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생태학적 영향요인: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을 중심으로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Low-Income Adolescents Attend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3 no.2, 2017년, pp.158 - 167  

박지영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박영숙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이정은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  김수빈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factors influencing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low-income families. Methods: Secondar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ata of 1,321 low-income adolescents in 123 regions found on the Survey on Service Satisfaction w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환경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확인하는 것이었으며, 때문에 각 수준 사이의 층위간 상호작용(cross-level interaction)을 분석하고 이들의 관계를 설명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집단수준(level 2)에 해당하는 지역 사회 변수 중 유의한 결과로 확인된 지역형태 및 지역사회 인식이 개인 수준(level 1)의 변수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추가 연구를 제안하는 바이다.
  •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을 종합해볼 때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학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지역사회 환경요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현 시점에서 거시적 환경체계에 대한 영향력 분석을 통해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이해를 도모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건복지부와 지역아동센터 중앙지원단이 2014년에 전국 지역아동센터를 대상으로 실시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만족도 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대인관계, 조직, 지역사회 수준에서 위계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저소득 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 증진을 위한 맞춤형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관련 정책 제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또한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환경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확인하는 것이었으며, 때문에 각 수준 사이의 층위간 상호작용(cross-level interaction)을 분석하고 이들의 관계를 설명하지는 못하였다.
  • 본 연구는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환경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만족도 조사의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이차분석을 시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아동에 있어 특수하고 필수적인 환경인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적응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요인인 가족 특성, 지역아동센터 특성, 지역사회 특성을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 증진에 도움이 되는 전략개발을 위한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건복지부와 지역아동센터 중앙지원단이 2014년에 전국 지역아동센터를 대상으로 실시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만족도 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대인관계, 조직, 지역사회 수준에서 위계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저소득 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 증진을 위한 맞춤형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관련 정책 제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아동에 있어 특수하고 필수적인 환경인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적응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요인인 가족 특성, 지역아동센터 특성, 지역사회 특성을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 증진에 도움이 되는 전략개발을 위한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 점수는 4점 만점에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는 어떠한 공간인가? 10%에 비해 훨씬 높은 수치이다[1]. 학교는 청소년들이 성공적인 발달과업을 수행하기 위한 중요한 장소로, 청소년은 학교를 통해 심리·사회적 발달을 이루어 가고 가족을 넘어 친구 및 교사와의 관계 확립을 통해 본격적인 사회적 관계를 형성해나간다[2]. 따라서 청소년기의 바람직한 학교적응은 성인기의 성공적인 사회적응의 밑거름이 될 수 있다.
청소년에게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환경적 요인 중 가족구조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환경적 요인인 가족특성으로는 대표적으로 가족구조를 들 수 있다. 가족 내 일부 구성원의 부재는 가족의 기능적 결손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경제적 어려움 및 자녀 양육 상의 문제, 부모 및 자녀에게 부정적인 심리·정서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11]. 선행연구들은 가족구조와 학교적응 간 관계에 대해 대체로 일관적으로 구조적 결손 가구, 즉 비 친부모 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이 친부모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보다 낮다고 보고하였다[12].
학교적응이란 무엇인가? 따라서 청소년기의 바람직한 학교적응은 성인기의 성공적인 사회적응의 밑거름이 될 수 있다. 여기서 학교적응이란, 학생 개개인이 학교생활 중 또래, 교사 등의 사회적 환경과 학교 규칙 및 학습활동 등의 물리적 환경에 조화를 이루어가는 과정으로 정의되며[3], 청소년기의 학교 부적응은 결석, 교내 폭력 등의 학교 내 문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음주, 흡연, 범죄 등의 반사회적 행동인 청소년 비행으로 이어져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기도 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o IK. 25,000 students drop out due to school maladjustment [Internet]. Asia Economy. 2016 September 28 [cited 2016 November 2]. Available from: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092811281088337 

  2. Lee JE, Cho MY. Impact of family, school and neighborhood factors on youth school adjustment. Studies on Korean Youth. 2007;18(3):79-102. 

  3. Koo HY, Park HS. Levels of and predictors of satisfaction with life in Korean adolescent.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5; 11(3):322-329. 

  4. Hwang SH. A study on the trajectories of change of youths' maladjustment to schools: Centering on a Latent Growth Model.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0;17(4):211-239. 

