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iO2의 첨가를 통한 Polyfluorene계 Polymer-OLED의 발광 동작 개선 가능성
Improved On-off Property of SiO2 Embedded Polyfluorene Polymer-OLED 원문보기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Journal of the semiconductor & display technology, v.16 no.1, 2017년, pp.40 - 44  

전병주 (부경대학교 과학기술융합전문대학원 LED융합공학) ,  김효준 (부경대학교 융합디스플레이공학과) ,  김종수 (부경대학교 과학기술융합전문대학원 LED융합공학) ,  정용석 (부경대학교 융합디스플레이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weak dielectric silicone dioxide($SiO_2$) embedded in polyfluorene(PFO) emitting layer of polymer-based multi structure OLED was investigated. Indium tin oxide(ITO)/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sulfonate) (PEDOT:PSS)/poly(9,9-di-n-octylfluorenyl-2,7-diyl)(P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PFO발광층 내에 분산된 SiO2를 가지는 ITO/PEDOT:PSS/PFO:SiO2/TPBi/Al 양극성 다층구조의 OLED 소자를 제작하여 불순물의 분산이 소자의 동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았다. SiO2의 첨가를 통해 최대 9배의 전류밀도와 6배의 발광세기, blue-green 대역의 비율증가를 이끌어냈다.
  • 아울러 표면반사 이외의 광학적인 특징을 보이지 않는 순수한 강유전체인 BaTiO3를 사용한 선행연구에서 BaTiO3는 소자의 J-V 특성 개선 및 green으로의 down-conversion 효과를 보였다[9].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유전체인 BaTiO3와 대비되는 약유전체인 silicone dioxide(SiO2)를 사용하여 약유전체가 소자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장점은 무엇인가?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OLED)는 현재 디스플레이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LCD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른 응답속도와 높은 색재현율, 초박형의 두께 및 저렴한 비용 등 다양한 장점이 있어 차세대디스플레이로 주목 받고 있다[1,2]. 이와 더불어 전도성 고분자로 잘 알려진 polyfluorene(PFO)은 간단한 분자구조와 청색발광을 할 수 있는 넓은 밴드갭(~3.
유기전계발광소자(OLED)가 발광하는 과정은 무엇인가? 특히 이와 같은 전도성 고분자를 사용한 OLED는 재료의 특성상 습식 공정에 유리하고, 다양한 형태의 고분자를 화학적 합성을 통해 만들어낼 수 있기에 향후 많은 분야에서의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OLED는 발광층을 중심으로 양단의 두 전극으로부터 주입되는 전자와 정공이 발광층 내에서 서로 재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다시 붕괴되는 과정을 통해 발광하는 원리를 지닌 소자이다. 그렇기에 OLED는 동작에 있어서 전자와 정공이 잘 주입되어야 하는 전류구동의 특징이 매우 중요하며, 이와 더불어 발광하는 빛의 추출 역시 중요한 요소이다.
발광하는 빛의 추출을 증대시키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나? 발광층과 전극사이에 전하주입층을 추가하여 계면에서의 전위장벽 차이를 낮추거나, 일함수가 작은 cathode를 사용하는 방법, cathode와 발광층 사이에 얇은 유전체층(LiF)을 추가하거나[3-5], 전극에 유전체층(LiF)을 도핑하여 이용하는 방법이 보고되었다[6]. 발광하는 빛의 추출을 증대시키는 방법으로는 발광층과 공기 사이의 굴절률 차이를 줄여 반사를 억제하거나, 반대로 반사가 가능한 입자를 소자에 추가하거나 계면에 nanopatterning을 하는 방법을 통해 반사를 통한 광 추출 확률을 증가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7,8]. 반사하는 입자를 추가할 경우 입자의 크기, 표면상태, 분산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결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 W. Tang, S. A. VanSlyk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s". Appl. Phys. Lett., 51, pp. 913-915, (1987). 

  2. J. Clack, G. Lanzani, "Organic photonics for communications". Nature Photonics, vol. 4, pp. 438-446, (2010). 

  3. L. S. Hung, C. W. Tang, M. G. Mason. "Enhanced electron injection i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s using an Al/LiF electrode". Appl. Phys. Lett., 70, pp. 152-154, (1997). 

  4. Y. Zhao, S. Y. Liu, J. Y. Hou, "Effect of LiF buffer layer on the performance of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Thin Solid Films, 397, pp. 208-210, (2001). 

  5. K. Ihm, T. H. Kang, K. J. Kim, C. C. Hwang, Y, J, Park, K. B. Lee, B. S. Kim, C. H. Jeon, C. Y. Park, K. B. Kim, and Y. H. Tak. "Band bending of LiF/Alq 3 interface in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Appl. Phys. Lett., 83, pp. 2949-2951, (2003). 

  6. Q Yang, Y Hao, Z Wang, Y Li, H Wang, and B Xu, "Double-emission-layer green phosphorescent OLED based on LiF-doped TPBi as electron transport layer for improving efficiency and operational lifetime". Synthetic Metals, 162.3, pp. 398-401, (2012). 

  7. R. Bathelt, D. Buchhauser, C. Garditz, R. Paetzold, P. Wellmann, "Light extraction from OLEDs for lighting applications through light scattering". Organic Electronics, 8.4, pp. 293-299, (2007). 

  8. Y. J. Lee, S. H. Kim, J. Huh, G. H. Kim, Y. H. Lee, "A high-extraction -efficiency nanopattern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ppl. Phys. Lett., 82, pp. 3779-3781, (2003). 

  9. S. J. Kim, Y. S. Jeong. "Behavior of $BaTiO_3$ ferroelec tric particles embedded in polyfluorene emitting layer of PFO-base OLED".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 Technology, Vol. 20, No. 2. June, pp. 34-38, (2014). 

  10. W. Que, Y. Zhou, Y. L. Lam, Y. C. Chan, C. H. Kam, "Optical and microstructural properties of sol-gel derived titania/organically modified silane thin films". Thin Solid Films, 358.1, pp. 16-21, (2000). 

  11. J. S. Stewart, T. Lippert, M. Nagel, F. Nuesch, A. Wokaun, "Red-green-blue polymer light-emitting diode pixels printed by optimized laser-induced forward transfer". Appl. Phys. Lett., 100, 203303,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