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Influential Factors for Happiness of Adolescents Who Use Community Child Center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2, 2020년, pp.126 - 137  

박순진 (한국사회복지진흥원) ,  석말숙 (나사렛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지역아동센터패널연구 10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424명을 표본으로 추출과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 및 서비스 도움은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친다. 둘째, 청소년의 우울감과 부정적양육태도는 행복감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감이 부모의 부정적양육태도보다 더 강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청소년의 행복감 증진을 위해 긍정적인 영향요인을 부각시키고 부정적인 영향요인은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역아동센터에 적용할 수 있도록 대안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factors on the happiness of teenagers using local children centers. To this end, 424 people were sampled and hierarchical regression methods were used using data from the 10th year of the Korea Children's Center Panel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으로 긍정요인과 부정요인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 2기 패널 제4차(2017년) 데이터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며 조사당시 시점에 중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438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였으며 표본추출방법은 층화 다단계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 중 2004년도에 출생한 424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과 부정요인으로 분류하여 단계별로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최종 조사 분석에 사용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이용자 연령 중 본격적으로 자아정체감이 형성되며, 부모로부터 심리 정서적 독립을 준비하는 특성을 지니며, 또래문화에 영향을 많이 받으면서 자신과 외부요인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을 중심으로 이들이 내재한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와 관련해 ‘2018 아동종합실태’ 결과에 따르면 빈곤 가정 청소년과 비(非) 빈곤가정 청소년 간 행복지수 점수 격차가 큰 것으로 확인되어 빈곤가정 청소년들이 주로 이용하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대상자를 중심으로 청소년의 행복감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이용청소년을 대상으로 행복감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의 삶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행복감은 무엇인가? 청소년의 삶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행복감이란 삶의 만족과 삶을 대하는 긍정적 태도 등을 일상생활 가운데 느낄 수 있는 심리 정서적 안정, 내적 평안과 같은 긍정적 작용으로써 개인의 주관적 평가에 의해 정의되는 생활 만족 상태라고 할 수 있다[5,6]. 전언한 바와 같이 행복감이 낮은 청소년은 다양한 문제를 겪는 것으로 파악 된다.
청소년의 낮은 행복감에 대한 우리나라의 실태와 관련된 조사는 어떠한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8 아동종합실태’에 따르면 한국 청소년 행복지수는 과거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아졌으나 OECD 회원국 평균 7.6점보다 1점이나 낮아 최하위를 기록했으며, 청소년의 행복도는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낮았고, 한부모가정이나 조손가정이 양부모 가정보다 낮게 나타났다[1]. 이와 같은 청소년의 낮은 행복감은 자살생각, 일탈, 학교 부적응, 또래관계의 어려움 등을 내포하는 문제를 경험하게 함[2-4]으로 그 심각성이 크다.
2018 아동종합실태의 구체적인 결과 및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전언한 바와 같이 행복감이 낮은 청소년은 다양한 문제를 겪는 것으로 파악 된다. 이와 관련해 ‘2018 아동종합실태’ 결과에 따르면 빈곤 가정 청소년과 비(非) 빈곤가정 청소년 간 행복지수 점수 격차가 큰 것으로 확인되어 빈곤가정 청소년들이 주로 이용하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대상자를 중심으로 청소년의 행복감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이용청소년을 대상으로 행복감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Kismom. (2019.08.27.). Korea's Child and Youth Happiness Index, Still Ranked at the Bottom of the OECD. https://kizmom.hankyung.com/news/view.html?aid201908279867o. 

  2. S. R. Kwak. (2015). Determinants of Suicide Ideation and Happiness on Adolescent. Journal of the Korean Welfare Panel Academic Contest, 8, 53-70. 

  3. S. Y. Park & H. G. Lee. (2013). Determinants of Subjective Well-Being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1(2), 73-84. 

  4. Y. A. Jang, & Y. J. Lee. (2015). A Study of Adolescent's Happiness and Adolescent's Perception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Peer Relationships, Study Stres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Youth Facility and Environment, 13(4), 147-156. 

  5. H. C. Park, S. B. Kim & D. Hong. (2011). The Effects of Family Functions and Social Support on Happiness: Children's Perspective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6(3), 167-193. 

  6. L. D. Louise & P. Z. Nausheen. (2015). Happiness in the United Arab Emirates: Conceptualisations of Happiness among Emirati and other Arab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Happiness and Development, 2(1), 1-21. DOI : 10.1504/ijhd.2015.067590 

  7. E. T. CHO. (2019). Published as of the end of 2018 Statistical Survey of Local Children Centers. nationwide. http://www.ngonews.kr/112678. 

  8.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48849 

  9. J. G. Lim, H. S. Park & I. J. Chung. (2015). Functions and Roles of Community Child Center Recognized by Practitione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7(2), 285-310. DOI : 10.20970/kasw.2015.67.2.012 

  10. Y. H. Kim & O. R. Kang. (2019). A Study on the Factors of Personal, Family, School, and Community Child Center Affecting the Happiness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30(1), 191-204. DOI : 10.20972/kjee.30.1.201903.191 

  11. Y. J. Park & J. S. Lee. (2016). Study on the Relationship Regarding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Happiness with Self Esteem in Community Child Center.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20(1), 31-52. 

