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구조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Quality of Life in Stroke Survivor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0 no.4, 2010년, pp.533 - 541  

서민희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최스미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the quality of life of stroke survivors in order to provide guidelines for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and strategie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patients who visited the neu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아직까지 뇌졸중 후 발생하는 이러한 생행동적 변화 들을 포함하여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여러 요인들 간의 관계를 포괄적으로 규명하거나 요인간의 직∙간접적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발병 1년 후의 기능적 의존도, 사회적 지지, 영양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우울, 피로, 수면 장애및 통증을 포함하는 뇌졸중 후 생행동적 변화를 조사하여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기능적 의존도, 사회적 지지, 영양상태, 생행동적 변화 요인들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 간접적 경로를 파악하고자 한다.
  • , 2006) 이 변수들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포괄적으로 조사한 연구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뇌졸중 후 우울, 피로, 수면 장애, 뇌졸중 후 통증을 뇌졸중 후 발생하는 생행동적 변수로 정의하고 이러한 생행동적 변화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와 정도를 분석하였다. 일차적으로 생행동적 요인에 대해 각각 확인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우울, 피로, 수면, 통증이 모두 .
  • 따라서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발병 1년 후의 기능적 의존도, 사회적 지지, 영양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우울, 피로, 수면 장애및 통증을 포함하는 뇌졸중 후 생행동적 변화를 조사하여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기능적 의존도, 사회적 지지, 영양상태, 생행동적 변화 요인들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 간접적 경로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뇌졸중 환자의 회복을 예측하고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전략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뇌졸중 발병 1년후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삶의 질 모형을 구축한 후 요인 간의 직접적, 간접적 경로를 확인하기 위한 탐색적 구조모형 연구이다.
  • 이상으로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각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 간접적 경로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뇌졸중 환자의 영양 상태, 뇌졸중 후 생행동적 변화가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규명한 점,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포괄적으로 조사한 점에서 선행연구들과 차별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행동적 변화란? 생행동적 변화란 질병에 대한 개인의 반응으로서 생물학적, 심리사회적 근거를 가지는 행동적 변화를 말한다(UNC Biobehavioral laboratory, 2008). 본 연구에서 뇌졸중 후 생행동적 변화는 뇌졸중 후 발생하는 우울, 피로, 수면, 통증을 포함하였다.
뇌졸중 후 통증이란? 본 연구에서 뇌졸중 후 통증이란 뇌졸중 후 발생한 이상감각 (paresthesia)과 신경성 통증(neuropathic pain), 어깨의 통증으로 정의한다(Klit, Finnerup, & Jensen, 2009). 통증의 강도는 환자가 지각한 신경성 통증과 어깨 통증을 각각 0-10점의 점수로 측정하여 합산한 점수를 말하며 0-20점까지 분포하고 점수가 높을수록 통증이 심한 것을 의미한다.
뇌졸중 환자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장애는 발병후 시간 경과에 따라 장애 정도가 다양하며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또한 다를 수 있다. 시간 경과에 따른 장애 보고는 내용은? 그러나 뇌졸중 환자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장애는 발병후 시간 경과에 따라 장애 정도가 다양하며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또한 다를 수 있다. 뇌졸중의 기능 장애는 일반적으로 발병 1년 후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반면(Skilbeck, Wade Hewer, & Wood, 1983) 뇌졸중 후 우울은 발병 후 3-6개월후 발생 빈도가 가장 높으며, 1년 정도가 지난 시점에서는 지속되거나(Lee, 2006) 약간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Whyte & Mulsant, 2002). 뇌졸중 후 통증 역시 발병 후 1년경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며 뇌졸중 후 피로는 발병 후 1년에 가장 심하고 흔히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Van de Port, Kwakkel, Schepers, Heinemans, & Lindeman, 2007). 따라서 뇌졸중 발병 1년 후에는 대부분의 신체적 회복이 이루어진다고는 하나 뇌졸중 후 우울, 통증, 피로 등의 합병증이 흔히 나타나므로 발병 후 1년의 시점에서 뇌졸중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인 회복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인 삶의 질을 총체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lves de Rezende, C. H., Coelho, L. M., Oliveira, L. M., & Penha, S. N. (2009). Dependence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ores on age, nutritional status, and haematologic variables in elderly institutionalized patients. Th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Aging, 13, 617-621. 

  2. Carod-Artal, F. J., & Egido, J. A. (2009).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The importance of a good recovery. Cerebrovascular Disease, 27, 204-214. 

  3. Carod-Artal, F. J., Ferreira Coral, L., Trizotto, D. S., & Menezes Moreira, C. (2009). Poststroke depression: Prevalence and determinants in Brazilian stroke patients. Cerebrovascular Disease, 28, 157-165. 

  4. Carod-Artal, J., Egido, A., Gonz?lez, L., & Varela de Seijas, E. (2000). Quality of life among stroke survivors evaluated 1 year after stroke. Stroke, 31, 2995-3000. 

  5. Chang, S., Park, Y., & Youn, J. (2003). Study on relations of variables- attributions of somatic symptoms, fatigue, chronic pain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ic of Nursing, 33, 26-33. 

  6. Choi-Kwon, S., Choi, J., Kwon, S., Kang, D., & Kim, J. (2006).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at 3 year post-stroke. Journal of Clinical Neurology, 2, 34-41. 

