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잠재계층분석(LCA)을 이용한 청소년-또래 비행의 유형과 특성
Typologies and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Peer Delinquency using Latent Class Analysi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아동학회지, v.38 no.2, 2017년, pp.165 - 176  

박지수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김하영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유진경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한윤선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Delinquent peers are important predictors of adolescent delinquent behavior. Few studies have classified individuals into groups based on patterns of delinquent behavior among youth and their peers. This study identified latent groups based on adolescent-peer delinquency and examined psy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비행행위자 및 비행유형에 따른 심리사회적 문제를 비교하기 위해 잠재집단별 내재화, 외현화, 학교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러나 청소년들이 비행으로 인해 심리사회적 부적응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 학교 적응이 비행행동을 예측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연구 목적에 따른 방향성을 정립하는 것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한국아동 · 청소년패널조사의 중학교 1학년 2차년도 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므로 해당 연구의 결과를 전체 연령의 청소년에게 일반화하기에는 어렵다는 제약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또래의 비행만을 보고한 또래·전체비행 고위험군 집단을 잠재적 위험군으로 파악하였다.
  • 추후 연구에서는 하위변인들을 포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사용하여 각각의 구성개념을 보다 정확히 측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성별의 차이보다 청소년 비행과 또래 비행 그리고 지위, 폭력, 재산 비행이 어떤 양상의 잠재적 집단으로 나뉘는지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하지만 상호 · 폭력비행군(t[1899, 121] = -5.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비행과 또래 비행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첫째, 청소년-또래 비행 잠재계층분석을 시행하였다. 잠재계층분석(LCA)은 관측자중심분석으로 청소년 비행과 또래 비행의 유형에 따라 잠재적으로 형성되는 집단을 탐색하는데 용이하다(H.
  • 따라서 본 연구는 변인 중심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관측자중심접근법(person centered) 중 하나인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 [LCA])을 적용하였다. 응답자들의 문항 반응 패턴을 파악하고 서로 다른 집단을 귀납적으로 도출해냄으로써, 비행행위자 및 비행유형에 따른 청소년 비행의 잠재적 유형을 파악하고자 한다.
  • 또한 청소년 비행을 연구함에 있어 변인 간의 관계성을 일차원적으로 검증하는 변인중심분석은 다양화되고 있는 청소년 비행을 유형화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관측자중심분석을 통해 청소년 비행의 고유한 집단을 다차원적으로 도출해냄으로써 변인중심분석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청소년 비행을 보다 포괄적이고 다각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 청소년 비행으로 인해 발생하는 개인적 비용과 사회적 비용을 고려했을 때 비행에 대한 예방적 개입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비행이 발생하기 전 예방적 개입이 이루어지도록 잠재적 위험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이를 통해 비행 이후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 절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청소년패널조사 중학생 1학년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비행행위자와 비행유형에 따라 어떻게 집단이 형성되는지, 각 집단은 어떠한 심리사회적 특성(내재화, 외현화, 학교적응)을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청소년패널조사 중학생 1학년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비행행위자와 비행유형에 따라 어떻게 집단이 형성되는지, 각 집단은 어떠한 심리사회적 특성(내재화, 외현화, 학교적응)을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청소년 비행의 잠재적 집단 도출을 통해 위험군 파악 및 개입 방안 마련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 비행의 특징은 무엇인가? 청소년 비행은 성인과 달리 또래 집단의 영향에 더욱 민감하고 지위비행이라는 범주를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청소년 비행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면서, 정부는 학교전담경찰관 배치, 학교폭력 근절 종합 대책, 유해환경 규제 등 관련 정책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였다.
학교전담경찰관 배치, 학교폭력 근절 종합 대책, 유해환경 규제 등 관련 정책 도입 이후 청소년 비행의 추세는 어떻게 변화했는가? 이러한 청소년 비행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면서, 정부는 학교전담경찰관 배치, 학교폭력 근절 종합 대책, 유해환경 규제 등 관련 정책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였다. 이로 인해 청소년 비행은 양적인 감소를 보이고 있지만, 비행행위자의 저연령화, 소년범죄의 상습화, 학교폭력 수준의 심각화와 같은 문제가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MOGEF], 2016). 특히 복합적이고 장기적인 비행행동은 내재화, 외현화, 학교적응 등 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문제와 직결되어 추후 범죄로까지 이어질 수 있어 예방적 차원에서 청소년 문제에 대한 사회의 관심이 요구된다.
청소년 비행을 방지하기 위해 정부가 도입한 것은 무엇인가? 청소년 비행은 성인과 달리 또래 집단의 영향에 더욱 민감하고 지위비행이라는 범주를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청소년 비행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면서, 정부는 학교전담경찰관 배치, 학교폭력 근절 종합 대책, 유해환경 규제 등 관련 정책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였다. 이로 인해 청소년 비행은 양적인 감소를 보이고 있지만, 비행행위자의 저연령화, 소년범죄의 상습화, 학교폭력 수준의 심각화와 같은 문제가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MOGEF],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kaike, H. (1974). A new look at the statistical model identification. IEEE Transactions on Automatic Control, 19(6), 716-723. doi:10.1109/TAC.1974.1100705 

  2. Gottfredson, M. R., & Hirschi, T. (1990). A general theory of crime.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3. Kandel, D. B. (1978). Homophily, selection, and socialization in adolescent friendship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4(2), 427-436. Retrieved from http://www.jstor.org/stable/2777857 

  4. Lo, Y., Mendell, N. R., & Rubin, D. B. (2001). Testing the number of components in a normal mixture. Biometrika, 88(3), 767-778. Retrieved from http://www.jstor.org/stable/2673445 

