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 뇌졸중 환자의 후유증 유무에 따른 HRQOL 요인별 중요도 분석
A Study on Health Status' Factors Affecting HRQOL in the Elderly Stroke Patients With or Without Sequela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v.7 no.1, 2017년, pp.37 - 47  

김석범 (제주한라대학교 작업치료과) ,  김동현 (김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중 후유증의 유무에 따라 건강관련 삶의질(HRQOL)에 영향을 주는 건강상태의 중요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조사하여, 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뇌졸중 환자의 후유증 유무에 따라 HRQO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의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91명을 대상으로 2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첫째, 후유증이 있는 뇌졸중 환자의 경우 없는 그룹보다 HRQOL과 주관적 건강상태가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자살 생각이 있을 위험도는 3.64였다. 둘째, 전체 그룹의 경우 주관적(${\beta}=0.39$), 정신적(${\beta}=0.29$), 의학적(${\beta}=0.23$) 건강상태가, 후유증이 있는 그룹의 경우 정신적(${\beta}=0.45$), 주관적(${\beta}=0.36$) 건강상태가, 후유증이 없는 경우 의학적(${\beta}=0.45$), 기능적(${\beta}=0.32$), 정신적(${\beta}=0.25$) 건강상태 순으로 HRQOL에 크게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추출되었다(p<0.05). 결론 : 종합하면 재활치료에 있어 뇌졸중 환자의 HRQOL 향상을 위해서는 후유증이 중증일 경우는 정신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과 자살에 대한 조기 발견 및 조기 중재가 중요하며, 후유증이 경증이거나 없는 경우에는 기능적 회복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해야 하고, 후유증 유무와 상관없이 자신의 현 상태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지를 해준다면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회복과 더불어 HRQOL을 더욱 향상시켜 최종적으로 뇌졸중 환자의 독립적 자립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a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HRQOL) in the elderly stroke patients with(Group 1) or without(Group 2) sequela. Methods : This survey performed secondary analysis with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료를 받고 있는 65세 이상 뇌졸중 환자 중 후유증이 있는 그룹과 없는 그룹으로 나누어 HRQOL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상태 요인 간 중요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3대 사망원인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3대 사망원인은 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이며, 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2000년대 73.1%에서 2015년에는 48.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삶의 질 개념 중 건강에 의해 영향을 받는 삶의 질 개념을 건강관련 삶의 질(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OL)이라 하며, HRQO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는 인구사회학적 특징(성별, 연령 등), 건강상태(의학적, 신체적, 기능적, 정시적, 주관적, 사회적)(Kim, 2014), 질 환에 대한 심리적 수용(Hackett, Duncan, Anderson, Broad & Bonita, 2000), 신체적 손상(Strum et al., 2004)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im(2015)은 65세 이상 노인 중 뇌졸중 그룹, 뇌졸중 고위험군 그룹, 대조군으로 나누어 HRQOL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구조관계 를 조사한 결과 뇌졸중 그룹의 HRQOL이 가장 낮았으며, 뇌졸중 그룹의 HRQOL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상태로 정 신적, 주관적, 의학적 건강상태 순으로 많은 영향을 준다 고 하였으며, 특히 정신적 건강상태는 주관적 건강상태 를 통해 가장 큰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노인 뇌졸중 환자의 후유증 유무에 따른 삶의 질 연구를 위한 변수들의 측정방법은 무엇이었나? 본 연구에 이용된 변수들의 측정방법은 Table 1과 같 다. HRQOL의 측정은 EQ-5D를 이용한 3점 척도로 측정 하였으며, 건강상태(의학적, 기능적, 정신적)는 각각 3문 항으로 구성된 설문문항으로 각각의 측정단위가 달라 이 를 T점수로 변환하여 사용하였으며, 주관적 건강상태는 1문항 5점 척도로 구성하였으며 T점수로 변환하여 분석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ruce, H., & Dobkin, M. D. (2003). The Clinical Science of Neurologic Rehabilitation, 2n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 Carod-Artal, F. J., Ferreira, L., Trizotto, D., & Menezes, C. (2009). Poststroke depression prevalence and determinants in Brazilian stroke patients. Cerebrovascular Disease, 28(2), 157-165. 

  3. Chung, J. H., Kim, J. B. & Kim, J. H. (2016). Suicidal ideation and attempts in patients with stroke: a population-based study. Journal of Neurology, 263(10), 2032-2038. 

  4. Hackett, M. L., Duncan, J. R., Anderson, C. S., Broad, J. B., & Bonita, R. (2000).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long-term survivors of stroke: results from Auckland Stroke Study, 1991-1992. Stroke, 31, 440-447. 

  5. Kang, E. J., Kim, D. J., Sun, W. D., Yoon, S. S. (2006). Development of Health Care System for the Elderly with Medical Expenditure Analysis.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6. Kim, H. C., Kim, S. J., Choi, N. K., Kim, Y. S., Lee, B. C., Lee, B, C. et al. (2002).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a Two-Month Follow-UP.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1(4), 681-692. 

  7. Kim, S. B. (2014).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factors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ith or without a stroke in korea. 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Daegu, Gyeongsan. 

  8. Kim, S. B. (2015).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Factors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ith or Without a Strok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3(3), 53-66. 

  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u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 Cheongju. 

  10. Kranciukaite, D., Rastenyte, D., Jureniene, K., & Sopagiene, D. (2007). Quality of life in stroke survivors. Medicina(Kaunas, Lithuania), 43(9), 736-745. 

  11. Lee, J. M. (2012). The effect of modified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for stroke patients. 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Daegu, Gyeongsan. 

  12. Naes, H., Waje-Andreassen, U., Thomassen, L., Nyland, H., & Myhr, K. M. (2006).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young adults with ischemic stroke on long-term follow-up. Stroke, 37, 1232-1236. 

  13. Patel, M. D., Tilling, K., Lawrence, E., Rudd, A. G., Wolfe, C. D. A., & Mckevitt, C. (2006). Relationships between long-term stroke disability, handicap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ge and Ageing, 35, 273-279. 

  14. Shin, H. S. (2011, Summer). Estimating the burden of diseases in korea. Health and Social Affairs Issue & Focus, 96, 1-8. 

  15. Statistics Korea. (2015. 9. 24). 2015 Statistics on the Aged. Retrieved February 24, 2017, from http://www.kostat.go.kr. 

  16. Statistics Korea. (2016. 11. 30). Causes of Death Statistics in 2016. Retrieved February 24, 2017, from http://www.kostat.go.kr. 

  17. Strum, J. W., Donnan, G. A., Dewey, H. M., Macdonell, R. L., Gilligan, A. K., Srikanth, V. et al. (2004). Quality of life. Stroke, 35, 2340-234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