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펄프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리그닌 추출물의 금속이온 분리를 위한 세라믹 분리막 개발
Development of Ceramic Membrane for Metal Ion Separation of Lignin Extract from Pulp Process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7 no.2, 2017년, pp.199 - 204  

신민창 (동국대학교 공과대학 화공생물공학과) ,  최영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청정연료연구실) ,  박정훈 (동국대학교 공과대학 화공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펄프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리그닌 추출물 내의 금속이온분리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alpha}$-Alumina 분말에 DMAc (N,N-dimethylacetamide) 용매와 PESf (Polyethersulfone) 고분자를 혼합하고 PVP (Polyvinylpyrrolidone) 분산제를 첨가하여 슬립 캐스팅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분리막은 CFP (Capillary Flow Porometer) 장치를 통해 기공크기를 측정하고 FE-SEM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장치를 이용하여 실제 분리막 표면과 단면을 관찰하였다. 플럭스는 분리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시간당 여과된 무게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기공크기측정은 0 psi에서 30 psi까지 서서히 증가하는 승압조건에서 진행하였다. 분리막의 기공크기는 $0.4{\mu}m$ 크기를 가지며 플럭스는 분리막의 파울링에 의해 초기 플럭스 값인 $6.36kg{\cdot}m^{-2}{\cdot}h^{-1}$에서 $1.98kg{\cdot}m^{-2}{\cdot}h^{-1}$으로 감소하여 3시간 이후부터 일정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투과 실험 후 막 오염물질은 간단한 세척을 통해 제거 가능하였다. 분리실험을 통해 초기 리그닌 추출물 내에 포함되어 있던 Na은 69%만큼 줄었고, Fe은 87%, K은 95%, Ca은 93%, Mg은 96%만큼 제거됨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separation of metal ions in lignin extract discharged from the pulp process. alumina powders were mixed with DMAc (N, N-dimethylacetamide) solvent and PESf (Polyethersulfone) polymer, PVP (polyvinylpyrrolidone) dispersant was added and slip casting me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리그닌 추출물에 포함된 40% 이상의 고형과 다량의 금속이온들은 펄프공정에서 재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펄프공정에 재이용될 수 있는 금속이온 및 고형물질과 하이브리드 석탄에 사용될 유기물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분리막을 사용하고자한다. 하지만 리그닌 추출물은 180°C 이상의 고온과 pH13 이상의 고염기성 조건에서 배출되기 때문에 고분자 분리막을 사용할 시에는 분리막이 변형되거나 손상되어 분리 성능이 떨어져 장기적인 이용에 한계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 변화 분리 공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현재 많이 쓰이는 기술은 가열하거나 냉각하여 상 변화에 의한 분리를 하거나 혹은 흡착물질을 혼합하여 특정물질을 흡착시켜 침전시키는 방법으로 분리한다. 하지만 상 변화 분리의 경우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고 분리 효율 또한 낮아 공정에서 요구되는 성능을 충족시킬 수 없으며, 흡착을 통한 침전의 경우 고체가 포함된 용액에서는 침전물과 고체의 분리가 어려워 부산물의 재활용에 어려움이 있다[1-4]. 근래에 들어서 분리막을 이용한 분리기술이 개발되고 발전되면서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분리막은 크게 어떻게 분류될 수 있는가? 막을 이용한 분리 기술은 목표대상의 상 변화 없이 기공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가 가능하며 친환경적이다. 분리막은 크게 두 종류로 유기막과 무기막이 있다. 유기막은 고분자를 막 형태로 만든 것으로 액체 분리에 높은 효율을 보이며 다양한 방법으로 손쉽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분야에서 사용된다.
유기막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유기막은 고분자를 막 형태로 만든 것으로 액체 분리에 높은 효율을 보이며 다양한 방법으로 손쉽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분야에서 사용된다. 하지만 고분자 특성상 열적, 화학적 안정성이 낮고 민감한 구조 변화 때문에 가혹한 조건에서 사용하기가 어려워 특정조건에서는 분리막 이용에 제약이 걸린다. 이러한 유기막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무기물질을 원료로 하여 만든 무기막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T. C. Merkel, H. Lin, X. Wei, and R. Baker, "Power plant post-combustion carbon dioxide capture: an opportunity for membranes", J. Membr. Sci., 359, 126 (2010). 

  2. M. T. M. Pendergast and E. M. V. Hoek, "A review of water treatment membrane nanotechnologies", Energy Environ. Sci., 4, 1946 (2011). 

  3. G. Ciardelli, L. Corsi, and M. Marcucci, "Membrane separation for wastewater reuse in the textile industry", Resour. Conserv. Recycl., 31, 189 (2001). 

  4. F. Fu and Q. Wang, "Removal of heavy metal ions from wastewaters: A review", J. Environ. Manag., 92, 407 (2011). 

  5. D. W. Lee, J. S. Bae, Y. J. Lee, S. J. Park, J. C. Hong, B. H. Lee, C. H. Jeon, and Y. C. Choi, "Two-in-One fuel combining sugar cane with low rank coal and its $CO_2$ reduction effects in pulverized- coal power plants", Environ. Sci. Technol., 47, 1704 (2013). 

  6. J. S. Bae, D. W. Lee, Y. J. Lee, S. J. Park, J. H. Park, J. C. Hong, J. G. Kim, S. P. Yoon, H. T. Kim, C. Han, and Y. C. Choi, "Improvement in coal content of coal-water slurry using hybrid coal impregnated with molasses", Powder Technol., 254, 72 (2014). 

  7. S. J. Park, D. W. Lee, Y. J. Lee, J. S. Bae, J. C. Hong, J. G. Kim, J. H. Park, J. H. Park, J. S. Shin, and Y. C. Choi, "Hybrid fuel preparation combining glycerol-derived hydrogel and coal and its characterization", Ind. Eng. Chem. Res., 52, 16206 (2013). 

  8. J. S. Bae, D. W. Lee, Y. J. Lee, S. J. Park, J. H. Park, J. G. Kim, C. Han, and Y. C. Choi, "An investigation of the evaporation behavior of bioliquid in the pores and its application to hybrid coal combining biomass with coal", Appl. Therm. Eng., 90, 199 (2015). 

  9. J. Wang, C. Li, K. Sakanishi, T. Nakazatob, H. Taob, T. Takanohashia, T. Takaradac, and I. Saito, "Investigation of remaining major and trace elements in clean coal generated by organic solvent extraction", Fuel, 84, 12 (2005). 

  10. J. W. Che, H. J. Lee, and J. H. Park,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lpha}$ -alumina hollow fiber membrane", Membr. J., 26, 212 (2016). 

  11. W. J. Koros, Y. H. Ma, and T. Shimidzu, "Terminology for membranes and membrane process", Pure Appl. Chem., 68, 1479 (1996). 

  12. I. S. Chang, P. L. Clech, B. Jefferson, and S. Judd, "Membrane fouling in membrane bioreactors for wastewater treatment", J. Environ. Eng., 128, 1018 (2002). 

  13. I. Chung,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anaerobic treatment of pulp & paper wastewater", Prospect. Ind. Chem., 7, 3 (2004).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