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비명상이 대학생들의 마음챙김, 회복 탄력성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oving-Kindness Meditation Intervention with Tea on the Mindfulness, Resilience, and Stress of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4, 2017년, pp.75 - 85  

김정근 ((주)글로벌비즈니스코칭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자비명상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마음챙김, 회복 탄력성,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은 C지역의 N대학에서 교양과정에 등록한 30명을 추첨을 통하여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에 각각 15명씩 무선할당하였다. 실험집단 참여자는 매주 1회씩 80분 동안 10주에 걸쳐 10회기의 자비명상 프로그램 참여하였다. 마음챙김, 회복 탄력성 및 스트레스 수준을 사전, 사후, 추후에 각각 측정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 참여자들은 통제집단의 참여자들보다 마음챙김 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회복 탄력성 전체 점수 및 하위요인인 통제성, 낙관성 및 사회성에서도 유의미한 수준의 차이가 나타났다. 스트레스 수준 또한 전체 점수 및 긴장, 공격성, 신체화, 화, 우울, 피로, 좌절의 각 하위척도에서도 유의미한 수준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자비명상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마음챙김, 회복 탄력성, 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자비명상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의 마음챙김 능력을 함양하고,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고,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대안적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한계점과 향후 후속연구에서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loving-kindness meditation intervention on the mindfulness, resilience and stress of college students. Thirty students not receiving any training in meditation intervention were randomly divided into meditation (15 subjects) and control (15 subjects)groups.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스트레스 상황을 관리하고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스킬과 역량을 개발하는 것은 대학생활뿐만 아니라 향후 건강한 사회인으로 기능하기 위한 핵심적인 역량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자비명상을 통하여 자신의 내면을 좀 더 명료하고 생생하게 인식할 수 있고 어떠한 역경에서도 회복할 수 있는 탄력성을 개발함으로써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실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높다 하겠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비명상이 대학생들의 마음챙김이나 회복 탄력성에 미치는 관계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비명상 수행이 대학생들의 마음챙김과 회복 탄력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요인이 스트레스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자비명상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마음챙김 수준, 회복탄력성 및 스트레스 수준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본 프로그램은 김귀원[33]이 개발한 차명상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본 연구를 위한 자비명상으로 수정․보완하였다. 본 자비명상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의 마음챙김을 개발하고 회복 탄력성 증진과 스트레스 완화가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명상을 기반으로 하여 심리교육, 토론 및 경험일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1: 자비명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과 미참여 집단 간에 마음챙김 수준은 사전, 사후 및 추후 시점에 유의미한 수준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2: 자비명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과 미참여 집단 간에 회복 탄력성 수준은 사전, 사후 및 추후 시점에 따라 유의미한 수준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3: 자비명상 프로그램에 참여집단과 미참여 집단 간에 스트레스 수준은 사전, 사후 및 추후 시점에 따라 유의미한 수준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3: 자비명상이 대학생들이 스트레스 수준을 감소시킬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먼저 스트레스 전체수준에서 사후, F(1, 19)=11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명상은 어떠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는가? 명상은 신체적 및 심리적 질병 치유, 스트레스 해소와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대안으로 활용되고 있다.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다양한 프로그램(MBSR, MBCT,DBT, ACT, CFT 등)개발되어 임상장면에 적용하고 있다[9].
스트레스 대응(coping)은 무엇인가?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자신의 개인적, 사회적 및 학업적 생활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하지만, 그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수준, 유형 및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방법은상이하다. 스트레스 대응(coping)은 스트레스 사건이나 환경에 대응하는데 있어서 정서, 인지, 행동, 신체 및 환경을 조절하기 위한 의식적 노력으로 정의하고, 자기-조절 과정(self-regulation process)이 수반된다[4]. Lazarus와 Folkman[5]에 따르면 스트레스 유발 요인에 대처하는 방식이 개인의 성격이나 기질적인 특성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주장하면서 스트레스 대처 방식을 문제 중심적 및 정서 중심적 대처행동으로 분류하였다.
자비명상의 효과의 예는 무엇이 있는가? 자비명상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양한 효과성이 보고되고 있다. 예를 들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분노와 심리적 스트레스의 감소[18], 정신질환자의 우울, 불안,수치심, 열등감의 해소에 효과적이며[19], 건강한 성인의 삶의 만족도을 증진하고 우을증을 감소시키며[17,20], 심리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개선효과는 마음챙김 수준에 바탕하고 있는 것으로나타나고 있다[18, 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M. J. Keum., H. J. Nam. "College Freshmen's Expectations about College Life and Their Mental Health Status", J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vol. 31, no. 1, pp. 105-127, 2010. 

  2. C. K. Ra., C. J. Lee., J. Y. Seo,, J. H. Choi,, M. S. You. "Factors Affecting Suicide Ide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30, no. 1, pp. 1-11, 2013. DOI: https://doi.org/10.14367/kjhep.2013.30.1.001 

  3. E. H. Lee, & Y. J. Cho. "Psychological process of adolescents' suicide : the protec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problem-solving ability", Korean Journal of Social Issues, vol. 16, no. 3, pp. 105-143, 2008. 

