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술사업화 활동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업으로 이전된 공공연구기관의 기초·원천기술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ctivities on the Business Performance: Case study of basic science and technology of public research institutes transferred to enterpris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4, 2017년, pp.418 - 427  

정명선 (목원대학교 지식재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서는 주력 산업의 지속적인 경쟁력 확보, 고부가가치의 미래 신산업을 창출할 수 있는 세계 일류 기술의 발굴 및 지원이 요구됨에 따라 기초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기업이 기초연구의 결과물을 활용하여 사업화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것은 기초연구 결과를 사업화하기 위한 경험 및 관련 활동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초 원천 연구의 기술사업화 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는데, 기술사업화 활동의 유형을 기술사업화 추진경험, 기술사업화 전담부서, 기술사업화 컨설팅으로 구분하였으며, 기술혁신 활동, 기술혁신 역량을 세분화 한 분석모형을 개발하고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술사업화 활동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기술사업화 활동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술혁신 활동의 경우도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어 기업의 전략적 요소로 그 역할을 파악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술혁신 역량은 경영성과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어 전략적인 연구개발 인프라의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interest in basic research is growing, in order to ensure the sustainable competitiveness of the main industries and to support world-class technology that can create high added value in the future. However, companies are known to encounter various problems when attempting to market produ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기초원천연구의 결과물을 활용하여 기술사업화 활동을 진행할 경우 나타나는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술사업화 활동은 기술사업화 추진경험, 기술사업화 전담부서, 기술사업화 컨설팅으로 구분하여 유형화할 수 있었으며, 경영성과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는 기술혁신 활동과 기술혁신 역량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술사업화 활동의 유형을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경험, 기술사업화를 추진하기 위한 전담부서, 기술사업화를 위한 컨설팅 경험으로 분류할 것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효과를 실증분석 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활용한 데이터는 추적조사 방법을 통해 수집된 자료들이므로 기업의 경영성과를 충분히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가설 설정

  • [H 1] 기술사업화 추진경험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 2] 기술사업화 전담부서는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 3] 기술사업화 컨설팅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 4] R&D투자는 경영성과에 긍정적인(+)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 5] 공동연구 참여는 경영성과에 긍정적인(+)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 7] 기업부설연구소 보유는 경영성과에 긍정적인(+)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 8] 연구원 비중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그리고 기술사업화와 관련된 주요 변수로서 기술혁신 활동을 포함시켰는데, R&D투자와 공동연구의 참여 여부를 활용하여 가정하였다. 기초·원천 기술의 특성상 이전된 기술이 바로 사업화 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이 일부 상용화 기술개발(R&BD) 활동을 추진한 다음 나타나는 효과이므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초연구는 어떤 활동인가? 최근 국내에서는 주력산업의 지속적인 경쟁력 확보와 고부가가치의 미래 신산업을 창출할 수 있는 세계 일류 기술의 발굴 및 지원이 요구되면서 기초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기초연구의 기술사업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기초연구는 기초과학 또는 기초과학과 공학·의학·농학 등과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이론과 지식 등을 창출하는 연구 활동으로[1], 독창적인 기술이면서 지속적으로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하고 다양한 기술 분야에 응용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파급효과가 매우 큰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기업은 기초연구 결과물을 활용하여 사업화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는데[2], 이것은 기업의 기술사업화 활동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기업에서 기초연구 결과물을 활용하여 사업화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문제점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기초연구는 기초과학 또는 기초과학과 공학·의학·농학 등과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이론과 지식 등을 창출하는 연구 활동으로[1], 독창적인 기술이면서 지속적으로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하고 다양한 기술 분야에 응용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파급효과가 매우 큰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기업은 기초연구 결과물을 활용하여 사업화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는데[2], 이것은 기업의 기술사업화 활동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기술사업화 활동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다양한 의견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기술사업화 역량을 유형화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다양한 형태의 기술사업화 활동을 추진한다고 하더라도 그 유형에 따른 효과가 검증되지 않고 있어 기술사업화 활동의 분류는 쉽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기술사업화의 활동 유형 중 기술사업화 전담조직은 무엇인가? 먼저 기술사업화 전담조직은 기업이 기술사업화를 위 해 구성한 별도의 조직으로, 최근 많은 기업들이 성공적인 기술사업화를 운영하기 위해 사업화 전문인력으로 이루어진 전담조직을 구축하고 있다. 기술사업화 전담조직은 일반적으로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Powers(2003)은 기술이전 조직의 역사가 오래될수록, 그리고 인력의 규모가 클수록 기술이전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하였고[11], 옥주영·김병근(2009)은 기술이전 전담인력 규모가 크면 기술이전 건수 및 기술이전료 수입이 증가하는 것으로 밝혔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OECD, Frascati Manual, OECD Directorate for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2002. 

  2. S. R. JO, A Study on the Systemic Diffusion Programs of R&D Outputs to Promote Open Innovatio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10. 

  3. Y. J. Kim, An Analysis on Factors Influencing the Diffusion/Use of Public Basic Research Outputs and Its Supporting Policy,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2012. 

