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토피피부염 환아의 중증도에 따른 가족관리방식의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Family Management Style According to Severity of Childhood Atopic Dermatiti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2 no.4, 2016년, pp.309 - 316  

손해경 (차의과학대학교) ,  김희순 (연세대학교 김모임 간호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of secondary analysis aims to compare family management style according to severity in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Methods: A convenience sample of 109 Korean mothers caring for a child with atopic dermatitis, were recruited from the pediatric departments of two general hos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불어 본 연구에서 중증도가 가족관리방식에 미치는 영향은 추후 가족의 아토피피부염 관리와 관련된 중재 개입 시 중증도의 영향을 고려한 접근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특히 중증(severe or very severe) 이상의 아토피피부염이 있는 환아의 가족에서 질병 관리에 할애되는 노력을 경감시킬 수 있는 지지 자원의 마련과 함께 질병 관리로 인한 어려움과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해 질병관리에 실패하지 않도록 개입할 수 있는 중재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아토피피부염이 있는 어린 아동의 주 돌봄 제공자인 어머니를 대상으로 아토피피부염의 중증도에 따른 가족의 질병관리방식을 비교함으로써 대상자의 중증도 특성에 따른 간호중재의 개발 및 적용 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만성질환의 경우 가정에서의 질병 관리가 치료성과 및 질병경과에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만큼 이를 지지하고 강화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할 것을 기대한다.
  • 특히 중증(severe or very severe) 이상의 아토피피부염이 있는 환아의 가족에서 질병 관리에 할애되는 노력을 경감시킬 수 있는 지지 자원의 마련과 함께 질병 관리로 인한 어려움과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해 질병관리에 실패하지 않도록 개입할 수 있는 중재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아동기에 대표적인 만성 피부질환인 아토피피부염이 있는 아동의 돌봄 역할을 하는 가족에 접근을 한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아토피피부염의 중증도에 따라 가정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질병을 관리하기 위해 아토피피부염 환아 및 가족구성원에 대한 지지와 관련된 연구에 근거자료를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토대로 국내 아토피피부염 환아의 주 돌봄 제공자인 어머니뿐만 아니라 아버지, 조부모등 다른 동반가족 구성원을 대상으로 질병 관리에 대한 역할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만성질환이 있는 아동과 관련된 중재의 가족 중심적 접근(Family Centered Approach) 시 고려할 것을 제언한다.
  • 본 연구는 아토피피부염이 있는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아토피피부염의 중증도에 따른 가족관리방식을 비교하기 위해 이차자료를 분석한 횡단면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아토피피부염이 있는 아동의 주 돌봄 제공자인 어머니를 대상으로 아토피피부염의 중증도에 따른 가족관리방식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토피피부염은 무엇인가? 아토피피부염은 가려움증과 수면장애를 특징으로 하는 만성 재발성 피부질환으로써[1], 아동기 아토피피부염의 유병률과 중증 아토피피부염의 구성비는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2,3]. 특히 2007년 국내 아토피피부염 전체 환자의 54%가 9세 이하의 아동으로써[4] 아토피피부염은 환아뿐만 아니라 나이가 어린 아동의 질병을 관리해야 하는 가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5,6].
아토피피부염 환아의 가족은 아토피피부염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가? 따라서 아토피피부염 환아의 가족은 아동의 성장발달 단계에 따른 일반적인 양육뿐만 아니라 꾸준한 피부보습, 식사준비, 환경관리 등 일상생활에서 아토피피부염을 엄격하게 관리해야 한다[10,11]. 특히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아토피피부염의 중증도는 질병을 관리하는 과정에서 아토피피부염 환아와 가족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간주되어 왔다[7,12-16].
아토피피부염의 중증도가 아동과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아토피피부염이 있는 아동의 가족은 중증도가 심해질수록 아토피피부염의 치료 및 관리를 위해 병원을 보다 자주 방문하고, 아동이 가려움증으로 인해 피부를 긁지 않도록 해야 하거나 이로 인한 수면장애 등으로 인해 질병 관리 시 보다 많은 시간과 비용 등을 할애하게 된다[17-19]. 더불어 중증도에 따른 처방 약물의 강도나 사용범위 등의 처방 수준이 심화되면 결국 아토피피부염에 대한 지속적인 치료 이행과 관리 측면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ung DYM, Bieber T. Atopic dermatitis. The Lancet. 2003;361(9352): 151-160. http://dx.doi.org/10.-1016/S0140-6736(03)12193-9 

  2. Jee HM, Kim KW, Kim CS, Sohn MH, Shin DC, Kim KE. Prevalence of asthma, rhinitis and eczema in Korean children using the international childhood (ISAAC) questionnaires.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Korea). 2009;19(2):165-172. 

  3. Lee HS, Kim JS, Pyun BY. Changes of the prevalence and the allergens of atopic dermatitis in children: In between the year of 1992 and 2002.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2002;12(4):263-271. 

  4.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The patient analysis of clinical practices of domestic environmental diseases [Internet].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07 [cited 2009 January 23]. available from http://www.khidi.or.kr/board/view?linkId123173&me nuIdMENU00284 

  5. Lee YM, Hwang SW.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atopic dermatitis in pre-school and school aged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8;14(3):285-294. 

