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성영상을 활용한 낙동강 삼각주 연안사주의 면적 및 부유퇴적물 농도 변화 분석
Analysis on the Area of Deltaic Barrier Island and Suspended Sediments Concentration in Nakdong River Using Satellite Image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3 no.2, 2017년, pp.201 - 211  

엄진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  이창욱 (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낙동강 하구역은 인공 구조물인 하구둑, 항구의 건설 및 일부 지역의 매립과 인위적인 수로 변경 등에 의해 기존의 사주가 소멸되거나, 새로운 사주가 생성되는 등의 면적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낙동강 유역의 사주 변화는 연안사주의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고, 환경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낙동강 하구의 면적 변화를 관측하는 것은 중요한 연구로 자리 잡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Landsat TM/ETM+ 영상을 기반으로 낙동강 하구의 연안사주의 면적 및 부유퇴적물에 대하여 장기적인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간 해안선 변화율은 진우도는 약 5 m/yr 이하, 신자도는 약 50 m/yr이며, 도요등은 북-남 방향은 20 m/yr, 동-서 방향은 -20 ~ 10 m/yr 이다. 부유퇴적물 농도는 진우도와 신자도 부근에서 최대 $25g/m^3$ 값을 가지는 반면에, 신자도와 도요등 부근에서는 최대 $40g/m^3$ 농도를 가진다. 그 결과 진우도는 면적 변화 및 부유퇴적물 농도 변화량이 적으며 신자도와 도요등은 면적 변화량과 부유퇴적물 농도 변화량은 크다. 모든 자료를 활용하여 연안 사주 면적 변화와 부유퇴적물 농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피어슨 계수 값이 0.36을 가지며, 겨울 자료의 경우 0.32의 값을 가진다. 즉, 부유퇴적물 변화량이 연안 사주 면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추후에는 정밀 고도 측량자료 등을 활용한 검증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는 연안 관리 및 환경 변화에 의한 연안 모니터링 연구에 활용 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stuary in Nakdong River has changes by the construction of harbors, land reclamation and artificial waterway changes. These resultslead to changes of extinction and creation of deltaic barrier island. The deltaic barrier island chang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ffect the function of the b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사주의 해안선 변화를 관측하기 위하여 획득 영상이 가장 많은 겨울 기간에 획득한 10장의 자료를 활용하여 해안선 변화를 분석하였다. Fig. 2d에서와 같이 3개의 연구지역에서 가장 남단에 위치가 진우도, 신자도, 도요등에 대한 사주 해안선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Fig.
  • 2d에서와 같이 3개의 연구지역에서 가장 남단에 위치가 진우도, 신자도, 도요등에 대한 사주 해안선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Fig. 4와 같이 최대해안선 변화량 (shoreline change envelope: SCE), 순 해안선 변화량 (net shoreline movement: NSM), 연 해안선 변화율 (end point rate: EPR)을 산출하였다. SCE는 기준선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해안선과 가장 가까운 해안선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 이 방법은 사주 해안선 전면에 기준선(baseline)을 설정하고, 기준선에 수직인 횡단측선(transect)을 생성한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통계학적 변화율인 최대해안선 변화량 (shoreline change envelope: SCE), 순 해안선 변화량 (net shoreline movement: NSM), 연 해안선 변화율(end point rate: EPR)을 산출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 3개의 기준선을 설정하였으며, 횡단측선 길이는 약 900 m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 이를 위하여 총 3개의 기준선을 설정하였으며, 횡단측선 길이는 약 900 m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연안 사주의 면적을 산출하고 변화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표준 편차를 산출하였다.
  • 또한, 각 영상으로부터 사주 지역의 면적 산출을 위해서는 근적외선 (Near Infrared) 밴드를 활용하였다. 사주 섬은 대부분 모래나 갯벌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해안선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물과 모래, 갯벌과 같은 사질 퇴적물이 잘 보일 수 있는 밴드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 이 후 대기보정 은 MODTRAN (MODerate resolution atmospheric TRANsmission)을 기반으로 하여 실시하였다. 보정된 영상은 경험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부유퇴적물 농도지도를 작성하였다. 경험적 알고리즘은 Choi et al.
  • 본 연구에서는 총 3개의 지역으로 나누어 사주의 해안선 및 면적 변화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사이 수로 3개 지점에서의 부유퇴적물 농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Fig. 1). Zone 1 지역은 진우도가 위치해 있으며, Zone 2는 신자도, 장자도, 대마등, 명지도가 위치해 있다.
  • 이 연구에서는 1985년부터 2016년까지 총 31년 동안 획득된 Landsat TM/ETM+영상을 활용하여 낙동강 하구에 위치한 연안 사주의 면적, 해안선, 부유퇴적물 농도를 분석하였다.
  • 은 QCALMIN에 해당하는 휘도를 의미한다. 이 후 대기보정 은 MODTRAN (MODerate resolution atmospheric TRANsmission)을 기반으로 하여 실시하였다. 보정된 영상은 경험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부유퇴적물 농도지도를 작성하였다.
  • 이러한 사주 변화를 면적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Fig.
  • 하지만 이 연구에서는 1985년부터 2016년까지 획득된 Landsat TM/ETM+ 영상을 활용하여 장기적인 연안 사주의 면적 변화 및 부유퇴적물 농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연안 사주 해안선 면적과 부유퇴적물 농도 변화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 획득된 영상은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누었으며, 비슷한 조위와 조차를 지닌 시기에 촬영된 위성 영상을 사용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연안사주 해안선을 추출하여 면적 산출을 하였으며 부유퇴적물 농도 지도를 작성하였다 (Table 1). 이 연구에서 사용한 부유퇴적물 농도는 해수 또는 강의 표층에서 부유하는 모래, 실트, 점토 입자 등을 포함하는 고체 물질들의 농도를 뜻한다(Choi et al.
  • 이전 연구들은 대부분 특정 시기 자료 일부만을 가지고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대부분 연안사주 지형 변화 또는 면적 변화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는 1985년부터 2016년까지 획득된 Landsat TM/ETM+ 영상을 활용하여 장기적인 연안 사주의 면적 변화 및 부유퇴적물 농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연안 사주 해안선 면적과 부유퇴적물 농도 변화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부유퇴적물 농도 지도를 작성하기 위해서 영상의 방사보정 및 대기보정을 실시하였다.

