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하구 만입지의 지형발달
Geo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mbayment Area at the estuary of Nakdong River 원문보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17 no.6, 2011년, pp.649 - 665  

양재혁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조국래 (경남 서창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동남해안에 위치하고 있는 낙동강 하구 만입에는 대규모의 충적지형이 발달되어 있다. 외형적으로 이들은 하천과 해양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 델타의 성격을 보이지만 만입 충적물의 퇴적층후는 일반적인 델타와는 다른 층서적 특징을 나타낸다. 이들의 발달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남-북, 동-서 횡단면의 총 108개 지점의 시추 주상도를 검토하고 이 중 53개 지점에 대해서는 층후, 구성물질, 패각의 존재유무, 퇴적상을 도식화하고 연대분석(AMS)을 시도하였다. 지형적 배경, 구성물질의 특징과 규모, 층서적 특징, 연대측정 결과를 고려할 때, 낙동강 하구 만입 충적지는 지구조 운동에 의해 다양한 방향의 산지들이 만입을 형성한 후, 여기에 사면 쇄설성 물질, 하천 퇴적물, 홀로세해진시기의 해양퇴적물($7830{\pm}40BP{\sim}5680{\pm}50BP$)이 시기와 공간을 달리하며 퇴적된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stuary of River Nakdong(in south-ea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is the most representative site of delta in Korea. This study is to elucidate morpho-structural background associated with the embayment area and sedimentation processes, having allowed development of the delta. In this area, Gre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연구들을 통해 낙동강 하구의 지형발 달에 관한 많은 사실들이 밝혀졌음에도, 낙동강 하구 충적지형의 발달배경과 시기, 해수면 변동과의 관련성, 수직적인 퇴적구조와 연계된 최상부층(상치층, Top-set beds)의 평면적인 발달 양상과 관련된 의문점들은 여전히 남아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만입 형성에 미친 지구조 운동의 영향을 고려하여 지형적 조건을 파악하고 둘째, 낙동강 하구 만입지를 메운 충적층의 퇴적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모식화 한 후, 하구 충적지형(삼각주)의 평면적 발달양상과 연계하여 설명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일대 지형적 조건과 퇴적 환경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충적지형의 시계열적 변화과정을 살펴봄으로서 낙동강 하구의 생성배경 및 발달과정을 밝히려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동강 하구는 어느 곳을 말하는가? 낙동강 하구는 총 525.8Km 길이의 낙동강이 영남지방을 관류하다가 남해와 인접하여 흐르는 구간으로, 김해시 대동면 초정리 인근에서 낙동포 에 이르는 남-북 약 20Km, 동-서 최대 16Km에달하는 낙동강의 일부 유역을 말한다. 이 지역에서 낙동강 본류는 김해시와 양산시의 경계를 이루 면서 북서-남동방향으로 협곡을 빠져 나온 후, 양산단층의 입구에 해당하는 금정산 서사면(양산시 물금읍)에 이르러서는 남남서로 유로를 바꾸고 넓은 하곡으로 유입한다.
권혁재(1973)는 낙동강 삼각주의 주요지형을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권혁재(1973)는 삼각주 지형을 중심으로 낙동강 삼각주의 주요지형을 크게 상부 삼각주(Upper Delta), 하부 삼각주(Lower Delta), 삼각주주변분지(Marginal Deltaic Basin) 세 지역으로 구분하고, 각 지역의 지형적 특징과 형성과정이 상이한 것으로 밝히고 있으며, 조화룡(1982, 1985)은 해수면 변동에 의한 충적평야 형성 패턴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낙동강 하구의 조만강, 죽림강, 신흥리, 낙동강 본류 일대의 시추조사 자료를 토대로, 낙동강 하구 삼각주는 기반암(-53∼63m), 기저역층(BG:5∼15m), 하부 점토층(LC:14m), 중부 사층(MS:10m), 중부 점토층(MC:20m), 표면 사층 (UC:3∼4m)의 순으로 충적구조를 이루고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낙동강 하구 만입에 있는, 대규모의 충적지형 발달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무엇을 시도하였나? 외형적으로 이들은 하천과 해양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 델타의 성격을 보이지만 만입 충적물의 퇴적층후는 일반적인 델타와는 다른 층서적 특징을 나타낸다. 이들의 발달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남-북, 동-서 횡단면의 총 108개 지점의 시추 주상도를 검토하고 이 중 53개 지점에 대해서는 층후, 구성물질, 패각의 존재유무, 퇴적상을 도식화하고 연대분석(AMS)을 시도하였다. 지형적 배경, 구성물질의 특징과 규모, 층서적 특징, 연대측정 결과를 고려할 때, 낙동강 하구 만입 충적지는 지구조 운동에 의해 다양한 방향의 산지들이 만입을 형성한 후, 여기에 사면 쇄설성 물질, 하천 퇴적물, 홀로세해진시기의 해양퇴적물($7830{\pm}40BP{\sim}5680{\pm}50BP$)이 시기와 공간을 달리하며 퇴적된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