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살오징어(Todaroes pacificus) 겨울발생군의 이동패턴 및 직접적 황해 유입 가능성
Transport Process and Directly Entrainment Possibility into the Yellow Sea of Todarodes Pacificus Winter Cohort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0 no.2, 2017년, pp.183 - 194  

송지영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이준수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김중진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 자원과) ,  이호진 (한국해양대학교 해양생명환경학과) ,  박명희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한인성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atch of Todarodes pacificus in the Yellow Sea is commonly known as the winter cohort. So, to understand the transport process of winter cohort of T. pacificus, and to identify whether the simulated individuals which are transported directly into the Yellow Sea (YS) influence these resources im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황해에서 어획량 패턴이 크게 나타나는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흐름의 영향을 크게 받는 초기 생활사 단계(알과 유생)의 이동 패턴을 파악하고 산란장 추정 및 가입 기작을 이해할 수 있는 물리학적 검토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가 필수적이지만 관련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실적인 수온변동을 고려한 겨울 발생군의 이동 패턴과 황해로의 직접적 유입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겨울 발생군(12월, 1월, 2월, 3월)은 대부분이 쿠로시오 해류를 따라 북서태평양으로 나갔고, 33%정도는 대한 해협을 통과해 동해로 나가는 패턴을 보였다.
  • 이것은 유생 시기에 이류 확산에 의한 이동 뿐만 아니라 스스로의 연직 이동 능력이 이동 패턴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동적 요소인 개체발생 시기별 연직 이동속도와 선호 수심을 고려하였다. 부화 시 유생은 0-25 m 를 선호하고, 1-3 mm ML (Mental length, 동)장 유생은 수심 25-50 m에서 발견되며, 3 mm ML 이상은 수심 25-75 m에 분포한다(Yamamoto et al.
  •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대만 북동쪽에서 산란된 유생이 직접적으로 황해에 유입될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황해에 직접 유입된 유생들의 초기 방출 지역을 역추정하였다. 흐름에 의해 황해로 직접유입이 가능한 위치는 쿠로시오 지류의 영향을 받는 제주도 아래 30-33°N 부근으로 나타났고, 대만 북동쪽에서 방출된 유생의 황해 유입은 나타나지 않음에 따라 Rosa et al.
  • 그러나 물리적 요인에 의한 살오징어 알과 유생의 황해로의 유입 과정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살오징어 겨울 발생군의 수송 과정과 황해로의 유입 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3차원 해수 순환 모델인 ROMS (Regional Ocean Modeling System)를 이용하여 북서태평양의 해양 순환을 재현하였다. 또한 LTRANS (Lagrangian TRANSport model) 입자 추적 모델을 이용하여 수송 과정을 모의하여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실험 과정에는 여러 가정이 포함되어있다. 실제 산란장은 패치 형태로 존재하고, 대기 환경에 따른 수괴의 안전성 여부가 산란장 형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본 실험에서는 수평, 연직적으로 난괴가 등간격으로 분포한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초기 유생 단계에서 치사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수온만 고려하여 다른 생태 환경 요인들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지 못하였고, 유생 단계별 수평, 연직 이동을 4단계로 단순화하여 고려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살오징어는 어디에 분포하는가?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는 북서태평양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어종이며, 우리나라와 일본의 중요한 수산자원이다. 또한 광온성 생물로 서식수온은 4-27℃로 알려져 있으며, 주서식 수층은 표층으로부터 약 200 m 정도이다. 수명은 약 1년이고 산란 후 사망한다(Roper et al.
황해에서의 살오징어 어획 량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황해에서 어획되는 살오징어는 통상적으로 겨울 발생군이 우세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겨울 발생군은 황해로 유입되는 계군 중 가장 넓은 지역을 회유한다. 황해에서의 살오징어 어획 량은 1987년에 높은 어획량을 나타냈고, 약 20년 후인 2006년에 가장 높은 어획량을 보인 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황해 에서 어획량 패턴이 크게 나타나는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흐름의 영향을 크게 받는 초기 생활사 단계(알과 유생)의 이동 패턴을 파악하고 산란장 추정 및 가입 기작을 이해할 수 있는 물리학적 검토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가 필수적이지만 관련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산오징어의 산란이 집중되는 계절 중에서 특히 어느 계절이 가장 많은가? 연중 산란하는 것으로 알려진 살오 징어는 산란이 집중되는 계절에 따라 여름(5-8월), 가을(9-12월), 겨울(1-4월) 발생군으로 나뉜다(Murata, 1989; Kim and Kang, 1995). 그러나 어획된 살오징어의 대부분이 가을 발생 군과 겨울 발생군으로 구성되며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겨울 발생군의 자원량이 가장 많다(Araya, 1967; Kasahara, 1978; Okutani, 1983; Murata, 1989). 가을 발생군의 산란 장은 동해의 일본 연안과 우리나라 연안에서 큐슈 남쪽까지이며, 9월에서 12월 사이에 산란한 유생들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raya H. 1967. Resources of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in the Japanese waters. Fish Res Series 16, 60. http://dx.doi.org/10.7850/jkso.2012.12.4.292. 