대상 데이터

  • 부유퇴적물 농도 변화 분포도 해안선 추출 영상과 동일하게 겨울에 획득된 10장의 영상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Fig.
  • 사주의 해안선 변화를 관측하기 위하여 획득 영상이 가장 많은 겨울 기간에 획득한 10장의 자료를 활용하여 해안선 변화를 분석하였다. Fig.
  • 연구지역인 낙동강 삼각주는 남북 18 km, 동서 16 km, 면적 288 km2에 달하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삼각주이다. 낙동강 하구는 낙동강이 운반하는 토사량이 많고 운반물질의 퇴적이 활발하게 일어나 삼각주 지형이 발달하기에 적합한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Lee et al.
  • 이 연구에서는 1985년부터 2016년까지 총 31년 동안 획득된 Landsat TM/ETM+영상을 활용하였다. 영상은 구름이 적은 영상을 활용하였으며, 총 획득된 영상은 26장이다. 획득된 영상은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누었으며, 비슷한 조위와 조차를 지닌 시기에 촬영된 위성 영상을 사용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1985년부터 2016년까지 총 31년 동안 획득된 Landsat TM/ETM+영상을 활용하였다. 영상은 구름이 적은 영상을 활용하였으며, 총 획득된 영상은 26장이다.
  • 그리고 이를 통하여 통계학적 변화율인 최대해안선 변화량 (shoreline change envelope: SCE), 순 해안선 변화량 (net shoreline movement: NSM), 연 해안선 변화율(end point rate: EPR)을 산출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 3개의 기준선을 설정하였으며, 횡단측선 길이는 약 900 m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연안 사주의 면적을 산출하고 변화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표준 편차를 산출하였다.
  • 영상은 구름이 적은 영상을 활용하였으며, 총 획득된 영상은 26장이다. 획득된 영상은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누었으며, 비슷한 조위와 조차를 지닌 시기에 촬영된 위성 영상을 사용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연안사주 해안선을 추출하여 면적 산출을 하였으며 부유퇴적물 농도 지도를 작성하였다 (Table 1).

데이터처리

  • 부유퇴적물 농도와 연안 사주 면적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피어슨 상관계수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산출하였다. 이 계수는 두 변수간의 관련성을 구하기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계수값 r 값은 두 변수가 완전히 동일하면 +1, 전혀 다르면 0, 반대 방향으로 완전히 동일하면 -1을 가진다 (Stigler, 1989).
  • 추출된 해안선의 시계열적 분석을 위하여 통계학적 변화율 등의 산출이 가능한 수치 해안선 분석용 프로그램인 DSAS 4.3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Thieler et al., 2009). 이 방법은 사주 해안선 전면에 기준선(baseline)을 설정하고, 기준선에 수직인 횡단측선(transect)을 생성한다.

이론/모형

  • 보정된 영상은 경험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부유퇴적물 농도지도를 작성하였다. 경험적 알고리즘은 Choi et al. (2014)에서 사용한 현장 Rrs (660) 및 부유퇴적물 자료를 활용하여 Landsat 영상에 적합하게 개발된 알고리즘 (Eom et al., 2016)을 활용하였으며 식은 다음과 같다.
  • , 2003). 따라서 근적외선 밴드를 기반으로 density slicing 방법 (Fraizer and Page, 2000)을 활용하여 사구 지역 해안선을 추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구란? 하구는 담수와 해수가 혼합되는 지역으로 조석, 파랑 및 하천 유출량의 영향을 받는 복잡한 환경이며 삼각주나 사주와 같은 다양한 퇴적체들이 발달한 지역이다(Park et al., 2014). 연안 사주 (barrier island)는 해안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섬 형태의 지형으로 태풍이나 해일로부터 육지 해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연안 사주의 역할은? , 2014). 연안 사주 (barrier island)는 해안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섬 형태의 지형으로 태풍이나 해일로부터 육지 해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동식물에게 서식지 또는 산란장을 제공하고 연안역의 영양염 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Carter, 1988; Jeong et al.
낙동강 하구역은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낙동강 하구역은 대표적인 삼각주 지형으로서 다양한 자연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는 지역으로 환경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이 지역은 본류인 낙동강과 주변의 환경조건에 의해 기존의 사주가 소멸되거나, 퇴적작용에 의해 사주의 크기 및 모양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녹산공단, 하구둑, 신항만 건설 등 대규모 연안개발로 자연환경이 급격히 변화하였다(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arter, R.W.G., 1988. Coastal environments, Academic Press, London, U.K. 