  5. Park SJ, Shim HW. The effect of positive parental attitude, ego-resiliency, self-regulated learning structurally on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in povert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2;19(12):113-135. 

  6. Kim HJ.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to school adjustment of the poor children i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0;17(12):211-233. 

  7. Park S, Yoon C. The effects of personal and family variable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6th and 9th grade Korean students. Studies on Korean Youth. 2013;24(3):147-169. 

  8. Lee JS, Chung HJ. The relations among adolescent’s perception of parents’ marital relationship, attachment with their parents, and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004;22(3):47-61. 

  9. Jung MY. Moon HJ. Relevant variables of children’s school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07;28(5):37-54. 

  10. Kim JK, Kim JY, Kim NJ. Anxiety, depression and school adapt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nd without hearing impairment.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2007;9(4):231-247. 

  11. Oh SH. A comparative study on family system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mong male-headed, female-headed, and normal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001;12:77-107. 

  12. Jang CO. Effects of family function on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Focusing on mediation effects of personal and school factors. Journal of Regional Studies. 2013;21(2):195-214. 

  13. Kim HR, Choi SH. The effects of family strengths and school-related factors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009;30:159-182. 

  14. Kim HS. Health disparity and health welfare among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3;19(4):247-251. https://doi.org/10.4094/chnr.2013.19.4.247 

  15. Pyo KS, Sung NH, The effect of poor children's school stress on school adjustment in an agricultural district: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moderating effect of user satisfaction levels in local community child centers. Asian Journal of Child Welfare and Development. 2012;10(2):41-63. 

  16. Cho JA. Identifying latent classes i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nd testing eco-system variables as predictors of latent classes. Studies on Korean Youth. 2012;23(1):277-309. 

  17. Lee HR, Cheon MS. Relationship analyses between adolescents’ egoidentity and school life adjustm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03;10(4):511-541. 

  18. Choi Y, Lim SK.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in the community level on the youth’s academic attainmen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2009;22:227-250. 

  19. Leventhal T, Brooks-Gunn J. The neighborhoods they live in: the effects of neighborhood residence on child and adolescent outcomes. Psychological Bulletin. 2000;126(2):309-337. 

  20. Maas CJ, Hox JJ. Sufficient sample sizes for multilevel modeling. Methodology. 2005;1(3):86-92. http://dx.doi.org/10.1027/1614-2241.1.3.86 

  2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Internet]. Statistics Korea; 2014 [cited 2016 November 3]. Available from: http://kosis.kr/ 

  22. Youth Center Portal. Youth Center Portal [Internet]. The Korea Association Of Youth Center; 2014 [cited 2016 November 3]. Available from: http://www.youthnet.or.kr/YouthNetMain2.do 

  23. Kim JK, Baek HJ, Lim HJ, Lee KO.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0 I. Research Report.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0 December. Report No.: 10-R01. 

  24. Shin HJ, Kim GW. The impact of family background and developmental factors on school adjustment: A panel analysi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Studies on Korean Youth. 2014;25(1):85-106. http://dx.doi.org/10.14816/sky.2014.25.1.85 

  25. Huh NS, Jung IJ, Lee KL. Development plan mode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of community child centers [Interne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cited 2016 November 13]. Available from: http://www.prism.go.kr/homepage/entire/retrieveEntireDetail.do?pageIndex1&research_id1351000-200900174&leftMenuLevel160&cond_research_name%EC%A7%80%EC%97%AD%EC%95%84%EB%8F%99%EC%84%BC%ED%84%B0+%EC%9A%B4%EC%98%81%EC%84%B1%EA%B3%BC&cond_research_start_date&cond_research_end_date&pageUnit10&cond_order3 

  26. Suwon City, Happy Suwon City Community Welfare Association. Survey Report. Suwon city community needs survey report II. Suwon City: Suwon City Community Welfare Association; 2010 February. 

  27. Choi DM, Yun YK, Hyun YS, Kang DJ, Lee SJ. Effects of family structure on middle/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013;51(4):119-153. 

  28. Lee JY, Chung IJ. Predictor variables of developmental trajectories in problem behavior and school adjustment among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016;54:173-197. 

  29. Kim JW, Park HD. Establish of local children’s center for youth research: Around the Uijeongbu city. Journal of Social Welfare Management. 2014;1(1):69-90. 

  30. Han KJ, Yi YH, Sim IO, Choi YJ. Dimensions and attributes of quality of life in Korean school-age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5;11(2):167-1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