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밤 자원의 가공적성 연구
Study on Processing Properties of Chestnut Resources 원문보기

식품과학과 산업 = Food science and industry, v.49 no.2, 2016년, pp.56 - 62  

오선민 (경희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원 식품생명공학과 및 생명공학원) ,  백무열 (경희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원 식품생명공학과 및 생명공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the production of chestnut in Korea is the second largest in the world, domestic consumption of chestnut is very limited. Furthermore, consumption of chestnut in Korea is highly dependent on export to Japan and China. Large amount of chestnut in Korea have been deteriorated and discarded d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냉동저장 보다 냉장 저장에서 비타민 C의 감소가 급격하였고 3개월 저장 후 비타민 C가 검출되지 않았다는 연구가 있다(8). 이 연구결과는 밤을 저장하는데 성분의 변화를 최소화 시켜주는 적합한 저장 조건을 제시하여 주었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밤 재배의 특징은? 밤은 다른 과수에 비해 자본과 노동력은 적게 들고 자연력에 의존하는 재배방법이므로 경사가 급한 지형에서도 비교적 잘 자라 야산이나 구릉지에 분포하는 경우가 많다. 2014년 지역별 평균 재배면적 및 재배본수는 다음과 같다(Table 1)(4).
우리나라의 밤 생산량은? 우리나라는 2위(6만 7천 톤)를 차지하고 있으며 터키(6만 톤), 볼리비아(5만 8천 톤), 이탈리아(5만 톤)가 뒤를 잇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7년 12만 9천 톤을 생산한 이래로 점차 감소하여 2003년에는 6만톤을 생산하였고 최근 2013년도에는 6만 7천 톤으로 소폭 증가하였다.
세종실록에 밤의 구황작물로서의 언급된 문장은? 예로부터 밤은 우리나라에서는 구황작물로서의 역할을 하였으며, 약 2000년 전부터 밤을 재배했다고 알려져 왔다. 세종실록에서 ‘흉년 때 밤과 상수리를 주워서 생활해야 하기 때문에 산과 들을 불태우는 일을 금해야 한다’라고 기록되어있어 밤이 중요하게 쓰였음을 알 수 있다. 밤나무는 참나무과(Fagaceae) 밤나무속(Castanea)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우리나라의 기후풍토에 적응력이 강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ruz BR, Abraao AS, Lemos AM, Nunes FM. Chemical composition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native chestnut starch (Castanea sativa Mill). Carbohydrate polymers 94: 594-602 (2013) 

  2. Park JH, Yoon JH, Hwang MS, Cho MG, Choi MS, Kim JK, Moon HS. Nut characteristics of chestnut varieties cultivated in southern Korea.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5(2): 61-67 (2011) 

  3. Seo DJ, Chung MJ, Kim DJ, You JK, Choe M. Nutritional constituent analysis of Korean chestnu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8: 166-176 (2009) 

  4. 산림청. 2014 임산물 생산비 통계, (2015) 

  5. 산림청. 2014 임산물 생산조사, (2015) 

  6. 김재성. 친환경 밤의 생산 및 소비에 관한 연구 (2006) 

  7. Nha YA, Yang CB. Changes of constituent components in chestnut during storage.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8: 1164-1170 (1996) 

  8. Kim DJ, Chung MJ, Seo DJ, You JK, Shim TH, Choe M. Change of Constituent Components in Selected Korean Chestnut (Castanea crenata S. et Z.) Cultivars by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8(2): 225-234 (2009) 

  9. Lee HJ, Chung MJ, Cho JY, Ham SS, Choe M. Antioxidative and macrophage phagocytic activities and functional component analyses of selected Korean chestnut (Castanea crenata S. et Z.) cultiva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7: 1095-1100 (2008) 

  10. Choo NY, Ahn SY. Effects of Molecular Structural Changes of Chestnut Starch on Starch and It, s Gel Propertie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7: 1028-1034 (1995) 

  11. Park I, Kim S, Kim C.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estnut starch. Journal of the Korean Agricultural Chemical Society (Korea R.) (1982) 

  12. Demiate IM, Oetterer M, Wosiacki G. Characterization of chestnut (Castanea sativa, Mill) starch for industrial utilization. Brazilian Archives of Biology and Technology 44: 69-78 (2001) 

  13. Kim S, Jeon Y, Lee B, Kim Y, Kang O.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chestnut starch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Korea Republic) (1995) 

  14. Lee JW, Choi HW, Seo DH, Park JD, Kum JS, Kim BY, Baik MY.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tarches from chestnuts cultivated in three regions of Korea. Starch-Starke 67(7-8): 585-594 (2015) 

  15. Choo NY, Ahn SY. Properties of chestnut starch and it's gel.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7: 1017-1027 (1995) 

  16. 이양희, 밤에 대량소비를 위한 가공기술 개발 및 기업화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연구소, (1977) 

  17. Park HH, Kim SK, Pyun YR, Lee SY. Rheological properties of chestnut starch solution.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1: 815-819 (1989) 

  18. 민경택. 일본의 밤 생산과 가공 현황 (2010) 

  19. Park YH, Kim SK, Lee SY, Kim JB. Rheological properties of gelatinized chestnut starch solution.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16: 314-318 (1984) 

  20. Kim YD, Choi OJ, Shim KH, Cho IK.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estnut starch according to the processing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5: 366-372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