  12. S. H. Park. (2012). A Qualitative Study about the Endangerment of Child's Welfare in Rural Areas and the Necessity of Parent Education in Regional Care Centers. Andragogy Today, 15(1), 1-30. 

  13. K. A. Shim. (2010). (A) Study 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Therapy by the Survey of Subjective Well-Being about Children Community Child Center. Han-Yang University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14. E. J. Lee. (2019).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Utilizing Picture Books on the Happiness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 Dong-Guk University a Graduate School of Culture and Arts. 

  15. S. I. Jeon, J. H. Lee, K. C. Lee & Y. M. Choi. (1996). Differences in the Patterns of Parental Rearing between Depression and Depressive Conduct Disorder in Adolescenc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7(1), 34-43. 

  16. J. S. Hwang, J. Y. Hong & Y. J. Kwak. (2012).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Seoul: Book Publishing Knowledge Channel. 

  17. H. N. Lee. (2019). The effect of parent's neglect and abuse on child depress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service experience of Community Child Center. Sogang University a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18. S. J. Lee & J. H. Kim. (2019).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Media Addiction in Local Children's Center : Focused on Depression Mediated Effects. Journal of Welfare for The Correction, 60, 101-120. DOI : 10.35422/cwsk.2019.60.101 

  19. J. Y. Lee & S. Y. Jang. (2019). The Effect of Risk Factors on the Emotional Problems of Children in the Community Child Center.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23(1), 7-36. DOI : 10.22590/ecee.2019.23.1.7 

  20. J. H. Cha & S. I. Choi. (2017). Mediating Effects of Career Ident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Happiness of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8(6), 1045-1058. DOI : 10.22143/hss21.8.6.70 

  21. I. H. Ku. (2003). The Effect of Economic Loss and Income Levels on Adolescents' Educational Attainmen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3, 7-29. 

  22. W. L. Hoglund & B. J. Leadbeater. (2004). The Effect of Family, School, and Classroom Ecologies on Changes i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First Grade. Developmental Psychology, 40(4), 533-544. DOI : 10.1037/0012-1649.40.4.533 

  23. S. A. Erath, K. S. Flanagan & K. L. Bierman. (2008). Early Adolescent School Adjustment: Association with Friendship and Peer Victimization. Social Development, 17(4), 853-870. DOI : 10.1111/j.1467-9507.2008.00458.x 

  24. D. Olweus. (1978). Aggression in the Schools. Bullies and Whipping Boys. Washington, D. C.: Hemisphere(Wiley). 

  25. S. Austin & S. Joseph. (1996). Assessment of Bully/ Victim Problems in 8 to 11 Year Old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66(4), 447-456. DOI : 10.1111/j.2044-8279.1996.tb01211.x 

  26. C. J. Lee & K. J. Kwak. (2000). Self-Concept & Social Support According to Bullying Type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3(1), 65-80. 

  27. J. H. Mun & J. S. Kim. (2018). The Effect of School Adaptation and Parents-Child Activity on Children' Happiness of Community Child Center: The Mediating Effect Help of Center.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1, 9(1), 373-386. DOI : 10.22143/hss21.9.1.30 

  28. M. J. Seon & W. M. Jung. (2018). Effect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Services on Children's Happiness: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3(2), 263-282. DOI : 10.13049/kfwa.2018.23.2.6 

  29. S. D. Han. (2012) A Study on the Influence, Which has Affect on the Happiness, of Self Elasticity and the Social Support Felt by Children.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Culture Exchange, Cultural Exchange, 1(2), 111-134. 

  30. Y. M. Song & S. J. Lee. (2016). Practical Implications through the Relation of between Home-Environmental Health and Mental-Social Maturity of the Children Who Use a Community Children Center.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59, 65-97. DOI : 10.15300/jcw.2016.59.4.65 

  31. K. J. Kim, H. J. Kim, M. H. Lee & O. N. Kim. (2014). A Study on the Human Rights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https://www.nypi.re.kr. 

  32. I. K. Kong. (2008). Effects of Holland's Career Exploration Program on Career Maturity, Career Efficacy, Career Identity and Career Barriers of Underachievers.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33. M. Rosenberg.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 J.: Princeton University Press. 

  34. G. C. Armsden & M. T. Greenberg. (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5), 427-454. 

  35. B. H. Cho & K. H. Lim. (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Scale.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5(40), 729-746. 

  36. K. I. Kim, J. H. Kim & H. T. Won. (1984). Korean Manual of Symptom Checklist-90-Revision, Central Aptitude Publishing Department. 

  37. M. Y. Huh. (1999). The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Perceived by Adolescent. Department Psychology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38. H. L. Lee & Y. Y. Yi. (2018). A Study on Job Recognition of Local Child Care Center Workers by Position, After School Educate Association, 15(1), 1-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