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침입외래종 붉은귀거북의 제주도 내 분포 및 현황
Distribution and Status of the Alien Invasive Red-eared Slider (Trachemys scripta elegans) in Jeju Island, South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5 no.1, 2017년, pp.57 - 63  

오홍식 (제주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박선미 (제주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제주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김유경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김태욱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한상현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외래침입종인 붉은귀거북 (Trachemys scripta elegans)의 지리적 분포와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붉은귀거북의 서식지는 총 32개 지점이었고, 25개의 연못과 5개의 저수지, 1개의 하천과 1개의 웅덩이에서 관찰되었다. 발견된 서식지 중에서 13개 지점은 이번 조사에서 새롭게 확인되었고, 나머지 19개 지점은 기존 연구에서 보고된 지점이었다. 반면, 사전 연구에서 보고된 서식지 중 9개 지점에서는 붉은귀거북이 관찰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붉은귀거북 133개체가 관찰되었다. 그중에서 39개체의 유체들이 19개 서식지에서 발견되었고, 이는 제주도의 야생생태계에서 붉은귀거북들이 번식활동을 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바다에 의한 지리적 격리로 19세기까지 제주도에는 담수거북류가 서식하지 않았다. 따라서 붉은귀거북 서식지와 개체수의 증가는 애완용이나 다른 목적으로 도입된 이후 인간에 의한 방류, 자연 상태에서의 번식에 의한 결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제주도에서 고유 야생 동물에 대한 보존프로그램의 운영과 침입외래종인 붉은귀거북에 대한 관리 계획 수립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d the status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alien invasive Red-eared slider (Trachemys scripta elegans) turtle on Jeju Island. We found thirty-two Red-eared slider habitats including twenty-five ponds, five agricultural reservoirs, a puddle and a stream. 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외래침입종인 붉은귀거북 (Tra-chemys scripta elegans)의 지리적 분포와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붉은귀거북의 서식지는 총 32개 지점이었고, 25개의 연못과 5개의 저수지, 1개의 하천과 1개의 웅덩이에서 관찰되었다.
  • 현재까지 제주도 내 연못과 저수지 등 습지에서 붉은귀거북의 서식과 번식활동이 알려져 있으나, 단편적인 조사연구에 그친 경우가 많아 제주도 내 전반적인 생태계 관리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생물학적 자료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도에 이입된 외래종인 붉은귀거북의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붉은귀거북이 생태계로 유출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2013). 붉은귀거북이 생태계로 유출되면, 이들의 먹이 활동에 따라 수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동일한 서식지 내에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고유종 거북류와의 경쟁은 고유종의 체중 감소, 사망률 증가로 이어져 결국은 개체군 감소나 서식지 이동의 결과를 나타내게 된다 (Lindeman 1999; Cadi and Joly 2004). 특정 기생충이나 병원체 전파의 매개체로도 알려져 있다 (Frye et al.
붉은귀거북은 우리나라에 어떤 목적으로 도입되었는가?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 이후 애완용과 종교계 이용의 목적으로 도입되었고, 일부가 자연생태계로 유입되었다(Song 2007;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5). 현재까지 우리나라에 도입된 외래거북은 9과 73종에 달하며, 이 중 3과 8종이 자연생태계에서 발견되고 있다 (Lee et al.
제주도 내 대부분의 붉은귀거북 서식지는 어디인가? 본 연구결과에서 관찰된 붉은귀거북 서식지 대부분은 마을 내부나 관광지 주변, 산책로나 올레길 주변에 위치한 자연연못 또는 인공연못으로, 일부는 생태연못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대다수가 사람의 접근이 빈번하고 (Oh and Hong 2007;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5), 대개 연중 물이 고여 있으며, 습지정비사업을 통해 일광욕이나 은신에 필요한 바위나 수변식물이 잘 조성된 지역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adi A and P Joly. 2004. Impact of the introduction of the redeared slider (Trachemys scripta elegans) on survival rates of the European pond turtle (Emys orbicularis). Biodivers. Conserv. 13:2511-2518. 

