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사진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자기지각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With Phototherapy on Enhancing the Self-Perception and Self-Esteem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아동학회지, v.38 no.2, 2017년, pp.177 - 190  

김수지 (대구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조경숙 (경희대학교 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with phototherapy for enhancing the self-perception and self-esteem of female adolesc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0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20 in the experimental gr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신체적 매력을 포함한 청소년들의 자기지각은 그들의 전반적인 자아존중감의 가장 강력한 예측요인이 된다(Lord, Eccles, & McCarthy, 1994). 따라서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자기지각이나 자아존중감이 더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여중생을 대상으로 사진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여중생을 대상으로 사진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자기지각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고, 그 효과가 프로그램 종결 후에도 지속이 되는지를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란?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이행하는 발달 적 기간으로, 생물학적 · 인지적 · 사회정서적 변화를 포함한다. 청소년들의 생물학적 · 인지적 · 사회정서적 변화는 성기능의 변화에서부터 추상적 사고 과정의 변화와 독립성의 변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Santrock, 2003/2004).
학생을 대상으로 사진치료를 실시한 프로그램 연구 사례로는 무엇이 있는가? 이와 같은 사진치료의 장점은 최근의 연구들을 통해서 다양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학생을 대상으로 사진치료를 실시한 프로그램들은 그들의 자아존중감이나 자기개념 등의 향상에 사진치료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예로는 우선, 초등학생에게 사진 치료 및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킨 연구(Ammerman & Fryrear, 1975; Lee & Park, 2013)가 있고, Yoo (2014) 역시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진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의 향상을 보고하였다. J.-H. Choi (2008)는 중학생들에게 잡지 사진으로 자신의 이미지를 표현해 보도록 한 집단 상담을 통해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고 하였다. 더불어 집단 사진치료 연구를 통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남녀중학생의 자아개념이 향상되었다는 연구결과(J. Kim, 2016)가 있으며, G.-H. Han (2015)과 Kang (2012)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사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킨 연구결과를 보고하였다. 그 외 사진치료 기법을 진로상담 프로그램과 접목하여 고등학생의 진로 성숙도와 진로 정체감 및 진로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킨 J. S. Lee (2015)의 연구와, 대학생의 자기 효능감을 향상시킨 Cho (2011)의 연구도 있다. 그뿐만 아니라 사진을 활용한 자기 탐색의 효과는 지적으로 취약한 지적장애 아동 및 청소년에게까지 확대되고 있는 바, Ahn (2011)은 치료에 참여한 지적장애아동이 자기 탐색활동을 수행하여 자신감을 회복하고 자신을 성찰하고 자신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되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고 주장하였다
청소년이 자기지각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긍정적 자기지각 또는 높은 자아존중감은 인간의 정신건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인간 발달 과정에서 추구되 는 결과이기도 하다(Rice & Dolgin, 2002/2009). 따라서 청소년들이 외부 환경에 적응하여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적절히 대처하는 능력을 키우고, 이를 통해 자신의 발달과업을 잘 수행 해 나가기 위해서는 심리적 자원인 자기지각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Ammerman, M. S., & Fryrear, J. L. (1975). Photographic enhancement of children's self-esteem. Psychology in the Schools, 12(3), 319-325. 

  2. Blinn, L. M. (1987). Phototherapeutic intervention to improve self-concept and prevent repeat pregnancies among adolescents. Family Relations, 36(3), 252-257. 

  3. Bond, A., Woodall, J., Clark, T. J., Jordanova, L. J., & Koerner, J. L. (2005). Self portrait: Renaissance to contemporary. New South Wales: National Portrait Gallery. 

  4.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 H. Freeman. 

  5. Fryrear, J. L. (1983). Photographic self-confrontation as theray. In D. A. Krauss & J. L. Fryrear (Eds.), Phototherapy in mental health (pp. 71-84). Springfield, Illinois: Charles C. Thomas. 

  6. Ginicola, M. M., Smith, C., & Trzaska, J. (2012). Counseling through images: Using photography to guide the counseling process and achieve treatment goals. Journal of Creativity in Mental Health, 7(4), 310-329. doi:10.1080/15401383.2012.739955 

  7. Hamachek, D. E. (1978). Psychodynamics of normal and neurotic perfectionism. Psychology: A Journal of Human Behavior, 15(1), 27-33. 

  8. Harter, S. (1982).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Child Development, 53(1), 87-97. 

  9. Harter, S. (2006). The self. In W. Damon & R. M. Lerner (Series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3.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pp. 505-570). Hoboken, NJ: Wiley. 

  10. Hayes, D. (2002). Photography: Snapshots out of the unconscious. Psychodynamic Practice, 8(4), 525-532. doi:10.1080/1353333021000038863 

  11. Hayes, S. C., Luoma, J. B., Bond, F. W., Masuda, A., & Lillis, J. (2006).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Model, processes and outcome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4(1), 1-25. doi:10.1016/j.brat.2005.06.006 

  12. Kaplan, H. B. (1975). The self-esteem motive and change in self-attitudes.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61(4), 265-275. 

  13. Lord, S. E., Eccles, J. S., & McCarthy, K. A. (1994). Surviving the junior high school transition family processes and self-perceptions as protective and risk factors.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4(2), 162-199. 

