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밤 내피 및 외피의 이화학적 특성 및 박피율과의 상관분석
Correlation betwee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eeling Ratio of Korean Chestnut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3 no.2, 2017년, pp.190 - 197  

황자영 (동남보건대학교 식품영양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related to peeling rate of Korean chestnut. Methods: Analyses were carried out for weight, thickness, polyphenol, amino acid and peeling ratio for Korean chestn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physicochemical componen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탄닌이아미노산과 결합하는 특성을 생각하여 밤과육의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고 박피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국내산 밤의 효율적 박피 및 밤가공 제품의 산업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탄닌과 밤의 박피율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05). 따라서 탄닌이 내피의 두께에 영향을 주며 내피의 두께가 박피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나라의 밤 박피작업이 기계화가 어려운 이유는? 국내 밤은 그 품질이 세계적으로 우수하나 외국산 품종과 비교했을 때 외피의 경도가 단단하고 내피의 경우 과육과 점착정도가 높은 특성이 있다. 이에 우리나라의 밤 박피작업은 기계화가 어려워 수작업으로 진행하여 밤 가공제품의 산업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밤의 폴리페놀 중 박피율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진 것은 무엇인가? 93 mm였다. 밤의 폴리페놀 중에서도 박피율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갖는 폴리페놀이 분석되었으며 이들은 (+)-catechin 혹은(-)-epicatechin을 단위로 하는 procyanidin과 gallic acid로 에스터화된 procyanidin으로 예상되었다. 밤과육의 평균 총아미노산 함량은 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rtolome B, Bengoechea ML, Galvez MC, Perez-Ilzarbe FJ, Hernandez T, Estrella I, Gomez-Cordoves C. 1993. Photodiode array detection for elucidation of the structure of phenoloic compounds. J Chromatogr A 655(1):119-125. 

  2. Bartolome B, Hernandez T, Bengoechea ML, Quesada C, Gomez-Cordoves C, Estrella I. 1996. Determination of some structural features of procyanidins and related compounds by photodiode-array detection. J Chromatogr A 723(1):19-26. 

  3. Bengoechea ML, Sancho AI, Bartolome B, Estrella I, Gomez-Cordoves C, Hernandez MT. 1997. Phenolic composition of industrially manufactured purees and concentrates from peach and apple fruits. J Agric Food Chem 45(10):4071-4075. 

  4. Escribano-Bailon T, Guitierrez-Fernandez Y, Rivas-Gonzalo JC, Santos-Buelga C. 1992. Characterization of procyanidins of Vitis vinifers variety Tinta del Pais grape seeds. J Agric Food Chem 40(10):1794-1799. 

  5.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09. Total and agricultural population. Available from: http://www.fao.org/docrep/014/am079m/PDF/am079m01a.pdf. Accessed March 10, 2017. 

  6. Hara H, Matsuda T, Tsukihashi T, Matsuda T. 1995. Morphological studies on pellicle development and removal in chestnut. J Jpn Soc Hort Sci 64(3):485-497. 

  7. Heinrikson RL, Meredith SC. 1984. Amino acid analysis by reverse-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Precolumn derivatization with phenylisocyanate. Anal Biochem 136(1):65-74. 

  8. Hwang JY, Hwang IK, Hwang JB. 2001. Analysis of physicochemical factors related to the automatic pellicle removal in Korean chestnut (Castanea crenata). J Agric Food Chem 49(12):6045-6049. 

  9. Hwang JY. 2011.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eled chestnuts with storage temperature. Korean J Food Nutr 24(1):71-78. 

  10. Jang JH, Ko JA, Park HJ. 2013.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ydroxypropylated mung bean, sweet potato, and warter chestnut starches for hard capsules formation. Korean J Packag Sci Technol 19(2):75-80. 

  11. Joo SH, Kim MJ, Kim MS, Lee U. 2016. Comparison of chestnut (Castanea spp.) qua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torage temperatures and cultivars. J Korean For Soc 105(1):93-102. 

  12. Joo SY. 2013.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stnut cookies. J Korean Soc Food Cult 28(1):70-77. 

  13. Kim JH, Park JB, Choi CH, Kim JM. 2004. Study on optimization of flame peeling system for chestnut (II) -Optimization of flame peeling process for chestnut-. J Biosyst Eng 29(1):53-58. 

  14. Kim YC, Hong SG, Choi JU, Lee JB, Chung SK. 1999. Effects of acid and alkali treatment for chestnut peeking and its physical propertie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3): 308-312. 

  15. Kim YD, Choi OJ, Shim KH, Cho IK. 200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estnut starch according to the processing meth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3):366-372. 

  16. Lee HS, Jang YJ, Kim SH. 2016. The study on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s with chestnut. J Korean Soc Food Cult 31(2):194-203. 

  17. Meredith FI, McCarthy MA, Leffler R. 1988. Amino acid concentrations and comparison of different hydrolysis procedures for american and foreign chestnuts. J Agric Food Chem 36(6):1172-1175. 

  18. Nah YA, Hang CB. 1996. Changes of constituent components in chestnu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8(6):1164-1170. 

  19. Park YA, Kim JH, Hwang TY, Moon KD. 1999.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ydroxypropylated chestnut starch. Korean J Food Sci Technol 31(4):999-1004. 

  20. Tanaka K, Kotobuki K. 1992. Comparative ease of pellicle removal Japanese chestnut (Castanea crenata Sieb. et Zucc.) and Chinese chestnut (C. mollisima Blume) and their hybrids. J Jpn Soc Hort Sci 60(4):811-819.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