  2. Choi, J.K., Y.J. Park, B.R. Lee, J. Eom, J.E. Moon, and J.H. Ryu, 2014. Application of the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to mapping the temporal dynamics of coastal water turbidit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46, 24-35. 

  3. Choo, H.S., 2002, The variations of oceanic conditions and the distributions of eggs and larvae of Anchovy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in summer,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35(1): 77-8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Erlbaum. 

  5. Eom, J., J.K. Choi, J.S. Won, J.H. Ryu, D. Doxaran, K. Ruddick, and S. Lee, 2016. Spatiotemporal variation in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and related factors of coastal waters based on multispatial satellite data in Gyeonggi Bay, Korea. Journal of Coastal Research (Pre-prints). 

  6. Frazier, P.S. and K.J. Page, 2000. Water body detection and delineation with Landsat TM data,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66: 1461-1467. 

  7. Jang, D.H., K.H. Chi, and H.Y. Lee, 2002. Classification of tidal flat deposits in the Cheonsu-bay using Landsat TM data and surface sediment analysis.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1(4): 247-2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Jeong, S.H., B.-K. Khim, B.-O. Kim. amd S.-R. Lee, 2013. Shoreline change rates of the barrier islands in Nakdong River Estuary using aerial photography and SPOT-5 image, Ocean and Polar Research, 35(1): 1-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B.O. B.-K. Khim and S.-Y. Lee, 2005. Development of mosaic aerial photographs for shoreline change study in Nakdong estuary, Ocean and Polar Research, 27(4): 497-5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B.O. B.-K. Khim and S.-Y. Lee, 2007. Rate of shoreline changes for barrier islands in Nakdong estuary,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19(4): 361-3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S.H., 2005,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deltaic barrier island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fter the construction of river barrage. Journal of korean Geographic Society, Vol. 40, No. 4, pp. 416-4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S.-Y. and J.-S. Ha, 2001. Sedimentary facies and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adjacent coast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34(3): 268-2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W.H. and H.H. Lee, 1980. Sediment Transport and Deposition in the Nagdong Estuary,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6(3): 180-1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S., M. Yang, and C. Lee, 2016. Time series analysis of area of deltaic barrier island in Nakdong River using Landsat satellite im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4(5): 457-4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Y.D., 1993.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ubmarine geology in Pusan Bay: sedimentation process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4(1): 67-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Na, Y.H., J.H. Ryu, Y.K. Lee, S.W. Choi and J.S. Won, 2003. Estimation of geomorphologic change in Saemangum tidal flat by remote sensing, Proc. of Korean Spatial Information Society Conference, KSIS, Korea, pp. 274-2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Oh, C.Y., S.Y. Park, C.U. Choi, and J.S. Woo, 2010. Change Detection at the Nakdong Estuary Delta Using Satellite Image and GIS,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18(1): 21-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Park, J., B.-K. Khim, H.J. Lee, and S.R. Lee, 2014. Recent morphological changes off the shoreface of Jinwoodo and Sinjado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2007-2012, Ocean and Polar Research, 36(2): 87-1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Ryu, J.Y., J.K. Choi, Y.H. Na, and Won, J.S., 2003. Characteristics of Landsat ETM+ image for Gomso bay tidal flat sediment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19(2): 117-1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Ryu, S.H., K.H. Kim, and I.C. Lee, 2011. Prediction of Suspended Solid Budget in Nakdong River Estu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17(3): 185-1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Stigler, S.M., 1989. Francis Galton's Account of the Invention of Correlation, Statistical Science, 4(2): 73-79. 

  22. Thieler, E., E.A. Himmelstoss, J.L. Zichichi, and A. Ergul, 2009. The digital shoreline anlysis syster (DSAS) version 4.0-an ArcGIS extension for calculating shoreline change, USGS, Massachusetts, U.S. Gelogical Survey open-file report 2008, p.1278. 

  23. Xu, Z., D.J. Kim and S.H. Kim, 2013. Research of topography changes by artificial structures and scattering mechanism in Yoobu-Do inter-tidal flat using remote sensing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9(1): 57-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Yi, G.C., H.S, Yoon, S.H. Kim, C.H. Nam, and J.A. Ok, 1999.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Wetland Database for the Nakdong River Estuary using GIS and 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3): 1-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