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핀을 포함하는 폴리설폰 멤브레인의 구조 및 열 특성
Structural and Thermal Properties of Polysulfone Membrane Including Graphene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8 no.1, 2018년, pp.37 - 44  

최현명 (동의대학교 IT융합부품소재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  최용진 (동의대학교 IT융합부품소재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  성충현 (동의대학교 IT융합부품소재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  오원태 (동의대학교 IT융합부품소재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ysulfone 수지를 사용한 그래핀 복합조성물을 제조하고, 이것들의 멤브레인에 대한 잔류응력과 열전도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래핀을 포함하는 polysulfone 멤브레인의 잔류응력분석은 Si (100) 기판에 스핀코팅으로 $10{\mu}m$ 두께의 막을 도포하여 준비한 시료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잔류응력의 측정은 온도를 승온하고 냉각하는 완전한 1주기 동안 수행하였다. 그래핀을 포함하는 polysulfone 평막을 증류수를 사용한 상전이법으로 제조하여 두께방향과 면방향으로 열전도도를 구분하여 각각 측정하였으며 평막시료의 열전도 이방성을 분석하였다. 그래핀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이를 포함하는 polysulfone 막의 잔류응력은 그래핀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로 완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열전도특성은 평막형성의 구조적 특성과 그래핀의 고유특성에 의해 두께방향과 면방향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ysulfone composites including graphene were prepared, and their thermal characteristics in membrane states were analyzed by using a custome-made residual stress analyzer and a thermal diffusivity analyzer based on laser flash method. The residual stress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polysulfo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분자수지 기반의 멤브레인의 산업적 수요가 확대되는 추세에서 고성능/기능성 멤브레인 제품의 기술수요가 높아지고 있고 그래핀의 선택적 분리특성을 접목한 폴리설폰 복합수지에 대한 열특성 연구는 기능성 분리막으로의 기초데이터로서 활용성을 기대할 수 있다[14-1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그래핀을 포함하는 폴리설폰 분리막소재의 열적 특성과 기공 구조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그래핀을 포함하지 않은 PSFGp-0 (Fig. 2(a))의 void pipe는 지름이 제일 작았다. 그래핀이 3 wt% 포함된 PSFGp-3은 이보다 약간 커졌음을 알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흑연(graphite)의 특성은? 흑연(graphite)은 높은 수평열전도도(~400 W/mK)와 박막형 가공의 용이성, 우수한 내열 및 내화학 특성을 갖고 있어, 흑연을 사용한 다양한 열전도 및 방열소재응용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활용하는 소재기술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10,11].
흑연이 고체윤활제로 활용성이 높은 이유는? 흑연은 잘 알려져있는 바와 같이 탄소-탄소결합의 육각형 평면단위체가 약한 Van der Waals 인력으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압력에 의한 시트형상의 가공 때 쉽게 슬립이 일어나게 되어 형상의 제어가 어렵지만 고체윤활제로 활용성이 높다[12]. 흑연을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초기부피의 100~300배 정도 팽창시키면 밀도는 매우 낮아지고 인접한 그래핀 층 사이의 낮은 결합력에 의해 나타나던 슬립현상이 현저히 줄어들어 성형가공이 가능해진다[13].
분리막용 수처리 장치의 장점은? 산업발전의 추세와 더불어 배출되는 오⋅폐수의 양도 함께 증가함에 따라 많은 양의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분리막용 수처리 장치는 다른 수처리 공법에 비하여 외부환경에 비교적 민감하지 않고 안정된 수질을 유지 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분리막 수처리 기술은 입상 활성탄과 부직포를 이용하는 장치보다 정밀한 여과제어가 가능하고 치수안정성과 내화학 특성이 우수하여 장시간 사용에도 성능저하가 낮아 1960년대부터 꾸준히 연구되고 상업화되어 왔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R. W. Baker, "Membran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second edition", p. 15-84, John Wiley & Sons (2004). 

