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생태계에서의 외래종 뉴트리아 확산과 근절의 동태성 분석
Analysis on the Dynamics of Distribution and Eradication of Nutria on Nakdong River Area 원문보기

한국 시스템 다이내믹스 연구 =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v.16 no.2, 2015년, pp.53 - 74  

권순민 (한국교통대학교 행정정보학과) ,  김선태 (한국교통대학교 행정정보학과) ,  최남희 (한국교통대학교 행정정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utria(Myocastor coypus) is one of the most notorious invasive species in many countries. The Nutria's original range was South America like Brazil, Chile and Argentina. But it has been introduced to North America, Europe, Africa, and Asia including Korea, by fur ranchers. Like most invasive and d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론적으로 이 논문에서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뉴트리아를 퇴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본 연구의 결과로 앞에서 제시된 뉴트리아 확산과 근절의 동태적 피드백 구조를 정확하게 이해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뉴트리아 확산과 근절 실패의 가장 핵심적인 인과순환적 구조는 낙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확산되기 시작한 뉴트리아 개체수 증가에 대한 초기 대응이 없었기 때문에 뉴트리아의 환경적응력을 키웠고, 그로 인해 서식가능 지역과 실제 서식지역이 급격히 확산되는 악순환 구조에 있다고 보았다.
  • 이 논문에서는 먼저 앞에서 살펴본 다양한 뉴트리아의 생태적 특성과 조사 자료 및 시스템다이내믹스 기법을 활용하여 미국 루이지에나주 바라타리아 습지유역(Barataria Basin) 의 뉴트리아 개체수(nutria population dynamics)와 수생식물-바이오매스(plant-biomass cycle) 간의 관계를 연구한 사례(Carter et al., 1999: 209-219; Carter et al., 2002) 등 같은 관련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뉴트리아 확산과 근절의 기본구조를 파악하는데 필요한 중요 변수들을 도출하고 이를 인과순환적 피드백구조를 통해 분석(인과지도 분석)하여 그 동태성을 규명해 보고자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먼저 중요한 피드백 구조들을 중심으로 단순화하여 다음과 같은 인과순환적 피드백 구조들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네 가지 차원에 초점을 두고 뉴트리아 확산과 근절의 동태성을 살펴보았다.
  • 이 연구의 최종 연구목적은 낙동강 지역을 중심으로 생태계 교란종인 뉴트리아의 개채 수가 얼마나 늘어나고 공간적으로 확산될 것인가를 예측하는 한편 뉴트리아의 개체수를 근절하기 위한 정부의 대응 방안들이 얼마나 효과적인가, 그리고 언제쯤 뉴트리아 개체수를 종식시킬 수 있는가를 시뮬레이션 해 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먼저 1단계 연구로서 뉴트리아 확산과 근절의 동태성을 인과순환적 구조로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1단계 연구의 핵심 내용은 문헌고찰을 통해 뉴트리아의 생물학적 특성, 외국에서의 뉴트리아 확산 문제와 대응 정책, 우리나라 낙동강 지역에서의 뉴트리아 생존ㆍ증식ㆍ확산 현황, 그리고 뉴트리아를 퇴치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과 정책 수단의 성과 및 문제점 등에 대한 다양한 자료들을 수집하고 검토한 후 시스템사고를 통해 인과지도 분석을 수행하여 뉴트리아 개체수 확산과 근절의 동태성을 규명하는데 있다.
  • 이 연구의 최종 연구목적은 낙동강 지역을 중심으로 생태계 교란종인 뉴트리아의 개채 수가 얼마나 늘어나고 공간적으로 확산될 것인가를 예측하는 한편 뉴트리아의 개체수를 근절하기 위한 정부의 대응 방안들이 얼마나 효과적인가, 그리고 언제쯤 뉴트리아 개체수를 종식시킬 수 있는가를 시뮬레이션 해 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먼저 1단계 연구로서 뉴트리아 확산과 근절의 동태성을 인과순환적 구조로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래종이란? 외래종은 고유의 것인 토종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다른 지역 또는 국가로부터 유입된 생물이다. 외래 종 생물의 유입은 양날의 칼처럼 약이 될 수도 있고 독이 될 수도 있지만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 그 지역의 고유한 생태계를 파괴하거나 사회경제적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뉴트리아의 번식 특성은? 5년 정도이나 환경에 따라서는 15-20년을 살 수 있다. 뉴트리아는 설치류와 같이 번식력이 높아 기온이 온화하고 먹이가 충분할 경우 새끼수가 급격히 증가할 수 있다.
국내 유입된 외래종에는 무엇이 있는가? 국내 유입된 외래종으로는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 Shaw), 큰입배스(Micropterus salmoides), 붉은귀거북(Trachemys scripta elegans), 지중해담치(Mytilus galloprovincialis), 뉴트리아(Myocastor coypus)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외래종들은 국제화물 운송과정에서 다양한 경로를 통해 비의도적으로 유입되거나 식용 또는 모피와 같은 정책적ㆍ상업적 목적 등을 이유로 도입된 것들 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길지현 외. (2012). 생태계교란 생물. 국립환경과학원. 

  2. 국립환경과학원. (2013). 생태계교란 야생 동.식물. 국립환경과학원. 

