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토피 피부염 환아의 정신 건강 분석 및 아토피 피부염 교육을 통한 인식, 인지도 개선에 대한 고찰
A Study on Mental Health Analysis of Atopic Children and Awareness Improvement through Atopic Education 원문보기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v.30 no.2, 2017년, pp.51 - 85  

박승구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 ,  노현민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 ,  조은희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과) ,  박민철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improvement of atopic dermatitis(AD) for AD children's parents and to evaluate the mental health condition of AD children and QoL of their parents. Methods : We conducted elementary school visit education(the first education) and recruited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차 교육에 참여한 보호자의 AD에 대한 지식, 인지도를 확인하여 1차 교육과 2차 교육의 지식, 인지도의 변화를 파악하고 비교하여 AD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2차 교육에 참여한 환아의 병력과 보호자의 AD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1차 교육과 2차 교육의 인식 상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다시 시행되었다.
  • AD 환아를 대상으로 한의학적 변증분류를 위해 시행되었다. AD에 동반될 수 있는 호흡기계 혹은 소화기계 증상, 질환을 나열한 후 환아가 현재 앓고 있는 질환과 증상을 보호자가 체크하게 하였다.
  • 본 연구는 AD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AD의 인식, 인지도 개선을 목표로 하였으며 AD 환아 및 가족의 정신건강을 분석하였다. AD에 대한 지식 파악과 교육의 필요성은 초등학교와 병원 방문 교육 전 시행된 아토피 피부염 인식· 인지도 설문지를 통해 확인하였고 FDLQI, DFI 설문지를 통해 AD가 보호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환아의 AD 중증도가 정신건강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다양하게 탐구하였고 AD의 인식, 인지도의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하였다. 현재 세계적인 추세로 AD 교육을 통한 AD 관리 능력 향상에 따른 증상 및 삶의 질 개선이 추구되고 있는 만큼 한의학적 개별 맞춤형 상담 및 관리가 필요하며 추가적인 연구와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평균 점수 미만의 평점은 1,2로 하고 평균 점수 이상의 평정은 4,5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진하는 담당 의사가 채점하기에는 환아의 상태를 충분히 알기 어려웠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보호자가 평가하게 하였다.
  • 본 한방 아토피 피부염 교육은 AD 환자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여 AD 환아의 수업 집중력의 향상, 삶의 질의 향상, 정서적 안정을 꾀하였으며 체질· 환경관리, AD의 예방, 질환에 대한 올바른 정보전달을 수행하여 AD의 치료에 있어 교육의 효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AD 환아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인식, 인지도 개선이 얼마나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고 삶의 질, 우울, 불안, 피부 상태 측정을 복합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유의한 결과를 얻어 이를 제시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D 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무엇인가? AD 환아를 위한 치료 및 관리에 있어 보호자의 참여를 고려할 때, 소아 AD에 있어 교육적 개입과 지식의 필요성은 매우 중요하다. AD 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AD 및 관련 질환의 설명 뿐만 아니라 보호자들에게 적합한 피부 관리의 중요성의 교육 또한 포함하게 된다3). 지속적인 소양감 및 외적 변화로 인해 학습장애 및 정서적 우울을 보이고 있는 AD 환아를 상대로 시행하는 AD에 대한 교육 및 관리에 대한 사업은 수업집중력의 향상, 삶의 질 향상, 정서적 안정을 꾀할 수 있고 환아 가족의 삶의 질 또한 개선 시킬 수 있다.
아토피 피부염이란? 아토피 피부염(AD)은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만성 재발성 습진 질환으로 피부과 영역에서 발모벽, 인공 피부염, 다한증, 건선 등과 함께 대표적인 정신신체장애의 범주에 드는 질환이다1). AD의 병인에 관해서는 아직까지 확실하게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생물학적 요인 뿐 아니라 심리사회적 요인이 병의 경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AD 환아에게 사회 심리적 문제가 동반되는 경우가 많은 이유는? AD 환아는 잦은 피부손상과 소양감으로 인해 신체적 문제와 함께 사회 심리적 문제가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피부 증상이나 약물에 대한 부작용으로 인하여 신체상 저하와 수치심 등 심리적 문제를 경험하면서 자신감을 상실하고 내성적인 성격을 갖게 되어 학습, 놀이, 운동 등의 활동에 제한을 받게 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Jung JS, Kim KH, Hong KE. A Study on cormorbid psychopathology and parenting attitud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topic dermatiti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hchiatry. 1999:10(1);34-42. 

