). 

  22. Melchior, H. 1964. An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Berlin, Germany. pp. 1-666. 

  23. Oh, B.U., D.G. Cho, K.S. Kim and C.G. Jan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Daesin Pulishing Co., Seoul, Korea. pp. 1-205 (in Korean). 

  24. Oh, H. K., Y.H. Han and K.U. Park. 2013a. Study on vascular plants of Mt. Gayasan ridge, Chungna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7(1):51-70 (in Korean). 

  25. Oh, H. K., D.P. Kim, K.K. Oh, K.R. Kang and J.N. Bae. 2013b. Mangement methods and vascular plants of the Ohseosan and the Bongsusan, Chungnam. J. Korean Env. Res. Tech. 16(3):63-81 (in Korean). 

  26. Park, S.H. 1983. The Flora of Mt. Gaya (Chungnam).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M.S. Thesis, Korea Univ.,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Park, S.H. 1995.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ichokak Pulishing Co., Seoul, Korea. p. 372. (in Korean). 

  28.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Pulishing Co., Seoul, Korea. p. 559 (in Korean). 

  29. Raunkiaer, C. 1934.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UK. 

  30. Shin, H.S. and C.W. Yun. 2014.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forest vgegtation of Mt. Gaya in Chungnam.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8(3):25-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Shin, H.S. and C.W. Yun. 2014. Characteristics of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for the forest vegetation of Mt. Ohseo in Chungnam province. J. Korean Env. Res. Tech. 17(3):35-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Yim, Y.J. 1977.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Korean peninsula IV, Zon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in relation to thermal climate. Jap. J. Ecol. 27:269-278. 

  33. Yim, Y.J. and T. Kira.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 J. Ecol. 25:77-88. 

  34. Yun, C.W., C.H. Lee and H.J. Kim. 2007. The community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in Mt. Gaya, Chungcheongnamdo province. Korean. J. Environ. Ecol. 21(5):379-3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