  14. Nunez, C. (2009). The self portrait, a powerful tool for self-therapy. European Journal of Psychotherapy & Counselling, 11(1), 51-61. doi:10.1080/13642530902723157 

  15. Schmais, C. (1985). Healing processes in group dance therapy. American Journal of Dance Therapy, 8(1), 17-36. 

  16. Simmons, R. G., & Blyth, D. A. (1987). Moving into adolescence: The impact of pubertal change and school context. New York: Aldine De Gruyter. 

  17. Ahn, M.-R. (2011). The effect of the photo therapy activities using film cameras on self-esteem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Play Therapy, 15(2), 131-145. 

  18. Cho, J. H. (2011). Research on development of phototherapy program for enhancing self-efficacy in university students. AURA, 25, 111-125. 

  19. Choi, B.-J., & Kim, H.-J. (2010). Career self-efficacy enhancement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audio-visual methods.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58(2), 127-156. 

  20. Choi, I.-K. (2001). The self-esteem by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adolescent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202337 

  21. Choi, J.-H. (2008). A study about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using photo activity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8(1), 91-113. 

  22. Choi, T.-S., & Hong, K.-J. (1997).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about normal male and femal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nd deviant behavior.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 11(2), 291-322. 

  23. Han, G.-H. (2015). The effect of a photography activity program on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849569 

  24. Han, J. S. (2003). Eyes of modern photography. Seoul: Noonbit. 

  25. Han, J.-H. (1996). Influences from the social networks of relationships on children's self-perceived competence and self esteem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546052 

  26. Hong, J. E. (2014). Development of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 focusing on lifetime rituals to improve early adolescents' self-perception and social skills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387073 

  27. Hong, J. S. (2010). The effects of self-concept on adolescents' delinquent behavior: Focused on comparison between delinquent juveniles and normal adolescents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89828 

  28. Jang, H. S. (2009). Adolescent psychology (4th ed.). Seoul: Bakyoungsa. 

  29. Jung, O. B. (2015). Adolescence: An introduction (3rd ed.). Seoul: Hakjisa. 

  30. Jung, Y. S. (2000). The influence of self-perception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ve symptoms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7607287 

  31. Kang, S. W. (2012). Development and research of photography education program for improvement of adolescence self-worth: Beyond an alternative high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2954312 

  32. Kim, C.-G., & Ko, G.-N. (2002). Effectiveness of the game play REBT group counseling for self-esteem improvement of middle school girls. Journal of Play Therapy, 6(2), 27-42. 

  33. Kim, H.-H. (1998). Development of self-esteem in adolescents: It's relation to environmental variables and adjustment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7186053 

  34. Kim, H.-S. (2014). The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influence of academic stress to adolescents'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3), 409-437. 

  35. Kim, J. (2016). A study of group phototherapy on self-concept of adolescent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4014440 

  36. Kim, J.-H. (1987). Relations of perceived stress, cognitive set, and coping behaviors to depression: A focus on freshmen's stress experiences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7500 

  37. Kim, T. R., Cho, H. J., Lee, S. J., Bang, H. J., Cho, S. J., Cho, S. W., . . . Sung, E. H. (2006). Developmental psychology. Seoul: Hakjisa. 

  38. Kwak, K.-J., & Kim, G.-Y. (1997). Self-concept development (2): The relationships between general self-worth, depression, and delinquency.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 Psychotherapy, 10(1), 15-26. 

  39. Lee, J. S. (2015). The effect of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by using photo therapy on career maturity, career identity and career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4023856 

  40. Lee, Y. H., & Park, J. E. (2013). A study on self-portrait program for self-esteem: Focused on the photography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RA, 30, 23-33. 

  41.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4). Adolescent psychology (2nd ed.). Seoul: Kyoyookbook. 

  42. Park, S. H. (2004). Theory and practice of phototherapy : Phototherapy study through family photography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539572 

  43. Park, Y. A. (1995).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 and sibling relationship and children's self-esteem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262076 

  44. Rhee, E., & Park, M.-J. (2013). The effect of an arts therapy program using visual media on diminished adolescents' sociality and self-esteem in school.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16, 117-136. 

  45. Rice, F. P., & Dolgin, K. G. (2009). The adolescent: Development, relationships, and culture (12th ed.) (Y. S. Jeong, M. S. Sin, & S. Y. Lee Trans.). Seoul: Sigma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2002) 

  46. Santrock, J. W. (2004). Adolescent psychology (H. J. Kim, Y. S. Park, H. J. Bang, S. G. Yu, G. W. Lee, M. S. Jeong, . . . Y. M. Choi Trans.). Seoul: Pakhaksa. (Original work published 2003) 

  47. Shim, O. N. (1994). The correlation study of self-concept and adaptation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2169898 

  48. Shim, Y. S. (2011). Theory and practice of film therapy. Seoul: Hakjisa. 

  49. Weiser, J. (2012). Phototherapy techniques (Y. S. Shim, J. H. Kim, & M. S. Lee Trans.). Seoul: Hakjisa. (Original work published 1999) 

  50. Yee, Y.-H., Park, S.-O., & Han, J.-H. (1997). Research: Developmental change of the self-perceptio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5(5), 61-72. 

  51. Yoo, S. D. (2014). The Effect of the photo therapy program on the self 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2815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