  2. Choi KH and Kwon DH. 2011. Biological properties of common squid in the Yellow Sea of Korea. J Korean Soc Mar Environ Saf 17, 367-373. http://dx.doi.org/10.7837/kosomes.2011.17.4.3673. 

  3. Fairall CW, Bradley DF, Rogers DP, Edson JB and Young GS. 1996. Bulk parameterization of air-sea fluxes for Tropal Ocean-Global Atmosphere Coupled-Ocean Atmosphere Response Experiment. J Geophys Res 101, 3747-3767. http://dx.doi.org/10.1029/95JC03205. 

  4. Fujii H. 2004. Simulation of transport of common squid in the Japan Sea. Umi Sora 80, 9-16. 

  5. Fukudome KI, Yoon JH, Ostrovskii A, Takikawa T and Han IS. 2010 Seasonal volume transport variation in the Tsushima Warm Current through the Tsushima Straits from 10 years of ADCP observations. J Oceanography 66, 539-551. http://dx.doi.org/10.1007/s10872-010-0045-5. 

  6. Hamabe M. 1965. Embryological and Ecological studies on the Common squid, Ommastrephes sloani pacificus Steenstrup, in the Japan Sea . Ph. D. Thesis. University of Kyoto, Kyoto, Japan. 

  7. Hatanake H, Lange AMT and Amaratunga T. 1985. Geographical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short-finned squid (Illex illecebrosus) larvae in the Northwest Atlantic. NAPO Sci Council Studies 9, 93-99. 

  8. Lie HJ, Cho CH and Lee S. 2009. Tongue-shaped frontal structure and warm water intrusion in the southern Yellow Sea in winter. J Geophys Res 114, C01003. http://dx.doi.org/10.1029/2007JC004683. 

  9. Kasahara S. 1978. Descriptions of offshore Squid Angling in the Sea of Japa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Distribution of Common Squid and on the Techniques or Forecasting Fishing Conditions. Bull Fish Res Lab 29, 179-199. 

  10. Kim BA, Jo YJ, Kim JP, Lim KB, Kim BK and Jong SH. 1984. Oceanographic conditions and fishing grounds of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in the Yellow Sea off Korea. Bull Fish Res Dev Agen 33, 21-33. 

  11. Kim JJ, Lee HH, Kim SA and Park C. 2011. Distribution of larvae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Korean J Fish Aquat Sci 44, 267-275. http://dx.doi.org/10.5657/KFAS.2011.0267. 

  12. Kim JJ, Stockhauses W, Kim S, Cho YK, Seo GH and Lee JS. Understanding interannual variability in the distribution of, and transport processes affecting, the early life stages of Todarodes pacificus using behavioral-hydrodynamic modeling approaches. Prog Oceanogr 138, 571-583. http://dx.doi.org/10.1016/j.pocean.2015.04.003. 

  13. Kim YH and Kang YJ. 1995. Population analysis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in Korean waters 1. Korean J Fish Aquat Sci 28, 163-173. 

  14. Miyanaga S. 2006.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Swimming Activity of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Paralarvae. MS.D. Thesis, University of HakkaidoHokkaido Univ, Kakodate, Japan. 

  15. Mori K. 2006. Studies on Early Life Ecology and Population Dynamics of the Winter-Spawning Stock of the Japanese Common Squid. Ph.D. Thesis, University of HakkaidoHokkaido Univ, Kakodate, Japan. 

  16. Murata M. 1989. Population assessment, management and fishery forecasting for the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Marine invertebrate fisheries: their assessment and management, 613-616. 

  17. North EW, Hood RR, Chao SY and Sanford LP. 2006a. Using a random displacement model to simulate turbulent particle motion in a baroclinic frontal zone: a new implementation scheme and model performance tests. J Mar Systems 60, 365-380. http://dx.doi.org/10.1016/j.pocean.2015.04.003. 

  18. O'Dor RK, Foy EA, Helm Pl and Balch N. 1986. The locomotion and energetic of hatchling squid, Illex illexebrosus. Amer malac bull 4, 55-60. 

  19. Okutani T. 1983. Todarodes pacificus. In: Cephalopod Life Cycles 1, 201-216. 

  20. Rosa AL, Yamamoto J and Sakurai Y. 2011. Effects of environmental variability on the spawning areas, catch, and recruitment of the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Cephalopoda: Ommastrephidae). ICES J Mar Sci 68, 1114-1121. https://doi.org/10.1093/icesjms/fsr037. 

  21. Roper CFE, Young RE and Voss GL. 1969. Anillustrated key to the families of the order Teuthoidae (Cephalopoda). Smithson Contrib Zool 13, 1-32. 

  22. Sakurai Y. 2006. How climate change might impact squid populations and ecosystems: a case study of the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GLOBEC, 33-34. 

  23. Voss GL. 1977. Present status and new trends in cepholopod systematics. Sym Zool Soc London 38, 49-60. 

  24. Yamamodo J, Shimura T, Uji R, Masuda S Watanabe S and Sakurai Y. 2007. Vertical distribution of Todarodes pacificus (Cephalopoda: Ommastrephidae) paralarvae near the Oki Island, southwestern Sea of Japan. Mar Biol 153, 7-13. http://dx.doi.org/10.1007/s00227-007-077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