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5년 하계 및 추계 동해 남서해역에서 출현하는 살오징어 (Todarodes pacificus) 유생의 분포 양상
Distribution of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Larvae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 Sea in Summer and Autumn, 2015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5 no.2, 2019년, pp.220 - 228  

김윤하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  신동훈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해 남서해역에서의 살오징어 유생 출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5년 8, 9, 11월 여수 근해부터 평해 연안까지 총 35개 정점에서 IKMT 네트(망목 : $500{\mu}m$)를 사용하였으며, 초기 생활단계의 주요 해양환경 인자인 수온은 CTD(SBE9plus)로 관측하였다. 유생의 월별 외투장 자료의 통계처리를 위하여 SPSS software(ver. 12.0)를 이용하였다. 채집된 살오징어 유생의 개체수는 총 228개체로 외투장 범위는 1.4 - 21.9 mm였다. 유생밀도 범위는 8월에 $0.2-5.2inds./1,000m^3$, 9월에 $0.1-3.2inds./1,000m^3$, 11월에 $0.3-7.9inds./1,000m^3$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유생은 연안측 정점보다 조사해역의 동남부인 부산 근해에서 더 높은 밀도를 보였다. 8, 9, 11월의 유생출현률은 각각 64.3 %, 62.9 %, 68.6 %였다. 평균외투장 범위는 5.24 - 5.68 mm였으며, 월별 평균외투장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 > 0.05). 또한 외투장 분포에서 4 - 5 mm 구간의 유생이 최다 출현빈도를 보였다. 유생이 채집된 정점에서 유생의 생존이 가능한 수온대가 8월에는 대부분의 정점에서 표층부터 약 20 m 부근까지 유생이 서식하기에 부적합한 수온대가 존재하였던 반면, 9월과 11월에는 표층부터 유생이 서식하기 적합한 수온대가 형성되었다. 또한 얕은 수심의 연안쪽 정점에서는 표층에서 저층까지 적수온대가 형성되었으며, 100 m 이상의 깊은 수심의 외양쪽 정점에서는 표층부터 수온약층의 상층부까지 유생의 생존가능한 수온대가 형성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termine the horizont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common squid larvae, Todarodes pacificus (hereafter T. pacificus), we conducted surveys using an IKMT net (mesh size: $500{\mu}m$) with a Fisheries Research Vessel (FRV, TAMGU 21)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 Sea in summ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처럼 동해 남서해역은 살오징어의 북상 및 남하회유와 같이 살오징어 생활사적으로 중요한 해역임에도 불구하고 이와 연관된 연구는 적으며, 이조차 연구영역은 경상북도 연해에 그쳐 살오징어의 생활사 초기단계의 생태를 밝히는 데에는 부족함이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보다 더 확장된 범위의 연구영역인 동해 남서해역에 대하여 2015년 하계와 추계에 채집된 살오징어 유생의 출현양상을 파악하여 해양환경과의 연관성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살오징어가 속하는 범주는? 살오징어, Todarodes pacificus는 오징어목(Teuthoidea) - 살오 징어과(Family Ommastrephidae)에 속하며, 회유성 단년생 두족 류로 분포범위는 한국 및 일본 주변해역을 포함한 북서태평양 전역이다(Roper et al., 1984; Okutani, 1983; Shevtsov et al.
살오징어의 분포 범위는? 살오징어, Todarodes pacificus는 오징어목(Teuthoidea) - 살오 징어과(Family Ommastrephidae)에 속하며, 회유성 단년생 두족 류로 분포범위는 한국 및 일본 주변해역을 포함한 북서태평양 전역이다(Roper et al., 1984; Okutani, 1983; Shevtsov et al.
살오징어의 산란이 이루어지는 곳은? 하계, 추계, 동계의 3개 계절 산란계군으로 구분하며 (Hamabe and Shimizu, 1966), 생체량은 추계군과 동계군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란은 북서태평양의 수심 100 - 500 m 대륙붕 및 대륙사면에 위치한 15 - 24℃ 수온대에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조건에 부합되는 산란장은 대체로 대만 북부 부터 큐슈 서방에 위치해있다(Roper et al., 1984; Sakurai, 2006; Sakura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10.1007/s002270050606 Bower, J. R. , Y. Nakamura, K. Mori, J. Yamamoto, Y. Isoda and Y. Sakurai(1999), Distribution of Todarodes pacificus (Cephalopoda: Ommastrephidae) paralarvae near the Kuroshio off southern Kyushu, Japan, Mar. Biol., Vol. 135, pp. 99-106. 

  2. Goto, T. (2002), Paralarval distribution of the ommastrephid squid Todarodes pacificus during fall in the southern Sea of Japan, and its implication for locating spawning grounds, Bull. Mar. Sci., Vol. 71, No. 1, pp. 299-312. 

  3. Hamabe, M. and T. Shimizu(1966), Ecological studies on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mainly in the southwestern waters of the Japan Sea, Bull. Japan Sea Natl. Fish. Res. Inst., Vol. 16, pp. 13-55. 

  4. Hatanaka, H. , S. Kawahara, Y. Uozumi and S. Kasahara(1985), Comparison of life cycles of five ommastrephid squids fished by Japan: Todarodes pacificus , Illex Illecebrosus , Illex argentinus , Nototodarus sloani sloani and Nototodarus sloani gouldi . NAFO Sci. Coun. Studies., Vol. 9, pp. 59-68. 

  5. 10.1093/icesjms/fsq043 Kidokoro, H. , T. Goto, T. Nagasawa, H. Nishida, T. Akamine and Y. Sakurai(2010), Impact of a climate regime shift on the migration of Japanese common squid ( Todarodes pacificus ) in the Sea of Japan, ICES J. Mar. Sci., Vol. 67, pp. 1314-1322. 