  3. 국제신문. (2013). "자체별 '괴물쥐' 퇴치 한계…낙동강 하류 최고 10만 마리 추정". 12월 15일자. 

  4. 김도훈. (2014)."괴물쥐가 아니라 슬픈쥐를 보았다" 허핑턴포스트 8월18일자(http://www.huffingtonpost.kr/dohoon-kim/story_b_5505729.html, 2015년1월 10일 확인). 

  5. 동아일보. (2014a). "괴물쥐. 항문봉합 박멸?". 10월 14일자. 

  6. 동아일보. (2014b). "괴물쥐 생존 한계기온 발견…낙동강에만 98%,왜?". 10월 24일자. 

  7. 매일경제신문. (2015). "낙동강서 뉴트리아 5천800여마리 포획…수매제 효과". 1월 18일자. 

  8. 머니투데이. (2014). "뉴트리아 '가축'으로 지정했던 정부…국회 입법 대응 부심". 10월 23일자. 

  9. 수원문화저널. (2014). "괴물쥐 뉴트리아, 서울 상륙까지 133km 남았다". 9월 30일자. 

  10. 연합뉴스. (2013)."낙동강에 '괴물쥐' 뉴트리아 개체 급증…대책 시급". 12월 4일자. 

  11. 용환율. (2014). "뉴트리아로부터 습지생태환경 보호". 강원도민일보 9월 25일자. 

  12. 원주지방환경청. (2013). "충주 탄금호 일원에 괴물쥐 뉴트리아출현". 보도자료, 10월 25일자. 

  13. 위키백과. (2015). "콜롬버스의 교환" (http://ko.wikipedia.org, 2015년 1월 29일 확인). 

  14. 은수미. (2014). "멸종위기종으로 뉴트리아를 퇴치?". 보도자료, 10월 16일자. 

  15. 이도훈. (2014). "국내 서식 뉴트리아의 생태와 관리". 광역적 뉴트리아 퇴치 추진 기반 마련'을 위한 관계 기관 워크숍 발표자료. 낙동강유역환경청. 12월 11일. 

  16. 이도훈.길지현. (2013). "국내 서식하는 뉴트리아(Myocastor coypus)의 형태측정 및 비교에 관한 연구". 환경영향평가, 22(3): 241-254. 

  17. 이도훈.길지현.김동언. (2013). "뉴트리아 (Myocastor coypus)의 국내 분포 및 서식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7(3): 316-326. 

  18. 이도훈.길지현.영병국. (2012). 뉴트리아의 생태와 조절. 국립환경과학원. 

  19. 이도훈.이창우.길지현. (2013). "낙동강에 서식하는 뉴트리아(Myocastor coypus)의 식물 먹이 자원에 관한 연구". 환경영향평가, 22(5): 491-511. 

  20. 전국환경감시협회경기도본부. (2011). "뉴트리아 퇴치종". (http://cafe.daum.net/keepgreen, 2015년 1월 13일자 확인). 

  21. 조선일보. (2007). "낙동강 일대 골칫거리 뉴트리아". 5월 12일자. 

  22. 홍성원. (2014).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nutria (Myocastor coypus) in Nakdong River basin".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환경부. (2014). 제1차 외래생물 관리계획(2014-2018). 

  24. 환경부. (2009).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 자료집. 환경부. 

  25. JTBC. (2013). "청둥오리도 '꿀꺽'…낙동강, '괴물쥐' 뉴트리아에 몸살". 11월29일자. 

  26. KBS. (2013). "괴물 쥐 뉴트리아 생태계 초토화". 7월 6일. 

  27. KBS. (2013). "낙동강에 '괴물쥐' 뉴트리아 급증". 12월 4일자. 

  28. KBS. (2015). "괴물 쥐 잡아오면 수 천만원 포상금…이 방법이 최선?". 1월 21일. 

  29. WKTV. "생태계 파괴자 뉴트리아 퇴치 골물"(http://wktvusa.com/, 2015년 1월 15일 확인) 

  30. Lowe, S., Browne, M., Boudjelas, S., & De Poorter, M. (2000). 100 of the world's worst invasive alien species: a selection from the global invasive species database (p. 12). Auckland,, New Zealand: Invasive Species Specialist Group. 

  31. SBS. (2014). "괴물 쥐, 남한강 상류에서도 포획". 10월 4일자. 

  32. Carter, J., & Leonard, B. P. (2002).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e worldwide distribution, spread of, and efforts to eradicate the coypu (Myocastor coypus). Wildlife Society Bulletin, 162-175. 

  33. Carter, J., Foote, A. L., & Johnson-Randall, A. (1999). Modeling the effects of nutria (Myocastor coypus) on wetland loss. Wetlands, 19(1): 209-219. 

  34. Crosby, A. W. (2003). The Columbian exchange: biological and cultural consequences of 1492 (Vol. 2). Greenwood Publishing Group. 

  35. Jojola, S., Witmer, G., & Nolte, D. (2005). Nutria: An Invasive Rodent Pest or Valued Resource? 

  36. USDA. (2010). Nutria, an Invasive Rodent. Wildlife Services. 

  37. U.S. Geological Survey/National Wetlands Research Center. (2000). "Nutria, Eating Louisiana's Coast". (www.nwrc.usgs.gov/factshts/020-00.pdf., 2015.1.22.일 확인).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