  4. Basic Science Research Promotion Act, no. 8852. Act, 29. 2. 2008. 

  5. S. J. Oh, Policy for Advancement of Basic Research for the 21st Century, Ministry of Science & Technology, 2015. 

  6. D. H. No, Y. K. Jung, H. Y. Park, "An Analysis on the Relative Importance Evaluation of SMEs.Ventur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roblems Using AHP",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vol. 11, no. 1, pp. 1-12, 2016. DOI: https://doi.org/10.16972/apjbve.11.1.201602.1 

  7. Y. D. Le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trategy and System, Seoul: Doonam Press, 2014. 

  8. W. Mitchell, K. Singh, "Survival of Business Using Collaborative Relationships to Commercialize Complex Good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17, no. 3, pp. 169-195, 1996. DOI: https://doi.org/10.1002/(SICI)1097-0266(199603) 17:3 3.0.CO;2-# 

  9. V. K. Jolly, Commercializing New Technologies, Bost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7. 

  10. B. Ku, "Derivation and Empirical Analysis of Critical Factors that Facilitat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of research Outcome",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erprenership, vol. 9, no. 5, pp. 69-81, 2014. DOI: https://doi.org/10.1353/jhe.2003.0005 

  11. J. B. Powers, "Commercializing academic research: Resource effects on performance of university technology transfer",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vol. 74, no. 1, pp. 26-50, 2013. 

  12. J. Y. Ok, B. K. Kim,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Transfer Activities of the Public Research",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 17, no. 2, pp. 131-158, 2009. 

  13. H. Y. Jeon, Study of the impact factors strengthening the university-industry research collaboration in open Innovation, SungKyunKwan Univ. MD. dissertation, 2010. 

  14. H. J. Jo, "A Study on the Performance Factor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Universities in Korea in Terms of the Resources-based View", The Journal of Intellectual Property, vol. 7, no. 3, pp. 217-245, 2012. 

  15. J. B. Park, The actual conditions and development project on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 Korea, Issue Paper 2008-233,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 2008. 

  16. Y. D. Lee, "Success Factors of Commercialization in IT Technology",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 12, no. 3, pp. 259-276, 2004. 

  17. Y. J. Kim,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University's Technology-based Startups And Supporting Policy,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2014. 

  18. W. Baer, C. J. Conover, C. Cook, P. Fleischauer, B. Goeller, W. Hederman, J. Wirt, Analysis of federally funded demonstration projects: supporting case studies(vol. 1927, no. DOC). RAND Corp., Santa Monica, CA(USA), 1976. 

  19. N. B. McEachron, Management of Federal R&D for Commercialization : Executive Summary and Final Report. SRI International, 1978. 

  20. R. Radosevich, G. S. Smith, "A model for entrepreneurship infrastructure development in the creation of technopolis", in J. B. Sedaitis, ed. Center for International Security and Arms Control, Rowman & Littlefield Pub, pp. 95-118, 1996. 

  21. R. Nelson, R. Levin, "The influence of science, university, research and technical societies on industrial R&D and technical advance", Policy Discussion Paper Series 3, Tale University, 1986. 

  22. B. Thuriaux, E. Arnold, RCN Divisional Reviews. Brighton, Technopolis, 2001. 

  23. E. Mansfield, "Academic research and industrial innovation", Research policy, vol. 20, no. 1, pp. 1-12, 1991. DOI: https://doi.org/10.1016/0048-7333(91)90080-A 

  24. A. B. Jaffe, "Characterizing the "technological position" of firms, with application to quantifying technological opportunity and research spillovers", Research Policy, vol. 18, no. 2, pp. 87-97, 1989. DOI: https://doi.org/10.1016/0048-7333(89)90007-3 

  25. B. R. Martin, D. Hicks, A. Salter,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ly funded basic research and economic performance: a SPRU review, Science Policy Research Unit, University of Sussex, 1996. 

  26. W. S. Lee, M. Y. Park, B. H Kim, The Analysis of the Investment Outcomes and the Economic Effect on the Basic Research,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2014. 

  27. Y. K. Park, Study of successful technology transfer & commercialization methods, SungKyunKwan Univ. MD.dissertation, 2010. 

  28. I. K. Jeon,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Performance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in the Aerospace Field, ChungNam Univ. MD. dissertation, 2014. 

  29. T. Y. Shin, J. K. Song, W. S. Lee, C. W. Song, H. H. Kim, S, J, Son, The Determinant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Policy Implication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2006. 

  30. Deru, M., Griffith, B., & Torcellini, P. Establishing benchmarks for DOE commercial building R&D and program evaluation. ACEEE Summer Study, Pacific Grove, California, 2006. 

  31. Y. J. Kim, "Technological Collaboration Linkages and the Innovation Output in Small and Medium-sized Firms: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Absorptive Capacity", Korean Managemnet Review, vol. 34, no. 5, pp. 1365-1390, 2005. 

  32. S. M. Hong, C. G. Min, K. B. Park, H. J. Kim, J. I. Hong, S. K. Hwang, C. K. Che, H. N. Kim, How to Create More Jobs Through Innovation Activitie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2010. 

  33. H. M. Yang, The technology support plan by the SME types, Technovalue, 2007. 

  34. J. K. Shin, Y. E. Choi, "R&D Effort and Technology Innovation in the SMEs",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vol. 15, no. 1, pp. 119-132, 2008. 

  35. K. N. Kang, Y. S. Lee, "Determinant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small firms of Korea Biotechnology Industry",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vol. 19, no. 4, pp. 1723-1740, 2006. 

  36. D. N. Gujarati, D. Porter. Basic Econometrics , Mc Graw-Hill International Edition, 2009. 

  37. A. Agresti, "Logit models for multinomial responses", Categorical Data Analysis, Second Edition, pp. 267-313, 2003. 

  38. C. A. Mertler, A. Vannatta. Rachel, Advanced and multivariate statistical methods, Routledge, 2001. 

  39. G. H. Dunteman, M. H. R. Ho, "An introduction to generalized linear models", Chapman and Hall, 2006. DOI: https://doi.org/10.4135/97814129832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