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 거주시설 평면변경 안에 대한 유효성 검증에 관한 연구 - 심층인터뷰와 VAE기법을 통한 분석 -
Validation Studies on Plans of Refurbished Disabled Homes with VAE Analysis and Interview Investigation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8 no.2, 2017년, pp.13 - 21  

손동화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김경원 (조선대학대학교 건축학과) ,  최재필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well designed disabled home needs to consider various design principles and variables. It should consider not only physical accessibility but also psychological aspects. Previous research studies have shown that barrier-free/universal designs which were primarily focused on physical access and us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정서적 안정을 확보할 수 있는 장애인 거주시설 환경개선 계획방안이나 지침이 제시되고 있으나, 설계자의 주관에 의해계획된 개선안이 실제 이용자에게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의 실효성 검증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환경 개선을 의도로 한 소규모 장애인 거주시설의 평면 안에 대해 정량적, 정성적 방법을 통해 설계자의 의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한국 장애인개발원의 ‘복지디자인을 적용한 장애인 거주시설 모형 설계 연구’ 정책 13-7에서 제시된 기존 장애인 거주시설 평면과 이를 개선한 변경안 평면의 3개 예시도면을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이에 앞서 장애자 거주시설의 평면공간을 구성함에 있어 장애자와 케어러의 시각적 관계와 행동 및 선호특성이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VAE분석과 케어러 심층인터뷰를 통해 장애인 거주시설 모형설계의 공간구성이설계자의 의도대로 질적인 향상이 이루어졌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평면변경을 통한 설계자 의도는 장애인개발원의 “장애인시설 주거지침”에서 제시하고 있는 거주자 편의, 집과 유사한 공간구조, 거실의 시야확보, 사적영역 확보, 최소한의 동선의 5가지 기준을 중심으로 반영이 되었다. 본 연구에도 이러한 기준이 만족되어 있는지를 검증하고자한다(KDPDI, 2013). [Table 2]
  • 본 연구에서는 질적 향상을 위한 5가지 장애인 주거지침이 적용되었는지를 심층인터뷰와 VAE분석을 통해 검토하고자 한다. 거주자 편의와 최소한의 동선, 집과 유사한 공간구조는 심층인터뷰를 통해 도출하고, 집과 유사한 공간구조, 거실의 시야확보, 사적영역 확보에 해당하는 부분은VAE분석을 통해 개선여부를 파악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서는 한국 장애인개발원에서 제시한 예시도면과 같이, 일반인에게도 익숙한 아파트 평면과 같은 거실중심형 평면구조가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평면이 장애인시설에 적용을 하였을 경우에도 유효한지 시각적 접근도 분석을 통해 검증을 해보고자 한다.
  • 인터뷰와 VAE분석의 종합적 관점에서 변경안에 대한거주자 편의, 집과 유사한 공간구조, 거실의 시야확보, 사적영역 확보, 최소한의 동선 5가지 설계지침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거주자 편의성은 장애인과 케어러의 두 가지 관점 모두 만족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인복지시설이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이유는? 장애인 복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장애인복지시설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6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장애인 거주시설은 총 1,484개소로 31,222명이 이용하고 있으며, 단위시설 당 이용인원은 평균 21명 정도이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공용공간을 확보하여 유대감이나 가족같은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하는 계획을 선호하지 않는 경향이 많은 이유는? 중증장애인 시설의 경우에는 크게 인지기능이 높고 낮음에 따라 공간활용이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인지기능이 높은 그룹은 사생활이나 시각적 노출에 민감하며, 불편에 대한 욕구표현이 분명하다. 따라서 공용공간을 확보하여 유대감이나 가족같은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하는 계획을 선호하지 않는 경향이 많다.
2016년 기준 우리나라 장애인 거주시설은 몇 개소이며, 몇 명이 이용하고 있는가? 장애인 복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장애인복지시설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6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장애인 거주시설은 총 1,484개소로 31,222명이 이용하고 있으며, 단위시설 당 이용인원은 평균 21명 정도이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Table 1]과 같이 시설의 수는 증가하고 있는 반면, 시설당 평균 이용수는 2013년 2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ble News (2016.09.13.). Exhausted rehabilitator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2. Archea, J. (1977). The place of architectural factors in behavioral theories of privacy. Journal of Social Issues, 33, 116-137. 

  3. Archea, J. (1984). Visual access and exposure: An architectural basis for interpersonal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University Park, PA, U.S.A. 

  4. Baek, D. J. (2008). A study on housing preferences of career beginners: Based on questionnaire survey in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5. Benedikt, J. L. (1979). The automatic definition and generation of axial lines and axial maps. Environment and planning B, 6, 47-65. 

  6. Beveridge. W. (1942). Social insurance and allied services. Report by Sir William Beveridge. London: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7. Cho, Y. J.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patial analysis model based on human visual percep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8. Choi, J. P. (1987). Modernization and its impacts on the onternal organization of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Atlanta, U.S.A. 

  9.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HMSO). Chronically sick and disabled persons act 1970 

  10. Jeonmin Ilbo (2016.07.19.) Habitual assults on disabled people. 

  11. Kim, Y. D. (2007). Innovation in functions and structures of disabled home, Social Welfare Institute, Sungkonghui University, Seoul, Korea. 

  12. Kim, Y. D. (2013). The manual for the changes in services of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Social Welfare Institute, Seoul, Korea. 

  13.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ement Institute (KDPDI) (2013). A study on the model design of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with welfare design, a report of KDPDI. 

  14. Kugel, R. & Wolfensberger, W. (1969). Changing patterns in residential services for the mentally retarded. Washington, DC: President's committee on mental retardation. 

  15. Lee, J. S., & Lee, K. S. (2015).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design and evacuation management guidelines based on evacuation behaviors in residen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7(2). 

  16. Lee, K. W. (2001). Interpretation of crime-prone locations through spatial analysis theory: burglary case studies in apartment complex.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8). Disabled facility standard.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Disabled facility list, Current Status of Disabled Home. 

  19. Nirje, B. (1969). The normalization principle and its human management implications. The International Social Rome Valorizatio Journal, 1(2). 

  20. Nirje, B. (1970). The normalization principle: Implications and comments. Symposium on normalization. Midland Society for the Study of Abnormality, 16, 62-70. 

  21. Nomura, M. (2009). Barrier-free architecture, Urban Planning. Seoul: Konkuk University Press. 

  22. Park, N. H., & Kim, J. Y. (2004). The evalu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al qualities in bundang resident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5(6), 27-35. 

  23. Roberta, L. N. (1988). Universal design. CA, U.S.A.: Professional Publications Inc. 

  24. Seo. H. S. (2011). Analysis on the trends in previsous studies related to disabilitie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7(7). 

  25. Seoul City (2016). Deinstitutionalization planning of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26. Sommer, R. (1969). Personal space: The behavioral basis of design. engwood cliffs, NJ: Prentice-Hall. 

  27. Son, G. H. (2004). Theory of welfare for the disabled. Seoul: Hyunhaksa. 

  28. Walker, T. (1976). Perception and environmental design. MESA, AZ, U.S.A.: PDA Publisher. 

  29. Welfare of disabled persons act (2016.6.30.). Enforcement regul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