  6. Kim, J. J. (2008), Summer occurrence and transport process of common squid ( Todarodes pacificus ) paralarvae in the East China Sea. M.D. Thesis, Pukyung Nat. Univ., Busan, pp. 1-50. 

  7. 10.5657/KFAS.2014.0059 Kim, J. J. , C. H. Kim, J. S. Lee and S. A. Kim(2014a), Seasonal Characteristics of Todarodes pacificus paralarval distribution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Kor. J. Fish. Aquat. Sci., Vol. 47, No. 1, pp. 59-61. 

  8. Kim, J. J. , H. H. Lee, S. A. Kim and C. Park(2011), Distribution of larvae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Kor. J. Fish. Aquat. Sci., Vol. 44, No. 3, pp. 267-275. 

  9. Kim, Y. H. (2015), The population ecology of the common squid ( Todarodes pacificus ) in the northwest Pacific Marginal Seas, Ph.D. Thesis, Pukyung Nat. Univ., Busan, pp. 1-130. 

  10. 10.7850/jkso.2014.19.3.215 Kim, Y. H. , C. H. Moon and C. I. Lee(2014b), Distribution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Paralarvae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in the East Sea in August and September 2013, J. Kor. Soc. Oceanogr., Vol. 19, pp. 215-222. 

  11. Kim, Y. H. , C. H. Moon, K. H. Choi and C. I. Lee(2010), Relationship between Squid ( Todarodes pacificus ) catch by sea block and marine envronment in the East Sea, J. Kor. Soc. Mar. Env. Safety, Vol. 16, pp. 259-268. 

  12. 10.7837/kosomes.2016.22.1.011 Kim, Y. H. and C. I. Lee(2016), Distribution of water temperature and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Paralavae around Korean Waters in 2013, 2014, J. Kor. Soc. Mar. Env. Safety, Vol. 22, No. 1, pp. 11-19. 

  13. 10.7837/kosomes.2017.23.7.902 Kim, Y. H. , D. H. Shin, J. H. Lee, D. H. Kwon, S. K Kang, K. S. Hwang and H. K. Cha(2017a), Distribution of the Firefly Squid, Watasenia scintillans Larvae in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during Summer and Autumn, J. Kor. Soc. Mar. Env. Safety, Vol. 23, No. 7, pp. 902-908. 

  14. Kim, Y. H. and H. S. Min(2008),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bility of the North Korean Cold Current in the East Sea reanalysis data, Ocean and Polar Research, Vol. 30, pp. 21-31. 

  15. 10.5322/JESI.2017.26.2.173 Kim, Y. H. , K. H. Choi and C. I. Lee(2017b), Migr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Common Squid ( Todarodes pacificus ) in Korean Waters, J. Env. Sci. Int., Vol. 26, No. 2, pp. 173-181. 

  16. Murata, M. (1990), Ocean resources of squids, Mar. Behav. Physiol., Vol. 18, No. 1, pp. 19-71. 

  17. Okutani, T. (1983), Todarodes pacificus . Cephalopod life cycles, Boyle PR, ed. Academic Press, London, Vol. 1, pp. 201-214. 

  18. Roper, C. F. , M. J. Sweeny and C. E. Nauen(1984), Family Ommastrephidae. FAO species catalogue Vol. 3, FAO Fisheries Synopsis, p. 227. 

  19. Sakurai, Y. (2006), How climate change might impact squid populations and ecosystems: a case study of the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 Globec. Rep., Vol. 24, pp. 33-34. 

  20. 10.1006/jmsc.2000.0667 Sakurai, Y. , H. Kiyofuji, S. Saitoh, T. Goto and Y. Hiyama(2000), Changes in inferred spawning areas of Todarodes pacificus (Cephalopoda: Ommastrephidae) due to chang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CES J. Mar. Sci., Vol. 57, pp. 24-30. 

  21. Sakurai, Y. , J. R. Bower, Y. Nakamura, S. Yamamoto and K. Watanabe(1996), Effects of temperature on development and survival of Todarodes pacificus embryos and paralarvae, Ame. Malacol. Bull., Vol. 13, pp. 89-95. 

  22. Shevtsov, G. A. , M. A. Zuev, O. N. Katugin and N. M. Mokrin(2005), Distribution and biology of the Japanese common squid ( Todarodes pacificus ) in the Pacific Ocean off the Kuril Islands and eastern Kamchatka in summer. Ruthenica 15(2), pp. 99-108. 

  23. Shimura, T. , J. Yamamoto, Y. Kamei and Y. Sakurai(2005), Possible spawning by the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at Yamato Rise, Sea of Japan, Phuket Mar. Biol. Cen. Res. Bull., Vol. 66, pp. 267-273. 

  24. 10.5479/si.00810282.513 Sweeney, M. J. , C. F. E. Roper, K. M. Mangold, M. R. Clark and S. V. Boletzky(1992), "Larval" and juvenile cephalopods: A manual for their identification. Smithsonian Contributions to Zoology,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USA, pp. 109-110. 

  25. Yamamoto, J. , S. Masuda, K. Miyashita, R. Uji and Y. Sakurai(2002), Investigation of the early stage of the ommastrephid Todarodes pacificus near the Oki Islands (Sea of Japan), Bull. Mar. Sci., Vol. 71, No. 2, pp. 987-992. 

  26. 10.1007/s00227-007-0775-0 Yamamoto, J. , T. Shimura, R. Uji, S. Masuda, S. Watanabe and Y. Sakurai(2007), Vertical distribution of Todarodes pacificus (Cephalopoda: Ommastrephidae) Paralarvae near the Oki Islands, southwestern Sea of Japan, Mar. Biol., Vol. 153, pp. 7-13.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