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OCI를 활용한 한반도 주변해역 적조 감시 체계 연구
A study on red tide surveillance system around the Korean coastal waters using GOCI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3 no.2, 2017년, pp.213 - 230  

신지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  민지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  유주형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위성기반 적조 탐지 알고리즘들은 특정 해역, 적조 종을 중심으로 개발되어 왔다. 하지만 한반도 주변해역의 빠르고 정확한 적조 감시를 위해서는 한반도 주변의 전 발생 해역과 다양한 적조 종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주변해역을 대상으로 GOCI 영상을 활용하여 적조 영역의 스펙트럼 특성과 위성기반 적조 탐지 알고리즘의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적조 종들의 클로로필 함량과 적조가 출현하는 해역의 탁도에 따라서 스펙트럼 특성이 달라졌다. 또한 기존 적조 탐지 알고리즘을 GOCI 영상에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존 임계값으로는 적조 영역 추출에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적조 종들을 클로로필 함량의 차이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어 적조 감시 체계를 제시하였다. 총 5 단계를 거쳐 적조 영역과 비적조 영역을 구분하였으며, 적조 속보를 기준으로 했을 경우 최종 추출된 적조영역이 기존 알고리즘으로 추출된 영역에 비해 적절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적조 감시 체계를 활용한다면 한반도 주변의 모든 해역과 다양한 적조 종에 대한 빠르고 정확한 감시로 인해 효율적인 적조 감시가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atellite-based red tide detection algorithms have been developed for specific occurrence waters and red tide species. However, it is essential to study the whole occurrence waters and various red tide species for quick and accurate surveillance of red tide around the Korean coastal waters. In 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적조현상이 발생시키는 문제는? 이는 주로 남해안 적조가 확대되어 발생한 경우가 많으며, 2013년의 경우 울릉도, 독도까지 확대되기도 했다. 이러한 적조현상은 관광 산업, 어업 및 양식업 등의 경제적 피해를 증가시키고 있어 심각한 사회 · 경제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NFRDI, 2015). 따라서 한반도 해역의 적조 감시를 위한 탐지 및 모니터링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적조 발생 해역별 특징은 어떤가? 적조 현상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한반도 주변해역은 1995년 이후 유해성 적조가 점차 대규모화, 광역화, 만성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적조 발생 해역별 특징을 보면 남해안의 경우 유해성 적조인 Cochlodinium polykrikoides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반면, 서해안의 경우 주로 Noctiluca scintillans, Heterosigma akashiwo등의 무해성 적조가 주로 발생한다(NFRDI, 2015). 특징적으로 2012년의 경우에는 서해안 태안만 근처에서 C.
적조 발생 시 빠르고 정확한 감시 차원에서 주기적이고 광역적인 탐지 및 모니터링이 가능한 무인항공기나 위성을 통한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인 이유는? 적조에 대한 대응을 담당하고 있는 국립수산과학원은 지금까지 선박을 이용한 정점 조사를 중심으로 적조 발생 지역, 적조 종, 발생밀도 등의 현장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인력, 비용, 시간적 측면에서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점점 광역화되어 발생하고 있는 적조 발생 영역을 관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Ahn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hn, Y.H. and P. Shanmugam, 2006. Detecting the red tide algal bloom from satellite ocean color observations in optically complex Northeast-Asia Coastal water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03: 419-437. 

  2. Ahn, Y.H., J.E. Moon, W.C. Seo, and H.J. Yoon, 2009. Inherent Optical Properties of Red Tide Algal for Ocean Color Remote Sensing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12(1): 47-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Bidigare, R.R., M.E., Ondrusek, J.H. Morrow, and D.A. Kiefer, 1990. In vivo absorption properties of algal pigments, Ocean Optics X,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s and Photonics, pp. 286-298. 

  4. Choi, J.Y., 1993. Seasonal variations of suspended matters in the Keum estuary and its adjacent coastal area. Journal of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28(4): 272-2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i, J.Y. and Y.A. Park, 1998. Southward Transport of Suspended Sediments during Summer Season in the Coastal Zone off Tae-An Peninsula, West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3(1): 45-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arder, K.L., F.R. Chen, Z.P. Lee, S.K. Hawes, and D. kamykowski, 1999. Semianalytic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meter algorithms for chlorophyll-a and absorption with bio-optical domains based on nitrate-depletion temperatur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4: 5403-5421. 

  7. Ciotti, A.M., M.R. Lewis, and J.J. Cullen, 2002. Assessment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dominant cell size in natural phytoplankton communities and spectral shape of the absorption coefficient, limnology and oceanography, 47: 404-417. 

  8. Cannizzaro, J.P., K.L. Carder, F.R. Chen, C.A. Heil, and G.A. Vargo, 2008. A novel technique for detection of the toxic dinoflagellate, Karenia brevis, in the gulf of Mexico from remotely sensed ocean color data, Continental Shelf Research, 28(1): 137-158. 

  9. Choi, J.K., J.E. Min, J.H. Noh, T.H. Han, S. Yoon, Y.J. Park, J.E. Moon, J.H. Ahn, S.M. Ahn, and J.H. Park, 2014. Harmful algal bloom(HAB) in the East Sea Identifeid by the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GOCI),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39: 295-302. 