  2. Yu SM, Choi IH. The burden of Atopic dermatitis on children and their families: Quality of life and financial impact in seoul area.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0;23(3):122-37. 

  3. Kotrulja L, Milavic T, Bulic SO, Situm N, Konsuo AB, Mursic I, et al. Importance of Educational Intervention and Paretal Knowledge on Atopic Dermatitis In Childeren. Acta Clin Croat. 2016;55(1):29-34. 

  4. Breuer K, Matterne U, Diepgen TL, Fartasch M, Gieler U, Kupfer J, et al. Predictors of benefit from an atopic dermatitis education programme. Pediatr Allergy Immunol. 2014;25(5):489-95. 

  5. Stalder JF, Bernier C, Ball A, Raeve LD, Giler U, Deleuran M, et al. Therapeutic patient education in atopic dermatitis: worldwide experiences. Pediatr Dermatol. 2013;30(3): 329-34. 

  6. Jang HJ, Hwang S, Ahn Y, Lim DH, Sohn M, Kim JH. Family quality of life among families of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Asia Pac Allergy. 2016;6(4):213-9. 

  7. Slattery MJ, Essex MJ, Paletz EM, Vaneess ER, Infante M, Rogers GM, et al. Depression, anxiety, and dermatologic quality of life in adolescents with atopic dermatitis. J Allergy Clin Immunol. 2011;128(3):668-71. 

  8. Jung JS, Kim KH, Hong KE. A study on cormorbid psychopathology and parenting attitud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topic dermatitis. Korean J Child & Adol Psychiatr. 1999;10(1):34-42. 

  9. Hong SJ. Korean ISAAC study Group of Korean Association of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s: Report of Korean ISAAC epidemiologic study for asthma and allergic diseases in children. Korean Pediatr Allergy Respir Dis. 2007;17(1):S55-66. 

  10. Schuh C, Fritscher LG, Chapman KR, Fritscher CC. The prevalence of asthma and atopy in schoolchildren from Porto Alegre, Brazil, has plateaued. Respir Med. 2015;109(3):308-11. 

  11. Mortz CG, Andersen KE, Dellgren C, Barington T, Bindslev-Jensen C. Atopic dermatitis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in the TOACS cohort: prevalence, persistence and comorbidities. Allergy. 2015;70(7): 836-45. 

  12. Kim SH, Hur J, Jang JY, Park HS, Hong CH, Son SJ, et al. Psychological Distress in Young Adult Males with Atopic Dermatitis: A Cross-Sectional Study. Baltimore:Medicine. 2015;94(23):e949. 

  13. Aziah MS, Rosnah T, Mardziah A, Norzila MZ. Childhood atopic dermatitis: a measurement of quality of life and family impact. Med J Malaysia. 2002;57(3):329-39. 

  14. Pustisek N, Zivkovic MV, Situm M. Quality of Life in Families with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Pediatric Dermatology. 2016;33 (1):28-32. 

  15. Senra MS, Wollenberg A. Psychodermatological aspects of atopic dermatitis. Br J Dermatol. 2014;170(1):38-43. 

  16. Lim VZ, Ho RC, Tee SI, Ho MS, Pan JY, Tang MB, et al. Anxie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AD in a Southeast asian Tertiary dermatological centre. Ann Acad Med Singapore. 2016;45:451-5. 

  17. Son JM, KIM HT, Hong SU. A research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topic dermatitis in Je-Cheon.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9;22 (2):163-75. 

  18. Sherry HY, Silverberg JI. Association between Atopic Dermatitis and Depression in US Adults. J Invest Dermatol. 2015;135(12): 3183-6. 

  19. Kim HC, Shin YW, Park HJ, Kim YC, Lee KK. A Study on the Anxiety and Depression of Patients with Childhood Atopic Dermatitis. J Korean Dermatology. 1998;36(4):628-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