  6. Park YM. Epidemiology study and risk factors of atopic dermatitis.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Korea). 2011;21(2):74-77. http://dx.doi.org/10.7581/pard.2011.21.2.74 

  7. Beattie PE, Lewis-Jones MS. A comparative study of impairment of quality of life in children with skin disease and children with other chronic childhood diseases.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2006;155(1):145-151. http://dx.doi.org/10.1111/j.1365-2133.2006.07185.x 

  8. Leung DYM, Boguniewicz M, Howell MD, Nomura I, Hamid QA. New insights into atopic dermatitis.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2004;113(5):651-657. http://dx.doi.org/10.1172/JCI- 21060 

  9. Lee SY. Food allergy.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04;47(3):240-246. 

  10. Kim DH, Im YJ.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the Family Management Measure (Korean FaMM) for families with children having chronic ill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1):123-132. http://dx.doi.org/10.4040/jkan.2013.43.1.123 

  11. Yoo IY, Kim DH. Parenting stress and need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4; 10(4):423-430. 

  12. Mitchell AE, Fraser JA, Ramsbotham J, Morawska A, Yates P. Childhood atopic dermatitis: a cross-sectional study of relationships between child and parent factors, atopic dermatitis management, and disease severit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5;52(1): 216 -228.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14.09.008 

  13. Cho JB, Lee JH, Suh JM, Yu JS, Lee HS, Park EA, et al. Change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change in atopic dermatitis severity.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Korea). 2012;22(1):86-99. http://dx.doi.org/10.7581/pard.2012.22.1.86 

  14. Yang SJ, Yun SJ, Lee JW, Lee JB, Kim SJ, Won YH, et al. Relationship between severity of childhood atopic dermatitis and subject's characteristics including psychological, behavioral and familial problems.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2005;43(9):1170-1176. 

  15. Kwon IS, Seo YM. Home nursing and quality of life in parents of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9;15(4):401-408. 

  16. Charman CR, Venn AJ, Williams HC. The patient-oriented eczema measur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a new tool for measuring atopic eczema severity from the patients' perspective. JAMA Dermatology. 2004;140(12):1513-1519. http://dx.doi.org/10.1001/archderm.140.12.1513 

  17. Lewis-Jones S, Mugglestone MA. Management of atopic eczema in children aged up to 12 years: summary of NICE guidance. British Medical Journal. 2007;335(7632):1263-1264. http://dx.doi.org/10.1136/bmj.39405.503773.AD 

  18. Kim EJ, Kim HO, Park YM. A study on quality of life and economic burden in Korea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and their parents.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2008;46(2):160-170. 

  19. Su JC, Kemp AS, Varigos GA, Nolan TM. Atopic eczema: its impact on the family and financial cost.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1997;76(2):159-162. 

  20. Kim DH, Kang KH, Kim KW, Yoo IY. Management of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Korea). 2008;18(2):148-157. 

  21. Park KS, Kam S, Kim HS, Lee JK, Hwang JB. Therapeutic compliance and its related factors in pediatrics patients.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08;51(6):584-596. http://dx.doi.org/10.3345/kjp.2008.51.6.584 

  22. Kim MJ, Choi MH. Knowledge, compliance and quality of lif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1;17(4):272-280. 

  23. Lee JB, Rha YH, Choi SH. A questionnaire survey of caregivers’ understanding of atopic dermatitis. Korean Journal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09;29(3):179-185. 

  24. Yum HY, Han KO, Park JA, Kang MY, Chang SI, Cho SH, et al. Improvement in disease knowledge through an education program of aotpic dermatitis. Korean Journal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12;32(1):21-25. 

  25. Rhim JW, Moon KS, Kong DY, Pyun BY. An investigation into the actual condition of outbreak and treatment in atopic dermatitis. Pediatric Allergy Respiratory Diseases (Korea), 2005;15(1):44-52. 

  26. Chung SW, Chang EY, Lee HC, Shin MY, Kim BE, Ahn KM, et al. The relationships among severity score, behavioral problem, parental stress, maternal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in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Korean Journal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05;25(1):39-44. 

  27. Charman CR, Venn AJ, Revenscroft JC, Williams HC. Translating Patient-Oriented Eczema Measure (POEM) scores into clinical practice by suggesting severity strata derived using anchor-based methods.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2013;169(6):1326-1332. https://doi.-org/10.1111/bjd.12590 

  28. Son HK. Family management for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Bandura's self-efficacy theory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isity; 2016. p. 1-111. 

  29. Knafl K, Deatrick JA, Gallo A, Dixon J, Grey M, Knafl G, et al. Assessment of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family management measure.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2011;36(5):494-505. http://dx. doi.org/10.1093/jpepsy/jsp034 

  30. Lee H, Son HK, Kim JS, Han MY, Noh G.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Parental Self-Efficacy with Eczema Care Index. Global Journal of Health Science. 2016;8(10):57-64. http://dx.doi.org/10.5539/ gjhs.v8n10p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