  4. Bruce, E. Compas, Jennifer, K. Connor-Smith, Heidi Saltzman, Alexandra Harding Thomsen, Martha E. Wadsworth. "Coping With Stress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Problems, Progress, and Potential in Theory and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vol. 127, no. 1, pp. 87-127, 2001. DOI: https://doi.org/10.1037/0033-2909.127.1.87 

  5. Lazarus, R. S., & Folkman,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1984. 

  6. C. L. Park, & Folkman, S. "Meaning in the context of stress and coping", General Review of Psychology, 1, pp. 115-144. 1997. DOI: https://doi.org/10.1037/1089-2680.1.2.115 

  7. Pearlin, L. I., "The study of coping: An overview of problems and directions". In J. Eckenrode (Ed.), The social context of coping. pp. 261-276. New York, NY: Plenum, 1991. DOI: https://doi.org/10.1007/978-1-4899-3740-7_12 

  8. Clancy, B. "Stress and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in Context", Child Dev Perspect, vol. 4, vol. 3, pp. 181-188, 2010. 

  9. Shian-Ling Kenga, Moria J. Smoskib, and Clive J. Robins, "Effects of Mindfulness on Psychological Health: A Review of Empirical Studies", Clin Psychol Rev. vol. 31, vol. 6, pp. 1041-1056, 2011. 

  10. Kabat-Zinn J.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in context:Past, present, and future",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10, pp. 144-156, 2003. DOI: https://doi.org/10.1093/clipsy.bpg016 

  11. Brown K. W, Ryan R M, Creswell J. D. "Mindfulness: Theoretical foundations and evidence for its salutary effects", Psychological Inquiry. 18, pp. 211-237, 2007. DOI: https://doi.org/10.1080/10478400701598298 

  12. Shapiro, S. L, Astin, J. A., Bishop, S. R, Cordova, M.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Results from a randomized t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vol. 12, pp. 164-176, 2005. DOI: https://doi.org/10.1037/1072-5245.12.2.164 

  13. H. J. Ha, S. M. Kwon. "Suggestions for psychotherapeutic application of mindfulness meditation", BUL GYO HAK BO 56, pp. 241-271, 2010. 

  14. J. H. Jang., W. S. Gim. "The Effects of Short-term Loving-Kindness & Compassion Meditation on Compassionate Love, Four Immeasurables and Altruism",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vol. 20, no. 2, pp. 89-105, 2014. 

  15. Hofmann, Stefan G. Grossman, Paul, Hinton, Devon E.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Potential for psychological interventions",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 31, no. 7, pp. 1126-1132, 2011. DOI: https://doi.org/10.1016/j.cpr.2011.07.003 

  16. W. S. Gim, D. H. Park, K. H. Shim, "Self-Compassion, Other-Compassion, Mindfulness, and Quality of Life: Comparing Alternative Causal Model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20, no. 3, pp. 605-621, 2015. DOI: https://doi.org/10.17315/kjhp.2015.20.3.007 

  17. S. R. Park, H. J. Lee, "The Effectiveness of the Self-compassion Enhancement Program",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 27, no. 3, pp. 583-611, 2015. DOI: https://doi.org/10.23844/kjcp.2015.08.27.3.583 

  18. Carson, J. W., Keefe, F. J., Lynch, T. R., Carson, K. M., Goli, V., Fras, A. M., & Thorp, S. R. "Loving-kindness meditation for chronic low back pain: Results from a pilot trial", Journal of Holistic Nursing, 23, pp. 287-304, 2005. DOI: https://doi.org/10.1177/0898010105277651 

  19. Gilbert. P., Procter, S. "Compassionate mind training for people with high shame and self-criticism: Overview and pilot study of a group therapy approach", Clinical Psychology & Psychotherapy, 13, pp. 353-379, 2006. 

  20. Fredrickson, B. L., Cohn, M. A., Coffey, K. A., Pek, J., & Finkel, S. M., "Open hearts build lives: Positive emotions, induced through loving-kindness meditation, build consequential personal resour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5, pp. 1045-1061. 2008. 

  21. Dusana Dorjee, "Defining Contemplative Science: The Metacognitive Self-Regulatory Capacity of the Mind, Context of Meditation Practice and Modes of Existential Awareness", Front. Psychol., 17, 2016. DOI: https://doi.org/10.3389/fpsyg.2016.01788 

  22. Walsh, F.,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2nd ed.). New York: Guilford Press. 2006. 

  23. Campbell-Sills, L., Cohan, S. L., & Stein, M. B., "Relationship of resilience to personality, coping, and psychiatric symptoms in young adults",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44, pp. 585-599, 2006. DOI: https://doi.org/10.1016/j.brat.2005.05.001 

  24. Shapiro E. "Chronic illness as a family process: a social-developmental approach to promoting resilience", J Clin Psychol, vol. 17, no. 11. pp. 832-838, 2002. DOI: https://doi.org/10.1002/jclp.10085 

  25. Aileen M. Pidgeon, Michelle Key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University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Liberal Arts and Social Science, vol. 2, no. 5, pp. 27-32, 2014. 