  2. Chen TH. 2006. Distribution and status of the introduced Redeared Slider (Trachemys scripta elegans) in Taiwan. pp. 187-195. In Assessment and Control of Biological Invasion Risks (Koike F, MN Clout, M Kawamichi, M De Poorter and K Iwatsuki, eds.). Shoukadoh Book Sellers, Kyoto, Japan and IUCN, Gland, Switzerland. 

  3. Feldman SH, J Wimsatt, RE Marchang, AJ Johnson, W Brown, JC Mitchell and JM Sleeman. 2006. A novel Mycoplasma detected in association with upper respiratory disease syndrome in free-ranging eastern box turtles (Terrapene carolina carolina) in Virginia. J. Wildl. Dis. 42:279-289. 

  4. Frye FL, LS Oshiro, FR Dutra and JD Carney. 1977. Herpesvirus- like infection in two Pacific pond turtles. J. Am. Vet. Med. Assoc. 171:882-884. 

  5. Jeju Green Environment Center. 2013. A Study o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nland Wetlands of D/B Creation Data. Jeju. pp. 1-442. 

  6. Jeju Regional Environmental Technology Development Center. 2006. A Study on Current Status and Management Plans for Alien Invasive Animals in Jeju-do Province. Jeju. pp. 6-9. 

  7. Jung JH. 2014. Activity factors and diet analysis of the Redeared slider turtle (Trachemys scripta) in Ansan Reed Wetland Park.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8. Lee DH, YC Kim, MH Chang, SH Kim, DG Kim and JH Kil. 2016. Current Status and Management of Alien Turtles in Korea. J. Environ. Impact Assess. 25:319-332. 

  9. Lindeman PV. 1999. Aggressive interactions during basking among four species of emydid turtles. J. Herpetol. 33:214- 219. 

  10. Lowe S, M Browne and S Boudjelas. 2000. 100 of the World's Worst Invasive Alien Species. A selection from the global invasive species database. IUCN/SSC Invasive Species Specialist Group (ISSG), Auckland, New Zealand. pp. 11. 

  11.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Report of monitoring and capturing of the alien invasive species (Red-eared slider) in Jeju Island. Jeju. pp. 1-79. 

  12.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5. Amphibian.Reptiles. In Alien Species in Jeju Island, Korea. Seocheon. p. 56-71. 

  13. Oh SH and CE Hong. 2007. Current conditions of habitat for Rana catesbeiana and Trachemys scripta elegans imported to Jeju-do including proposed management plans. Kor. J. Env. Eco. 21:311-317. 

  14. Parham JF, TJ Papenfuss, PP Dijk, BS Wilson, C Marte, LR Schettino and W Brian Simison. 2013. Genetic introgression and hybridization in Antillean freshwater turtles (Trachemys) revealed by coalescent analyses of mitochondrial and cloned nuclear markers. Mol. Phylogenet. Evol. 67:176-187. 

  15. Shi H, JF Parham, Z Fan, Z Hong and Z Yin. 2008. Evidence for the massive scale of turtle farming in China. Oryx 42:147-150. 

  16. Shi H, JF Parham, M Lau and T-H Chen. 2007. Farming endangered turtles to extinction in China. Conserv. Biol. 211:5-6. 

  17. Silbernagel C, DL Clifford, J Bettaso, S Worth and J Foley. 2013. Prevalence of selected pathogens in western pond turtles and sympatric introduced red-eared sliders in California, USA. Dis. Aquat. Organ. 107:37-47. 

  18. Song JY. 2007. Current Status and Distribution of Reptiles in the Republic of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5:124- 138. 

  19. Verneau O, C Palacios, T Platt, M Alday, E Billard, JF Allienne, C Basso and LH DU Preez. 2011. Invasive species threat: parasite phylogenetics reveals patterns of processes of host-switching between nonnative and native captive freshwater turtles. Parasitology 138:1778-1792. 

  20. Warwick C, C Steedman and T Holford. 1990. Ecological implications of the Red-eared Turtle trade. Texas J. Sci. 42:419- 4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