  7. Choi-Kwon, S., Han, S., Kwon, S., & Kim, J. (2005). Poststroke fatigu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ctors. Cerebrovascular Disease, 19, 84-90. 

  8. Choi-Kwon, S., Kim, H., Kwon, S., & Kim, J. (2005). Factors affecting the burden on caregivers of stroke survivors in South Korea.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6, 1043-1048. 

  9. Gonzales, R. (1995). Central pain: Diagnosis and treatment strategies. Neurology, 45(12 Suppl 9), S11-16. 

  10. Guigoz, Y., Vellas, B., & Garry, P. (1996). Assessing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The mini nutritional assessment as part of the geriatric evaluation. Nutrition reviews, 54, S59-65. 

  11. Kim, E., & Lee, J. (2009).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ho visited a senior center: With activity of daily living, quality of sleep and depression. Th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 425-440. 

  12. Kim, H., & Park, Y. (2003). A study on life style, functional condition, depress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stroke patient at hom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Association, 29, 127-139. 

  13. Kim, I., Seo, M., Kim, K., & Cho, N.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upport and post-stroke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Rehabilitation Nursing, 2, 206-214. 

  14. Kim, J. (2005). Post-stroke depression, anxiety, emotional incontinence, anger proness and fatigue. Journal of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3, 1-8. 

  15. Kim, J., & Choi-Kwon, S. (2000). Poststroke depression and emotional incontinence: Correlation with lesion location. Neurology, 54, 1805-1810. 

  16. Kim, J., Kang, H., Kim, W., Wang, M., & Chang, C. (2006).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 at hom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Rehabilitation Nursing, 9, 49-55. 

  17. Klit, H., Finnerup, N., & Jensen, T. (2009). Central post-stroke pain: Clinical characteristics, pathophysiology, and management. Lancet Neurology, 8, 857-868 

  18. Kohatsu, W. (2005). Nutrition and depression. Explore, 1, 474-476. 

  19. Lee, H. (2006). Adjustment of middle-aged people with hemiplegia after strok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 Lee, H., & Lim, J. (2009)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AMOS 16.0. Seoul: Bupmoonsa. 

  21. Lee, M., Choh, A., Demerath, E., Knutson, K., Duren, D., Sherwood, R., et al. (2009). Sleep disturbance in relation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dults: The Fels Longitudinal Study. Th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 Aging, 13, 576-583. 

  22. Lee, S., & Chung, H. (2003). Brain neurologic disorder and depression in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7, 131-142. 

  23. Leppavuori, A., Pohjasvaara, T., Kaste, M., & Erkinjuntti, T. (2002). Insomnia in ischemic stroke patients. Cerebrovascular Disease, 14, 90-97. 

  24. Lim, S. (2002). Structural model for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25. Mitchell, P., Powell, L, Blumenthal, J., Norten, J., Ironson, G., Pitula, C., et al. (2003). A short social support measure for patients recovering from myocardial infarction: The ENRICHD Social Support Inventory. Journal of Cardiopulmonary Rehabilitation, 23, 398-403. 

  26. Park, J., & Kwon, Y. (1989)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Journal of Neuropsychiatry Association, 28, 508-513. 

  27. Skilbeck, C., Wade, D., Hewer, R., & Wood, V. (1983). Recovery after stroke.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46, 5-8. 

  28. Snyder-Halpern, R., & Verran, J. (1987). Instrumentation to describe subjective sleep characteristics in healthy subject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0, 155-163. 

  29. So, W., Marsh, G., Ling, W., Leung, F., Lo, J., Yeung, M., et al. (2009). The symptom cluster of fatigue, pain, anxiety and depression and th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of women receiving treatment for breast cancer: A multicenter study. Oncology Nursing Forum, 36, E205-E214. 

  30. Staub, F., & Bogousslavsky, S. (2001). Post-stroke depression or fatigue? European Neurology, 45, 3-5. 

  31. Sterr, A., Herron, K., Dijk, D., & Ellis, J. (2008). Time to wakeup: Sleep problems and daytime sleepiness in long-term stroke survivors. Brain Injury, 22, 575-579. 

  32. Suh, M., & Choi-Kwon, S. (2009). Sleep-wake disturbance in post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1, 23-31. 

  33. UNC Biobehavioral laboratory. (2008). School of Nursing.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from http://nursing.unc.edu/departments/research/bbl/index.html 

  34. Van de Port, I., Kwakkel, G., Schepers, V., Heinemans, C., & Lindeman, E. (2007). Is fatigue an independent factor associated wi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ronic stroke? Cerebrovascular Disease, 23, 40-45. 

  35. Whyte, E., & Mulsant, B. (2002). Post stroke depression: Epidemiology, pathophysiology and biological treatment. Biological psychiatry, 52, 253-264. 

  36. Williams, L., Weinberger, M., Harris, L., Clark, D., & Biller, J. (1999). Development of a stroke-specific quality of life scale. Stroke, 30, 1362-1369. 

  37. Winward, C., Sackley, C., Metha, Z., & Rothwell, P. (2009). A population- based study of the prevalence of fatigue after transient ischemic attack and minor stroke. Stroke, 40, 757-7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