  26. H. S. Lee,, Brown, S. L., Mitchell, M. M., & Schiraldi, G. R., "Correlates of resilience in the face of adversity for Korean women immigrating to the US", Journal of Immigrant and Minority Health, 10, pp. 415-422. 2008. DOI: https://doi.org/10.1007/s10903-007-9104-4 

  27. Stewart Collins, "Social workers, resilience, positive emotions and optimism", Practice, vol. 19, no. 4, 2007. DOI: https://doi.org/10.1080/09503150701728186 

  28. Tianqiang Hu, Dajun Zhang, Jinliang Wang, "A meta-analysis of the trait resilience and mental health",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76, pp. 18-27, 2015. DOI: https://doi.org/10.1016/j.paid.2014.11.039 

  29. W. S. Lee, Influence of Tea-Meditation on Mental Health, 2006. 

  30. M. H. Shin, Tea-Education Effects Through Blended-Learning and Image-Learning, 2008. 

  31. S. Y. Jeon, The Effect of Meditation with Teaism as Treatment for Mind, 2008. 

  32. J. H. Lee, A study on the Role and Application of Tea Therapy, 2007. 

  33. G. W. Kim, The effects of tea meditation program on mindfulness,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with depression, Unpublished Thesis, Kyungsung University. 2012. DOI: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34. Lawshe,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vol. 28, pp. 563-575, 1975. 

  35. Brown, K. W., & Ryan, R. M, "Then being present: mindfulness and its role i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84, pp. 822-848, 2003.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84.4.822 

  36. J. H. Jeon., W. K. Lee., S. J. Lee., & W. H. Lee. "A Pilot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Attention Awareness Scale",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6, no. 1, pp. 201-212, 2007. DOI: https://doi.org/10.15842/kjcp.2007.26.1.012 

  37. K. B. Koh, J. K. Park, C. H. Kim. "Development of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39, no. 4, pp. 707-719, 2000. 

  38. W. Y. Shin, M. G. Kim, J. H.Kim, "Developing Measures of Resilience for Korean Adolescents and Testing Cros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Studies on Korean Youth, vol. 20, no. 4, pp. 105-131, 2009. 

  39.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1988. 

  40. Kathryn Birnie, Michael Speca, "Exploring self-compassion and empathy in the context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Stress and Health, vol. 26, no. 5, pp. 359-371, 2010. DOI: https://doi.org/10.1002/smi.1305 

  41. W. K. Lee., S. J. Ju, "The relationship of short-term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me ditation and the emotional well-being among middle aged female students in cyber university; pilot stud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6, pp. 3714-3724, 2014. DOI: http://doi.org/10.5762/KAIS.2014.15.6.3714 

  42. W. S. Gim., K. H. Shin., K. l. Kim.,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he Effects of Two Meditation Methods: Comparing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with Mindfulness Medita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19, no. 2, pp. 509-531, 2014. DOI: https://doi.org/10.17315/kjhp.2014.19.2.004 

  43. Aileen M. Pidgeon, Lucas Ford, Frances Klaassen,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enhancing resilience in human service professionals using a retreat-based Mindfulness with Metta Training Program: A randomized control trial", Psychology, Health & Medicine, vol. 19, no. 3, pp. 1-10, 2013. 

  44. Fredrickson, B. L.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Phil. Trans. R. Soc. Lond. B, pp. 1367-1377, 2004. DOI: https://doi.org/10.1098/rstb.2004.1512 

  45. Hutcherson, C., Seppala, E., & Gross, J. "Loving-kindness meditation increases social connectedness", Emotion, vol. 8, no. 5, pp. 720-724, 2008. DOI: https://doi.org/10.1037/a0013237 

  46. Thomas, J. & Otis, M.. "Intrapsychic correlates of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Mindfulness, empathy, and emotional separation", Journal of the Society for Social Work and Research, vol. 1, no. 2, pp. 83-98, 2010. DOI: https://doi.org/10.5243/jsswr.2010.7 

  47. Csaszar, I., Curry, J., "Loving Kindness Meditation: A Promising Practice for Reducing Stress and Increasing Empathy", ACA VISTAS, 86, pp. 1-11, 2013. 

  48. E. L. Garland., S. A. Gaylord, B. L Fredrickson, "Positive reappraisal mediates the stress-reductive effects of mindfulness: An upward spiral process", Mindfulness. vol. 2, no. 1, pp. 59-67, 2011. DOI: https://doi.org/10.1007/s12671-011-0043-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