  5. Magidson, J., & Vermunt, J. (2002). Latent class models for clustering: A comparison with K-means. Canadia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0(1), 37-44. Retrieved from 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54817517 

  6. McLachlan, G. J., & Peel, D. (2000). Finite mixture models. New York: John Wiley & Sons. doi:10.1002/0471721182 

  7. Moffitt, T. E. (1993). Adolescence-limited and life-coursepersistent antisocial behavior: A developmental taxonomy. Psychological Review, 100(4), 674-701. doi:10.1037/0033295X.100.4.674 

  8. Mplus (Version 7.4) [Computer software]. Los Angeles, CA: Muthen & Muthen. 

  9. Nylund, K. L., Asparouhov, T., & Muthen, B. O. (2007). Deciding on the number of classes in latent class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14(4), 535-569. doi:10.1080/10705510701575396 

  10. Park, I. S. (2016). A longitudinal test of self-control and peer influence on juvenile delinquency. Korean Academy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25, 198-227. Retrieved from http://scholar.dkyobobook.co.kr 

  11. Ramaswamy, V., DeSarbo, W. S., Reibstein, D. J., & Robinson, W. T. (1993). An empirical pooling approach for estimating marketing mix elasticities with PIMS data. Marketing Science, 12(1), 103-124. doi:10.1287/mksc.12.1.103 

  12. Schwarz, G. (1978). Estimating dimensions of a model. The Annals of Statistics, 6(2), 461-464. Retrieved form http://projecteuclid.org/euclid.aos/1176344136 

  13. Stata Statistical Software (Version 14) [Computer software]. College Station, TX: StataCorp. Retrieved from http://www.stata.com 

  14. Vitaro, F., Brendgen, M., & Wanner, B. (2005). Patterns of affiliation with delinquent friends during late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Correlates and consequences. Social Development, 14(1), 82-108. doi:10.1111/j.1467-9507.2005.00292.x 

  15. Cho, C. B. (2010). A study on the effect of family violence and parent-child interaction on adolescents' violence delinquency and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et game addiction.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2(1), 93-121. Retrieved from http://kiss.kstudy.com/ 

  16. Chung, I.-J., & Lee, E.-J. (2010). Longitudinal dynamic relationships of delinquent peers and delinquency trajectori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1(1), 119-144. Retrieved from http://kiss.kstudy.com/ 

  17. Institute of Justice. (2016). 2015 white paper on crime (IOJ Publication No. 11-1270070-000010-10). Retrieved from http://www.ioj.go.kr 

  18. Jeong, S. M. (2016). A study on relations of aggression, violence delinquency and social factors. Korean Criminal Psychology Review, 12(2), 1-24.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102116468 

  19. Jin, H.-M., & Bae, S.-W. (2012). A meta-analysis on the variables related with juvenile delinquency.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4(2), 193-221.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60130311 

  20. Jo, B. H., & Im, G. H. (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scal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5(4), 729-746. Retrieved from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369432 

  21. Kim, G., Kim, J., & Won, H. (1984). Korean manual of symptom checklist-90-revision. Retrieved from http://cyber-test.co.kr 

  22. Kim, H.-S., & Kim, H.-S. (1997).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family environment and character trait among delinquent adolescen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8(1), 57-69.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19555456 

  23. Kim, Y. H., Cho, A. M., Lee, S. H., & Byun, H. J. (2013). Decreasing age of youth problem behavior and policy tasks (Report No. 13-R07). Retrieved from http://www.nypi.re.kr 

  24. Lim, H. J. (2013). A longitudinal analysis of adolesc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profiles and their relationship to academic achievement and motivat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2), 237-266. Retrieved from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662027 

  25. Lim, M. R., Kim, J. H., Kim, M. H., Lee, H., & Jung, A. (2015). Latent class analysis of delinquent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2(7). 421-443. Retrieved from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662478 

  26. Min, B. S. (1991). Effects of school adjustment and sself-concept on school academic achiev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27. Ministry of Education. (2014). Results from the first student survey on school violence [Press Release]. Retrieved from http://www.moe.go.kr 

  28.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2). 2012 youth risk environment surveillance report (MOGEF Publication No. 11-1383000-000015-10). Retrieved from http://www.mogef.go.kr 

  29.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4). Youth risk environment surveillance report (MOGEF Publication No. 11-1383000-000607-11). Retrieved from http://www.mogef.go.kr 

  30.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6). 2016 white paper on youth (MOGEF Publication No. 11-1383000-000102-10). Retrieved from http://www.mogef.go.kr 

  31. Nam, J. B. (2011). Related factors of juvenile delinquency. Journal of Social Science, 28(2), 1-23. Retrieved from http://www.dbpia.co.kr/Article/NODE01905117 

  32. No, U., Jung, S., & Hong, S. (2014). Classifying latent profiles in delinquenc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esting the effects of determinants. Studies on Korean Youth, 25(4), 211-240. doi:10.14816/sky.2014.11.75.211 

  33. Park, H.-S. (2011).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juvenile delinquency and influential factor. Korean Journal of Crime and Delinquency, 1, 165-187. Retrieved from http://kiss.kstudy.com/ 

  34. Park, J.-H., & Lee, D.-H. (2016).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s parenting behavior determinants,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delinquency: The comparison between adolescents and delinquent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3(6), 201-232. doi:10.21509/KJYS.2016.06.23.6.201 

  35. Yeom, J.-W., & Cho, H.-I. (2016).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mong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school adjustment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30(1), 195-223. doi:8080/10.17286/KJEP.2016.30.1.08 

  36. Yoo, S. K., & Lee, S. R. (2001). Risk and protective factor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delinquency in Korean youth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3(2), 187-205.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10063107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