  2. H. K. Lonsdale, "The growth of membrane technology", Membr. J., 10, 81 (1982). 

  3. D. R. Paul and L. M. Rubeson, "Polymer nanotechnology: Nanocomposites", Polymer, 49, 3187 (2008). 

  4. W. D. Callister, Jr.,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n Introduction", 7th edition, p. 2-13, John Wiley and Sons, Inc. (2007). 

  5. C. Guell, M. Ferrando, and F. Lopez, "Monitoring and visualizing membrane based processes-microscopy techniques for the characterization of membrane morphology", p. 34-54, John Wiley & Sons (2009). 

  6. Y. J. Choi and B. C. Kang, "Effect of Ether-typed alcohols on pore formation in preparing an asymmetrically porous polysulfone membrane", Membr. J., 20, 135 (2010). 

  7. S. R. Choi, S. J. Park, B. K. Seo, K. W. Lee, S. T. Nam, and M. J. Han, "Effect of propionic acid additive on preparation of phase inversion polysulfone membrane", Membr. J., 18, 317 (2008). 

  8. W. Zhou, D. Yu, C. Min, Y. Fu, and X. Guo, "Thermal, dielectric,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iC particles filled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composites", J. Appl. Polym. Sci., 112, 1695 (2009). 

  9. G. W. Lee, J. Kim, J. Yoon, J. S. Bae, B. C. Shin, I. S. Kim, W. Oh, and M. Ree,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carboxylat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Thin Solid Films, 516, 5781 (2008). 

  10. J. Liu, A. G. Rinzler, H. Dai, J. H. Hafner, R. K. Bradley, P. J. Boul, A. Lu, T. Iverson, K. Shelimov, C. B. Huffman, F. Rodriguez-Macias, Y.-S. Shon, T. R. Lee, D. T. Colbert, and R. E. Smalley, "Fullerene Pipes", Science, 280, 1253 (1998). 

  11. Y. K. Chen, M. L. H. Green, J. L. Griffin, J. Hammer, R. M. Lago, and S. C. Tsang, "Purification and opening of carbon nanotubes via bromination", Adv. Mater., 8, 1012 (1996). 

  12. W. Hummers and R. Offeman, "Preparation of graphitic oxide", J. Am. Chem. Soc., 80, 1339 (1958). 

  13. G. W. Lee and S. Kumar, "Dispersion of nitric acid-treated SWNTs in organic solvents and solvent mixtures", J. Phys. Chem. B., 109, 17128 (2005). 

  14. D. R. Paul, "Creating new types of carbon-based membranes", Science, 335, 413 (2012). 

  15. R. R. Nair, H. A. Wu, P. N. Jayaram, I. V. Grigorieva, and A. K. Geim, "Unimpeded permeation of water through helium-leak-tight graphene-based membranes", Science, 335, 442 (2012). 

  16. S. Karan, S. Samitsu, X. Peng, K. Kurashima, and I. Ichinose, "Ultrafast viscous permeation of organic solvents through diamond-like carbon nanosheets", Science, 335, 444 (2012). 

  17. S.-Y. Park, J.-S. Bae, J.-G. Kim, M.-W. Oh, J. Kim, D.-G. Nam, J. H. Yeum, and W. Oh, "Anisotropic thermal characteristics of graphene-embedded polyimide composite sheets", Polym. Polym Comp., 24, 315 (2016). 

  18. W. Oh, T. J. Shin, M. Ree, M. Y. Jin, and K. Char, "Residual stress evolution in dielectric thin films prepared from poly(methylsilsesquioxane) presursor", Macromol Chem. Phys., 203, 801 (2002). 

  19. R. Luo, T. Liu, J. Li, H. Zhang, Z. Chen, and G. Tian, "Thermophysical properties of carbon/carbon composites and physical mechanism of thermal expansion and thermal conductivity", Carbon, 42, 2887 (2004). 

  20. M. Koo, J.-S. Bae, S. E. Shim, D. Kim, D.-G. Nam, J. W. Lee, G. W. Lee, J. H. Yeum, and W. Oh, "Thermo-dependent characteristics of polyimide-graphene composites", Colloid Polym. Sci., 289, 1503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