  10. Gordon, H.R., 1995. Remote sensing of ocean color: A methodology for dealing with broad spectral bands and significant out-of-band response, Applied Optics, 34(36): 8363-8374. 

  11. Hu, C., F.E. Muller-Karger, C. Taylor, K.L. Carder, C. Kelble, E. Johns, and C.A. Heil, 2005. Red tide detection and tracing using MODIS fluorescence data: A regional example in SW Florida coastal water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97: 311-321. 

  12. Korea Ocean Research & Develpment Institute, 1999. Development of red-tide and water turbidity algorithms using ocean color satellite. 

  13. Kim, H.G., 2005. Harmful Algal Blooms in the Sea, Dasom Publishing Co., Korea. 

  14. Kim, Y.M., Y.G. Byun, Y.I. Kim, and Y.D. Eo, 2009. Detection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red tide based on two-stage filtering using MODIS data, Desalination, 249: 1171-1179. 

  15. Kim, Y.S., S.J. Yoo, and Y.B. Son, 2015. A study on optical propertied of harmful algal blooms(HABs) in Korean waters, Proc. of the 2015 Autumn Meeting, p. 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N.R., 2007. Inherent Optical Properties of phytoplankton for the application of red tide remote sens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17. Lou, X. and C. Hu, 2014. Diurnal changes of a harmful algal blooms in the East China Sea: Observations from GOCI,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40: 562-572. 

  18. Morel, A., 1988. Optical Modeling of the Upper Ocean in Relation to Its Biogenous Matter Content(Case Ι Water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3(C9): 10749-10768. 

  19. Min, J.E., J.H., Ryu, and Y.J. Park, 2015.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herent Optical Properties and Ocean Color Algorithms Around the Korean Water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1(5): 473-4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Nair, A., S. Sathyendranath, T. Platt, J. Morales, V. Stuart, and M.H. Forget, 2008. Remote sensing of phytoplankton functional typ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2(8): 3366-3375. 

  21.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NFRDI), 2015. Harmful Algal Blooms in Korean Coastal Waters in 2015. 

  22. Oh, J.K., 1995. Sedimentation processes of the suspended sediments in Yumha channel of the Han River estuary, korea, 16(1): 20-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Robert D. Vaillancourt, Christopher W. Brown, Robert R. L. Guillard, and William M. Balch, 2004. Light backscattering properties of marine phytoplankton: realtionships to cell size, chemical composition and taxonomy. Journal of Plnkton Research, 26(2): 191-212. 

  24. Ryu, J.H., H.J. Han, S. Cho, Y.J. Park, and Y.H. Ahn, 2012. Overview of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GOCI) and GOCI data Processing System(GDPS), Ocean Science Journal, 47(3): 223-233. 

  25. Stumpf, R.P., M.E. Culver, P.A. Tester, M. Tomlinson, G.J. Kirkpatrick, B.A. Pederson, E. Truby, V. Ransibrahmanakuf, and M. Soracco, 2003. Monitoring Karenia brevis blooms in the Gulf of Mexico using satellite ocean color imagery and other data, Harmful Algae, 2: 147-160. 

  26. Suh, Y.S., L.H. Jang, N.K. Lee, and J. Ishizaka, 2004. Feasibility of red tide detection around Korea waters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Journal of Fisher Science Technology, 7(3): 148-162. 

  27. Sasaki, H., A. Tanaka, M. Iwataki, Y. Touke, E. Siswanto, T.C. Knee, and J. Ishizaka, 2008. Optical Properties of Red Tide in Isahaya Bay, Southwestern Japan: Influence of Chlorophyll a Concentration. Journal of Oceanography, 64: 511-523. 

  28. Son, Y.B., Y.H. Kang, and J.H. Ryu, 2012. Monitoring Red Tide in South Sea of Korea(SSK) Using the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GOCI),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8(5): 531-548. 

  29. Shang, S., J. Wu, B. Huang, G. Lin, Z. Lee, and J. Liu, 2014. A new approach to discriminate dinoflagellate from diatom blooms from space in the East China Se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9(7): 4653-4668. 

  30. Tomlinson, M.C., R.P. Stumpf, V. Ransibrahmanakul, E.W. Turby, G.J. Kirkpatrick, B.A. Perderson, A.V. Gabriel, and C.A. Heil, 2004. Evaluation of the use of SeaWiFS imagery for detecting Karenia brevia harmful algal blooms in the eastern Gulf of Mexico,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91: 293-303. 

  31. Tomlinson, M.C., T.T. Wynne, and R.P. Stumpf, 2009. An evaluation of remote sensing techniques for enhanced detection of the toxic dinoflagellate, Karenia brevis, Remote Sensing Environment, 113: 589-609. 

  32. Wynne, T.T., R.P. Stumpf, M.C. Tomlinson, R.A., Warner, P.A. Tester, J. Dybel, and G.L. Fahnenstiel, 2008. Relating spectral shape to cyanobacterial blooms in the laurentian Great Lake,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9: 3665-3672. 

  33. Yoon, H.J., K.W. Nam, H.G. Cho, and H.K. Beun, 2004. Study on monitoring and prediction for the red tide occurrence in the middle coastal area in the South Sea of Korea II.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d tide occurrence and the oceanographic factor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8(4): 938-9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